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혼여성의 보육환경이 출산결정에 미치는 영향

        맹헌옥(Maeng, Hun-Ok),전정수(Cheon, Choung-Soo) 대한경영교육학회 2016 경영교육저널 Vol.26 No.1

        본 연구는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남양주시에 거주 중인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보육환경이 출산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자의 보육실태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출산결정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보육환경과 출산결정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환경이 출산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보육실태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향후 출산 후 자녀를 위탁할 대상에 대한 조사에서 향후 출산 이후 자녀를 믿고 맡길 곳이나 맡길 사람이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보육비 부담에 대한 조사에서 매우 부담스럽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보육시설까지의 거리는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조사에서 보통의 거리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출산결정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가정의 월평균 소득에 따른 출산결정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본인의 월평균 소득에 따른 출산결정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본인의 월평균 소득이 200만원 이상인 이들이 본인의 월평균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이들에 비해 출산결정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환경과 출산결정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결과, 보육시설 생활적응을 제외한 보육환경은 출산결정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대 아동비율이 높을수록, 물리적 환경이 좋을수록, 영양.건강.안전이 확보될수록, 학습환경이 우수할수록, 교육내용이 좋을수록, 교사의 상호작용이 원만할수록 출산결정을 할 여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보육환경이 출산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사 대 아동 비율, 물리적 환경, 영양.건강.안전, 학습환경, 교육내용, 교사의 상호작용은 출산결정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육시설 생활적응은 출산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보육환경 중 출산결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해 보면, 물리적 환경이 출산결정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ffect of the nurturing environment of married women on the decision about fertility, focusing on the married women in Namyangju city. for this purpos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ildcare conditions and fertility plan of samples were surveyed. based on the surve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ertility plan between the childcare conditions and fertility plan were analyzed. finally, the influence of the nurturing environment on fertility plan was analyzed.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overall childcare conditions, the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a place or someone to take care their babies after childbirth in the future. most of them responded that the childcare fees are burdensome and the distance to nursery facility is normal. also, they mainly said that they could place their babies in childcare facilities without waiting for too long. they usually placed their babies in childcare facilities for eight hours. finally, most of them were spending more than 5000,000 won per a month. Secon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ertility plan, individual incom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it was found that the women whose monthly income was more than 20,000,000 won on average planned to give birth to more babies than the women whose income was less than this amount. howev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ertility plan. Thir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hildcare conditions and fertility plan, all childcare conditions surveyed except for adaption to childcare facility were shown to be associate with fertility decision. the higher rate of teacher-child ratio, better physical setting, better settings for nutrition, health and safety, better educational setting, better quality of education contents, and higher level of interaction with women teachers were, the more babies women tended to have plans to give birth to. Finally,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decision about fertility,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teacher-child ratio, physical setting, setting for nutrition, health and, safety, educational setting, educational contents and interaction with teachers significantly affected decision making about fertility. however, adaption to childcare facility was not significant. additionally,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relative influence on fertility plan among the significant variables, physical setting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