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Immature Compost on Available Nutrient Capability and Heavy Metal Accumulation in Soil for Lettuce (Lactuca sativa L.) Cultivation

        Malinee Phonsuwan(마리네폰수완),Min Ho Lee(이민호),Byeong Eun Moon(문병은),Young Bok Kim(김영복),Naruemol Kaewjampa(나르몬 케우잠바),Yong Cheol Yoon(윤용철),Hyeon Tae Kim(김현태)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6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5 No.4

        본 연구는 퇴비에 함유된 영양소 및 중금속 함량을 파악하고 상추 재배시 퇴비의 적정 시용 비율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을 위해 두가지 퇴비를 이용하였다. 첫 번째 퇴비는 미완숙 퇴비(CA)이며 두 번째 퇴비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완숙 퇴비(CB)이다. 각각의 퇴비는 인공토양을 0%, 25%, 50%, 75%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50%와 75%의 비율로 혼합한 CA의 pH는 각각 5.39, 5.50으로 측정되었으며 약 산성으로 나타났다. CA 및 CB를 75% 비율로 혼합할 경우, 총 탄소 함량은 각각 14.5%와 6.5%로 다른 비율의 퇴비에 비해 높았고 대조구에 비해 총 질소와 인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총 탄소함량은 CA퇴비를 인공토양에 75% 혼합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A는 CB와 비교하여 퇴비화율, 질소, 인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CB 75% 혼합한 실험구에서 구리(128 ㎎ ㎏<SUP>-1</SUP>), 아연(260 ㎎ ㎏-1), 납(0.32 ㎎ ㎏<SUP>-1</SUP>), 카드뮴(0.48 ㎎ ㎏<SUP>-1</SUP>)의 함량은 다른 혼합구에 비해 가장 많은 증가하였다. 특히 비소는 CA퇴비를 25% 혼합한 실험구와 CB퇴비를 75%, 50% 혼합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았다(6.69 and 6.28 mg kg-1). CA실험구 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염분 및 중금속 함량을 함유한 CA 25% 혼합한 실험구는 상추의 성장속도 및 엽면적 등이 CB에 비해 낮게 측정되어 최적의 성장조건은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CA를 사용하여 상추재배에 이용할 경우, 더 낮은 농도의 CA를 이용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immature compost on the amount of nutrient content, heavy metal concentration, and application rate that were used for lettuce cultiv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mposts (Compost A (CA) was immature compost and Compost B (CB) was mature compost) were evaluated upon mixing with commercial soil at 0%, 25%, 50%, and 75% (w/w). The poor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appeared by use of immature compost as soil amendment; the 50% and 75% rates were weakly acidic at pH 5.39 and 5.50, respectively. The total carbon content at using of 75% of the immature compost and mature compost increased the most to 14.5 and 6.5% and it significantly increased concentrations of the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compared to control. As for 75% mature compost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oncentrations of Cu (128 ㎎ ㎏<SUP>-1</SUP>), Zn (260 ㎎ ㎏<SUP>-1</SUP>), Pb (0.32 ㎎ ㎏<SUP>-1</SUP>) and, Cd (0.48 ㎎ ㎏<SUP>-1</SUP>) compared to control, and the highest As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t 75% and 50% (6.69 and 6.28 ㎎ ㎏<SUP>-1</SUP>) including in 25% immature compost as 6.48 ㎎ ㎏<SUP>-1</SUP>. However, all of the high compost rate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hoot biomass of lettuce. The immature compost was potentially amended at an application rate of 25% due to a slight salinity and low risk to heavy metal uptake on lettuce growth. This use may be available if the rate is lower than that used in this trial.

      • 무창기공형 집열기 내 잉여 에너지 활용을 위한 축열 제어 시스템 개발 및 열성능 평가

        문병은 ( Byeong Eun Moon ),이민호 ( Min Ho Lee ),김희태 ( Hee Tae Kim ),마리네폰수완 ( Malinee Phonsuwan ),최태현 ( Tae Hyun Choi ),유영선 ( Young Sun Ryou ),김현태 ( Hyeon Tae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실험돈사 내 무창기공형 집열기(Unglazed Transpired Collector; UTC) 제어 시스템 개발 및 잠열축열재 적용을 통해, (1) 시간에 따른 제어 출력 값과 온도 변화 분석, (2) 온도변화에 따른 잠열축열재 열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경상대학교 내 자체 제작한 실험돈사에서 수행되었으며, UTC는 실험돈사 남쪽 벽면 내 10 m²(5 m Length × 2 m Height)의 크기로 설치하였다. 잠열축열재 저장을 위한 틀은 돈사 내, UTC가 설치된 남쪽 벽면에 4.08 m²(2.4 m Length × 1.7 m Height)의 크기로 설치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잠열축열재는 Na₂SO₄·10H₂O로 총 140팩, 약 91.98 kg을 설치하였다. 실험돈사 내부 28.0℃를 기준으로 UTC 입기팬 및 축열재입·배기팬, 환기팬, 입기댐퍼, 보온등을 통해 실내온도를 조절하였으며, 실험은 10일 간 수행하였다. UTC 내부 온도는 일중 최고 58.7℃까지 상승하였으며, 실내 온도(T1)가 설정 온도 값인 28.0℃를 초과함에 따라 약 08:10부터 18:50까지 환기를 위한 입기댐퍼(O1)와 UTC 내 잉여 에너지를 축열하기 위한 축열재 배기팬(O4)이 가동되었다. 이는 일중 에너지를 축열할 수 있는 축열 가능시간을 의미한다. 18:50 이후 실내 온도(T1)가 28.0℃ 미만으로 낮아지면서 축열재 입기팬(O3)이 가동되었으며, 축열재 입기구 온도(T6)는 35.8℃로 같은 시각 실내 온도 27.9℃ 보다 약 7.9℃ 높은 온도로 공급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