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직접투자 기업의 입지결정에서 나타난 지역 기업과의 파급효과 측도에 관한 소고

        리샤오민,황석준 한국경제연구학회 2019 한국경제연구 Vol.37 No.4

        In recent years, when multinationals choose their location in the host country, they consider the regional availability of innovation and value creation more than the cost minimization. This trend in the location choice increases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spillover effects among companies in the same region. Based on the index of Ellison and Glaeser (1997),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identifying the relative spillover effects and analyzes the geographic patterns and location choice type of both the source country and industry with the identified spillover effect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location choice of multinational companies in Korea’s main export industry, are relatively much affected by the spillover effects of domestic companies. In particular, however, the spillover effects of domestic companies in the parts and materials industry of the main export industry is having a relatively weak impact on multinational companies’ choice of location. The geographic pattern of multinationals by source countries shows different each other in terms of spillover effects and natural advantage effects. The Japanese multinationals show relative omnidirectional location choice and investment patterns regarding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industry. 최근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은 입지를 결정할 때 과거와는 달리 비용최소화를 가져오는 지역보다는 기술혁신과 가치창출이 가능한 지역인지를 많이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입지결정요인의 변화는 입지선택연구에서 지역 내 기업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을 높였다. 본 논문은 Ellison and Glaeser (1997)이 제안한 산업의 집중지표를 응용하여 산업간 상호작용의 파급효과를 상대적으로 식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한국내로의 외국인직접투자기업들의 입지정보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식별된 파급효과의 지리적 패턴과 국가별 산업별 입지선택유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에 투자한 외국인직접투자기업들은 한국수출주력산업 분야에서 국내기업과의 상호작용이 그들의 입지결정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었으나 그 중 수출품 주력상품의 소재를 생산하는 분야에 속한 외국인투자기업들은 오히려 상호작용 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외국인직접투자기업들의 국적별로 입지에서의 지리적 패턴을 동질성검증을 통해 살펴보면 국가별로 서로 다르며 특히 일본의 경우 지역과 산업에 걸쳐 전방위적인 투자성향이 다른 국가에 비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분쟁해결수단 선택에 관한 소고 - 국제상사중재를 중심으로 -

        TIAN PENG,황석준,황욱,리샤오민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2 경영경제연구 Vol.44 No.2

        When a dispute arises due to non-fulfillment of the contract, how to resolve such dispute is one of the important decision-making matters. In particular, if such disputes occur internationally, various methods of dispute resolution exist. This study presented a model for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at selects a dispute resolution method in a situation where different courts have different judgment tendencies. In particular, it has been shown that information on the country or social system to which a particular party in a dispute belongs can be incomplete information to the other party, and this asymmetric information situation causes opportunism, which can change the choice of methods of dispute resolution. Such a process was suggested through the calculation of deterrence benefits suggested by Hylton(2000), and the model was modified to include the problem of asymmetric information, especially since the court judgment attributes were endogenized in the calculation process of deterrence benefits. Therefore, th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enabl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selecting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as a means of dispute in the course of international commercial disputes. 계약의 불이행으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이를 어떤 방식으로 해결하는가는 계약분쟁당사자들에게 중요한 의사결정사항이 된다. 특히, 이러한 분쟁이 국제적으로 발생한다면 다양한 분쟁수단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법원의 판결 성향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국제적 분쟁해결수단이 선택되는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분석모형을 제시한다. 특히, 모형에서는 특정 분쟁당사자가 소속된 사회 또는 법률적 제도에 대한 정보가 상대 당사자에게는 불완전한 정보가 될 수 있고이러한 비대칭적 정보상황이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유발시켜 분쟁해결수단에 대한 선택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Hylton(2000)이 제시한 억제편익(deterence benefit) 개념을 응용하여 제시되었는데, 특별히 법원의 판결속성을 억제편익 도출과정에서 내생화함으로써 이러한 비대칭 정보 문제를 모형 안에서 고려한 결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시하는 분석모형은 국제상사분쟁과정에서 국제상사중재를 분쟁수단으로 선택하는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 KCI등재

        중국 해외직접투자의 한국 내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황석준(Seok-Joon Hwang),리샤오민(Xiaomin Li) 한국경제통상학회 2017 경제연구 Vol.35 No.3

        중국은 2001년 The World Trade Organization(WTO)에 가입 후 해외직접투자를 활발히 장려하고 있다. 중국 제조업 해외직접투자대상국가로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2008년 이후 해외투자건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중국 제조업 신규 해외직접 투자의 우리나라에서의 입지동기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추정결과 중국 해외직접투 자의 우리나라에서의 입지결정은 기존 다른 선진국의 해외직접투자 패턴과는 다르게 동일국가 집적변수가 주는 영향은 작아 우리나라 기업과의 네트워크 연계성이 클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기존 중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도 관찰되었듯이 우리나라 내 지역입지선정에서도 노동생산성이 높은 지역을 입지로 선택하는 경향이 많아 중국의 우리나라에 대한 해외직접투자도 개발도상국들의 해외직접투자 목적과 유사함을 보여주었다. Chinese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OFDI) has actively encouraged after joining WTO in 2001. As a target country for Chinese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Korea in not an exception and since 2008 the number of Chinese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has been rapidly increasing. This paper performs an econometric analysis of investment motives of China s manufacturing industry enterprises new to Korea. As a result, unlike existing foreign pattern of OFDI by developed countries, location determination of China’s OFDI has little influence from the same country agglomeration variable in Korea. And the China s manufacturing firms prefer the region with high network correlation in Korean firms. Moreover, as observed in previous studies of China s OFDI, there are also high trend to select regions with high labor productivity as locations in Korea. And the objective of China s OFDI in Korea is similar to the other developing countries s OFD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