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마트폰 사용자의 기기 내 어플리케이션 탐색에 관한 연구

        류정우(Jeongwoo Ryu),김유리(Yoori Kim),서봉원(Bongwon Suh)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2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이래로 휴대폰은 더 이상 한가지의 기능이 아닌 다목적 기능을 가진 장비로 진화하고 사용자들이 이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또한 점점 증가하였다. 어플리케이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보다 더 다양한 기능을 제공받고 사용하게 되었지만 여전히 어플리케이션 사용 및 탐색에 불편함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탐색하는데 있어 물리적인 상호작용과 정보를 구조화하는 인지적인 요인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어플리케이션 탐색과 관련 있는 요인들을 추출하여 충분한 데이터 속에서 패턴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스마트폰 사용 시 파지 방식, 엄지손가락 길이, 성별, OS 등을 어플리케이션 탐색에 영향을 주는 각각의 요인으로 보고 28 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실험은 피험자에게 다양한 범주에 속한 39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씩 수행하는 과정을 측정하였고, 스마트폰 활용정도와 사용빈도, 어떻게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기억하고 있는지에 관한 설문조사와 평소 어플리케이션 정리습관에 대한 간단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 평소 스마트폰 정리정돈 습관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성의 경우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 정리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파지 방식, 평소 어플리케이션 정리 정도와 같은 요인들은 어플리케이션 탐색 소요시간과의 별다른 연관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수가 많을수록 폴더 또한 많이 생성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는 정도의 차이와 총 어플리케이션 수의 상관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조사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탐색에 영향을 미치는 인터랙션 스킬과 정보구조화에 관련된 요인들을 조사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탐색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With the expansion of smart-phone market, smart-phones have now become multi-purpose utilitarian tools rather than mere tools of communication. As the number of smart-phone applications increases, users are now provided with more capabilities and utilities. However, as the number of smartphone applications installed on each smartphone increases, users often face difficulties to browse and find applications that they want to execute. To address the challenge, this paper investigates how people browse their applications. Our research seeks to identify patterns that affect application browsing by examining users’ browsing behavior. The research gathers various smartphone and user features including grip method, thumb lengths, gender, and OS from a user study with 28 smart-phone users. The user study consists of participants’ activity log of accessing 39 common applications and interviews on their smartphone usage. The study result shows that 1) gender affects the arranging strategy of applications; females had the tendency of having apps arranged in groups and 2) griping methods, and arranging apps did not largely affect the time of application browsing. Moreover, it was found that 3) the more applications there were, the more folders there were to organize the apps. Phone usage frequency and the number of applications also showed a correlation. As the first investigation on smart-phone application browsing strategies, this research seeks to suggest application browsing strategies and methods that can improve users’ smartphone experiences.

      • 사용자 리뷰를 이용한 국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의 이해 : 스포티파이(Spotify) 중심으로

        한승민(Seung Min Han),류정우(Jeongwoo Ryu),서봉원(Bongwon Suh)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세계 최고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스포티파이’가 최근 국내에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렇듯 글로벌 서비스가 국내에 진출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국내 음악스트리밍 시장을 사용자 관점에서 분석하는 연구는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리뷰 분석을 통해 국내 음악 스트리밍 시장을 이해하고, 서비스별로 사용자들의 니즈(needs)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LDA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여, 스포티파이와 관련 서비스들의 리뷰를 분석하여 국내 음악 스트리밍 시장과 글로벌 서비스의 국내 진출 상황을 진단하였다. 또 스포티파이를 중심으로 국가 간 리뷰 분석을 진행하여 국가별로 서비스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글로벌 서비스의 유입으로 달라진 국내 시장을 분석하고, 국가 간 리뷰 비교를 통해 글로벌 서비스를 다방면으로 이해하고자 했음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음악스트리밍 서비스의 전략적 방향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