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ender equality in Korean secondary education

        Zaitoune Mounir,Wanyoung Ryoo(류완영),Jungeun Oh(오정은)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08 학습과학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한국의 중등교육과정에서의 양성평등을 조사한 것이다. 수업에서 교사들이 학생들을 어떻게 대하는지, 교과서에 실린 내용들이 수업을 함에 있어서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유발하는지 등을 양성 평들의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양성평등을 교육에 실행할 때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충족시켜야 한다. 먼저 양성평등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연구해야 하고, 양성평등에 관한 이슈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또한 인간 삶의 다양한 국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찾아야 하며, 이를 모두 종합하여 중등교육에 있어서 양성 평등을 실현시키기 위한 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다. 이 연구 역시 그러한 목적을 바탕에 두고 문헌 리뷰 및 설문지를 통한 교과서 분석 및 양성평등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양성 평등에 관한 구체적이고 조작적인 전략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는 사회와 문화에 걸쳐 양성 평등에 대한 문제들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Korean current position of gender equality in general and in secondary schools in particular and explore what attitudes teachers should have, what contents textbooks should foster on and what classroom interaction strategies should be adopted regarding gender-responsive teaching, when implementing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The following research contents will be selected in order to meet these research objectives. First, the research will explore the theoretical grounds for gender equality in general and in Sub Saharan Africa in particular to get more in-depth knowledge on what is going on in the area with regard the issue; second it will examine gender equality in Korea in order to find out the impact it has on the different dimensions of life; and last it will envision gender equality in Korean secondary education to get information about how gender issue is incorporated in education. The finding will allow us to develop concrete and operating strategies that can be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a more gender responsive teaching which will in turn, contribute to make correction of sexual bias in our society and culture.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research will look into literature reviews, use questionnaire and analyze secondary textbooks.

      •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n primary school curriculum

        Abishu Birru Dekebo,Wanyoung Ryoo(류완영),Jungeun Oh(오정은)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08 학습과학연구 Vol.2 No.2

        초등학교의 전체 교육 과정 중 환경 교육은 기본적인 영역이다. 아동 및 청소년에게 환경문제의 해결에 관한 안목을 키워주기 위해 해당 지역이나 국가 또는 국제적인 차원에서 환경교육에 관한 강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환경에 관한 기본적인 교육을 통해 환경을 가꾸고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를 가르쳐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에 제시된 환경 교육에 관한 내용이 얼마나 통합적으로 조직되어 있는지를 알아 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초등학교 5,6학년 과학과 교과서에서 환경에 관한 내용을 얼마나 다루고 있는지를 조사해보았다. 연구결과 환경에 관한 대부분의 내용이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었다. 하지만 야생 동물이나 천연 자원의 이용 등과 같은 문제들을 다루고 있지 않았다. 국제적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이러한 요소들은 환경 교육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Environmental education is a fundamental part of the total educational package, especially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t must insist young people on the value and necessity of lo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with a view to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Therefore,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teach various aspects of environmental control and conservation in primary schools so as to inculcate the fundamentals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This study fosters the availability of environmental contents in the science learning materials of grade 5 and 6.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 that most of the environmental contents are incorporated in the learning materials. However the materials lack to present issues related to wild life and wise use of natural resources. It is also reasonable and important to introduce the global aspect of environmental issues at this level. This study however tried to show what the materials looks like with regard to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