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의 고령자 자원봉사 프로그램 현황과 시사점

        강은나 ( Kang¸ Eunna ),류병주 ( Ryu¸ Byeongju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국제사회보장리뷰 Vol.26 No.-

        미국은 고령자를 경험과 역량을 지닌 중요한 사회적 자본으로 인식함에 따라 고령자 자원봉사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참여 프로그램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며, 55세 이상 고령자의 자원봉사 참여율이 25%에 이른다. 연방정부 주도로 고령자를 위한 별도의 자원봉사 프로그램인 AmeriCorps Seniors를 운영하고 있고,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 영역에서도 고령자의 역량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미국의 고령자 자원봉사 참여 현황과 공공·민간 영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고령자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향후 한국의 고령자 자원봉사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e US, older adults are considered important social assets with experience and skills, and there are various volunteering and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that run on their active engagement. An estimated quarter of people aged 55 and older are known to participate in volunteering in the US, where the federal government is running its own volunteer program for older adults, known as AmeriCorps Seniors. The private sector is also highly involved in expanding opportunities for older adults to contribute to their communities. This article examines the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in volunteering in the US and some of the senior volunteering programs run by the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draw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enior volunteering in Korea.

      • 노년기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 미국의 대응책과 시사점

        백지혜 ( Baek Jihye ),류병주 ( Ryu Byeongju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 국제사회보장리뷰 Vol.28 No.-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은 ‘새로운 전염병(new pandemic)’이라고 불릴 정도로 만연해졌으며, 개인의 건강 및 삶의 만족도 측면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노년층의 경우 만성질환의 증가, 사회적 관계망 축소 등으로 인해 사회적 고립에 처하거나 외로움을 느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사회에서는 주민조직(빌리지) 활동을 통해 사회참여를 독려하고, 주거 측면에서는 코하우징과 같은 모델을 통해 외로움 완화와 소속감 증대를 돕는다. 기술 분야에서는 노인 친화적 플랫폼 개발이나 로봇을 활용한 사회적 연결 확대 등을 통해 고립을 방지하고, 보건 분야에서는 선제적 스크리닝 도입과 외로움 완화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및 연계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 완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검토한다.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so widespread as to be called new pandemics, have emerged not only as individual health and life-satisfaction issues but also as social problems. Older adults, in particular, their chronic conditions deepening and their social networks thinning, are more likely to become socially isolated or lonely. The US has implemented multifaceted initiatives to address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among seniors. At the community level, older adults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Village” social activities. When it comes to housing, the senior cohousing program is there to help older adults keep themselves from loneliness and foster a sense of belonging. Additionally, senior-friendly technology platforms and robotic systems are applied to assist older adults to connect with society and keep themselves from social isolation. The health sector has introduced an early screening system for older adults and provides and connects them with various services designed to alleviate their loneliness. This article examines some of the efforts ongoing in the US to reduce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among seniors and explores the implications they might have for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