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과 한국의 특수분장 교육 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량쉬,한지수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1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1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special makeup education industr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satisfaction of special makeup education in China and South Korea. A total of 319 surveys of Chinese and Koreans who have received special makeup education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According to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na and Korea in terms of the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total hours of study, and the reason for the education. Korea and China showed similar responses to the most interested special makeup fields, favorite types, and elements that must be studie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pecial makeup education system between China and Korea, but the analysis results are believed to have been due not only to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but also to personal background. In order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Korea's special makeup education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trend ahead of China and develop special makeup education programs for popular video media. In addition, students should be satisfied by faithfully managing students and specifying career counseling related to special makeup, and follow-up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the work environment and re-education process of special makeup companies in the future.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21세기 영상 산업은 다양한 산업과 각 국가들의 문화가 융합되어 제작되는 것뿐만 아니라 과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첨단 영상 기술을 통해 사실과 허구의 경계가 불분명한 시각적 이미지의 표현이 가능하다. 더불어 특수분장은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를 관객에게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볼거리를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특수분장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면서 미용업계에서도 특수분장에 대한 관심과 산업이 확대되어지며 주목 받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특수분장 교육을 수강한 학생과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국 및 중국의 특수분장 교육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실증 연구하여 중국과 한국의 특수분장 교육 실태, 교육 과정 등을 고찰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특수분장 교육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장이머우 감독 영화의 색채 미학 연구 -<붉은 수수밭>, <홍등>, <영웅>을 중심으로-

        량쉬에칭 ( Xue-qing Liang ) 한국영화교육학회 2023 영화교육연구 Vol.17 No.3

        미학 형식으로 존재하는 영화 색채는 영화 예술을 구성하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5세대 감독의 선두 주자 중 한 명인 장이머우 감독은 색채를 매우 잘 사용하여 화면의 내포를 풍부하게 하고 빨간색을 사랑한다. 본 연구는 장이머우 감독의 대표적인 세 작품인 <붉은 수수밭>, <홍등>, <영웅>을 선정하였다. 도상학, 색채 심리학 등 관련 지식을 활용하여 빨간색이 영화에서 상징적 의미와 민족적 가치를 분석하고 영화에서 색채의 시각적 과잉과 구축된 영화의 시각적 식 별도를 분석한다. 장이머우 감독이 색채 운용과 미학 표현에서 끊임없이 돌파하고 혁신하는 것을 더욱 체득하기 위한 것이다. The aesthetic form of film color is one of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film art. As one of the leaders of the fifth generation directors, Director Zhang Yimou is very good at using colors, enriching the content of the screen, and loves red. This study selected three representative works directed by Zhang Yimou, namely Red Sorghum Land, Red Lantern, and Hero. Using relevant knowledge such as graphics and color psychology, analyze the symbolic significance and national value of red in movies, analyze the visual excess of color in movies, and construct visual recognition of movies. The aim is to further experience Director Zhang Yimou's continuous breakthroughs and innovations in color application and aesthetic expression.

      • KCI등재후보

        중국 내 K-Beauty에 대한 인지도와 화장품 선택요인 연구

        이선미(Sun-Mi Lee),량쉬(LIANG XU)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1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1 No.2

        Korean cosmetics companies introduced the domestic beauty industry to the world along with the global Korean wave, and showed high growth especially in China, the largest exporter of K-Beauty. In order for the K-Beauty industry to continue to grow at this point of tim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election attributes of Chinese people for cosmetics, and to apply them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wareness of K-beauty in China through a questionnaire study. As a result, 37.4% of Chinese who responded to the survey answered that they recognize K-beauty as Korean cosmetics, and the route they experienced K-beauty was through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nd the Internet the most with 34.1%. Chinese people who think K-dramas and K-pop have an impact on the K-beauty industry accounted for 70.3%. In terms of purchasing Korean cosmetics, the most common reason for purchasing cosmetics was product excellence (39.3%), and online shopping was the most common purchase route (37.3%). The selection attribute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Korean cosmetics were found to be the image and advertisement of cosmetic brands, and the quality of cosm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