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용 코드를 이용한 개구변위에 따른 굴삭기 스풀 밸브 노치의 유동특성 해석

        도진영(Jinyoung Do),강만곤(Man Gon Kang),이승배(Seungbae Lee) 유공압건설기계학회 2017 유공압건설기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1

        The main control valve system is a key functional component to control an excavator and other mobile hydraulics machines. Several types of spool valves are assembled to provide the main control valve with the necessary functions. It is quite difficult to predict the flow characteristics caused by the moving spool dynamically. Even though the notch is designed and equipped in the spool, the flow characteristics change depending on how to move the spool, thereby it makes it difficult to design the necessary notch. In this paper,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code, FLUENT 18.1, is used to analyze unsteady, 3-D flow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openings of the typical types of spool valve notch used in the excavator. Based on the steady-state and transient simulations, the flow characteristics such as flow rate, discharge coefficient and flow force are compared and vortical structures behind the notches are discussed.

      • 굴삭기 스풀 밸브 노치 형태별 개구변위에 따른 유동특성 해석

        도진영(Jinyoung Do),강만곤(Man Gon Kang),이승배(Seungbae Lee) 유공압건설기계학회 2017 유공압건설기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5

        Main control valve system of an excavator consists of several types of spool valves. In particular positions, the spool valves behave in unpredicted manners under manipulation due to the fact that the flow forces acting in various shapes of notches are usually designed for the specific positions of the spool. In this paper,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code, FLOW SIMULATION 2016, is used to analyze flow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openings of typical types of spool valve notches used in the excavator. Based on the numerical simulation, the vorticity patterns are found to change by notch openings resulting in different modes of the discharge coefficient for the spool valve system.

      • KCI등재

        산성안개에 의한 석조문화재 구성암석의 손상 연구

        도진영 ( Jinyoung Do ),김상우 ( Sangwoo Kim ),조현구 ( Hyengoo Cho ) 한국광물학회 2015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28 No.2

        석조문화재의 산성안개에 의한 손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경주남산화강암, 응회암과 대리암에 pH4.0과 pH5.6의 인공안개를 적용하였다. 풍화된 경주남산화강암은 신선한 암에 비해 산성안개에 의한무게감소가 더 크다. 응회암은 산성안개시험 매 회당 약 0.005 %의 무게감소율로 시험 대상 암석 중가장 크게 변하였다. 응회암과 풍화된 화강암은 산성안개 보다는 산성비에 의한 무게감소가 더 크게 발생할 것이며, 대리암은 산성강우의 상태와 상관없이 무게감소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산성안개와 반응한 후 풍화암의 공극률과 흡수율이 월등히 증가한 결과를 보여, 풍화암이 신선한 암보다 산성안개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리암의 흡수율은 시험 후 약 50% 증가하였다. 암석의 색상이 시험 후 황색쪽으로 약간 변화되었으며, 신선한 암보다는 풍화된 화강암에서 그 경향이 더 크다. 대리암은 산성안개와 반응 후 백색도가 증가하였다. 산성안개가 적용된 암석에서 검출되는 다량의 양이온은 반응에 의해분해된 구성광물에서 기인한다. In order to predict the deterioration of stone monument due to acid fog, an artificial fog test using pH4.0 and pH5.6 was applied to the Gyeongju Namsan granite, decite and marble. After the test had weathered Gyeongju Namsan granite a larger weight reduction due to acid fog than fresh one. Decite has shown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among the tested rocks with about 0.005 % of weight reduction. Decite and weathered granite will have considerable weight reduction due to acid rain than the acid fog, whereas the marble was expected to show a weight reduction regardless of the phase of water. The porosity and water absorption rate of weathered granite had significantly increased. This result means that the weathered rock is predicted to be more susceptible to acid fog than the fresh rock. The absorption rate of the marble after the test had shown approximately 50 % increase. The color of the samples had slightly changed towards yellow, such tendency was greater shown in weathered rocks. The marble reacted with acid fog had an increased whiteness. A large amount of cation in the samples is caused mainly by the dissociation of minerals through the reaction with acid fog.

      • KCI우수등재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tkatbong Pluton, Yeongdeok, Korea

        Hoseong Lim(임호성),Jung-Hoon Kim(김정훈),Hyeondong Woo(우현동),Jinyoung Do(도진영),Yun-Deuk Jang(장윤득) 한국암석학회 2016 암석학회지 Vol.25 No.2

        삿갓봉암체는 기존에 다른 암체들과 함께 연구된 바는 있으나 몇몇 기초적인 암석학적 특성은 다뤄지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삿갓봉암체에 대해 보다 자세한 암석학적 특성을 보고하고, 남한의 다른 대보화강암, 불국사화강암과 지화학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삿갓봉암체는 영덕군 경정리에서 장사리에 걸쳐 남북으로 길게 신장된 형태로 발달한다. 삿갓봉암체는 대부분 섬록암질암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염기성미립포유암(이하 MME)을 다량 포획하고 있다. 야외조사결과 삿갓봉암체와 인접하는 백악기 퇴적암은 상호 부정합관계가 예상된다. 지화학적 특성을 대보, 불국사 암군과 비교했을 때, 삿갓봉암체는 주원소와 미량원소 특성에서 대보화강암에 보다 유사한 분포 특성을 보였으며, 칼크알칼리 계열의 암석으로 분류되었다. 조구조적으로 삿갓봉암체는 섭입대 화강암의 특징을 보이며, 각섬석에서의 AlT 값은 타 암체들보다 낮은 값을 가져, 보다 얕은 정치 심도를 가졌던 것으로 예상된다. 삿갓봉암체는 뚜렷한 아다카이트 특성을 보이는 인근의 영덕화강암과는 다른 지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MME의 산출로 예상되는 고철질 맨틀물질의 혼성에 의한 영향으로 예측된다. The Satkatbong pluton was studied with other plutons together, but some fundamental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missing. This study mainly reports the petrography and geochemistry of the Satkatbong pluton comparing with the Daebo and the Bulguksa granitoids in south Korea. The Satkatbong pluton, which is host rock including a number of Mafic Magmatic Enclaves (MME), is northsouth shaped dioritic pluton, located along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The Satkatbong pluton seems to be unconformable with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from fieldwork result. In geochemistry, the Satkatbong pluton, which is roughly similar with the Daebo granitoids, is classified into calc-alkali series rock and volcanic arc granitoid Tectonically. The fact that AlT value in marginal parts of amphiboles in the Satkatbong pluton is lower than other granitoids implies emplacement depth of the Satkatbong pluton was relatively shallow. The Satkatbong pluton shows different geochemical feature compared to the adjacent adakitic Yeongdeok granite. This seems to be caused by mafic mantle material expected from the occurrence of MMEs.

      • KCI등재후보

        석조문화재 표면흑화 부위에 존재하는 철화합물의 동정

        도진영 한국광물학회 2004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17 No.1

        석조문화재 표면에 형성된 흑화부위는 미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문화재 자체에도 손상을 끼치기 때문에 많은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흑화부위는 종종 많은 량의 철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서, 다른 요소들과 함께 철화합물도 암석 표면의 혹화현상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독일 베를린 시에 있는 석조문화재(Museumsinsel) 내의 표면에서 시료를 채취한 후 함유 철의 이온상태와 화학성분을 결정하기 위하여 뫼스바우어 분광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암석의 원상태와 흑화부위의 분말시료에 대한 광물학적 및 화학적 분석을 X-선회절법과 X-선형광법으로 각각 시행하였다. 형성된 철성분의 기원은 흑화부위의 제거 등 석조문화재의 보존처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기 때문에, 철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적색 사암에서 형성된 흑화부위와 매우 소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백색사암의 표면에 형성된 흑화부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백색사암 흑화부위에서는 주변 환경물질에서 기인한 철성분이, 적색사암 흑색부위에서는 원암에서 보여지는 철성분이 주성분으로 추정되었다. 적색사암에 있어서는 흑화부위를 제거한 이후에라도 흑화의 주원인인 철성분이 계속해서 모암의 내부로부터 표면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제거 이외의 보존처리법이 더 연구되어야 한다. Blackening on stone monuments is serious problem, because it is not only aesthetically unattractive, but also an important process in stone deterioration. Black surface layers contain often a large amounts of iron compound.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besides another elements the iron have influence on blackening of surface. After the samples of black surface layers were collected from the stone monuments (Museumsinsel) in Berlin, Germany, especially in this study has been used Mo?ssbauer spectroscopy in order to determine the valenc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iron. Mineralogical and chem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X-ray diffractormetry and X-ray fluorescence method on the black surface layer's samples and original stone samples. The origin of Iron compound in the black surface provides the important clue for the conservation work of stone monuments, like removing of black surface. To find it, black surface layer on white sandstone -it contains very small amount of iron compound- was compared with that on the red sandstone (Fe contains very small amount of iron compound- was compared with that on the red sandstone (Fe abundant). As a results, it is assumed that the iron in black layer on white sandstone is originated mainly from a surrounding environmental material and for the iron in black layer on the red sandstone is responsible the original stone. Even if black surface layer was removed from the red sandstone, some other conservation method should be studied beyond removing of black surface layer, because the iron can move continuously from the inner zone of original stone to surface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