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에서 하이버네이션 기반 부팅 방식 구현

        도인환(In-Hwan Doh)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5

        컴퓨팅 시스템의 부팅 시간 지연 문제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어 왔다. 최근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도 리눅스의 부팅 속도 개선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의 대안적인 부팅 방식으로써 하이버네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부팅 방식에 주목한다. 본 논문은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첫째, 실제 모바일 전자기기에 널리 활용되는 ARM 임베디드 개발 보드에서 리눅스 버전 2.6.21에 하이버네이션 기반 부팅 방식을 구현한다. 둘째, 하이버네이션 기반 부팅 과정을 시간대 별로 관찰하고 부팅 속도 개선의 여지에 대해서 논의한다. 실제 구현을 통한 부팅 과정 분석 결과, 다양한 최적화 기법이 적용될 경우 하이버네이션 기반 부팅 방식은 전통적인 부팅 방식보다 최대 3.1배 정도 빠른 부팅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mproving system boot time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system software arena. As Linux is widely used in the embedded system environment,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mitigate Linux boot time delay. In this respect,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Hibernation-based boot mechanism, which is the boot mechanism based on Hibernation, as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boot sequence. The contributions of this work are as follows. First, we implement the Hibernation-based boot mechanism on a real embedded Linux system and describe the implementation details. Second, we observe the Hibernation-based boot procedures so that we can investigate the possibility whether the boot mechanism ha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the boot time. Through the in-depth observation and analysis based on the real implementation, we anticipate that the Hibernation-based boot mechanism which adopts various optimization methods can provide maximum of 3.1 times faster booting performan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ay.

      • KCI등재

        『유머 벗기기』에 시도된 벤 존슨의 풍자극적 실험

        도인환(In-Hwan Doh)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5 셰익스피어 비평 Vol.51 No.3

        Every Man out of His Humour is Jonson’s dramaturgical experiment capitalizing on virulent popularity of satiric literature in the late 1590s. The play does not develop in a conventional plot-line of rising and falling action to which the audience is accustomed through Shakespeare’s romantic comedies. Instead, it concatenates a series of isolated episodes which are given a formal framework by the chorus. With various techniques of Brechtian alienation effects, Jonson invites the audience to adopt an analytical attitude towards his characters rather than emotional engagement with them. In doing so, Jonson’s characterization indicates an interest not so much in the inner lives of individuals but in the public interaction in social groups, and his experiment is primarily concerned with role-playing or play-acting. Through a sequence of role-playing, fools and gulls are stripped of their affected humours which include Puntarvolo’s make-believe chivalric interludes with his wife, Fustidious’s and Fungoso’s ludicrous fashion-mongering, Sogliardo’s crass social climbing, Shift’s preposterous huckstering, Deliro’s pathetic uxoriousness, Fallace’s lascivious snobbery, Saviolina’s spurious air of conceitedness, Carlo’s unrestrained scurrilous jokes, and Macilente’s lance of corrosive envy. Indeed, the audience might find it difficult to enjoy Jonson’s avowedly unconventional experiment. Whether an experimental success or failure, however, Every Man out of His Humour should be regarded as a milestone in the development of Elizabethan theatre. With the play, Jonson established himself not only as a leading satirist of the time but also as a major influence, artistic and intellectual, on the direction that comedy city comedy in particular was to take in the following decades.

      • KCI등재

        메타데이타를 비휘발성 램에 유지하는 플래시 파일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도인환(In Hwan Doh),최종무(Jongmoo Choi),이동희(Donghee Lee),노삼혁(Sam H. Noh)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1·2

        램의 특성과 비휘발성 저장매체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비휘발성 램을 시스템 소프트웨어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전체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비휘발성 램을 활용함으로써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 중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비휘발성 램을 고려하는 MiNV (Metadata in NVram) 파일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MiNV 파일시스템은 모든 메타데이타를 비휘발성 램에 저장, 관리하고 일반 파일데이타는 낸드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본 논문에서는 MiNV 파일시스템이 기존의 플래시 메모리 기반 파일시스템과 비교해서 얼마나 높은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보여준다. 성능 평가 결과, 비휘발성 램을 활용하는 파일시스템은 극도로 짧은 마운트 시간만을 필요로 한다. 기존의 대표적인 플래시 메모리 파일시스템인 YAFFS와 비교했을 때, MiNV 파일시스템은 동일한 워크로드를 처리하면서 보다 적은 횟수의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페이지 읽기, 쓰기, 그리고 블록 소거 연산을 요청한다. 플래시 메모리 연산 횟수에서의 이득은 MiNV 파일시스템의 수행속도 향상에 그대로 반영되어, 수행속도 측면에서 MiNV 파일시스템은 YAFFS보다 평균 400% 정도의 성능 향상을 보인다. Non-volatile RAM (NVRAM) is a form of next-generation memory that has both characteristics of nonvolatility and byte addressability each of which can be found in nonvolatile storage and RAM, respectively. The advent of NVRAM may possibly bring about drastic changes to the system software landscape. When NVRAM is efficiently exploited in the system software layer, we expect that the system performanc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is regards, we attempt to develop a new Flash file system, named MiNVFS (Metadata in NVram File System). MiNVFS maintains all the metadata in NVRAM, while storing all file data in Flash memory. In this paper, we present quantitative experimental results that show how much performance gains can be possible by exploiting NVRAM. Compared to YAFFS, a typical Flash file system, we show that MiNVFS requires only minimal time for mounting. MiNVFS outperforms YAFFS by an average of around 400% in terms of the total execution time for the realistic workloads that we considered.

      • KCI등재

        메타데이타를 비휘발성 램에 유지하는 플래시 파일시스템에서 가비지 컬렉션 수행에 대한 효율성 평가

        도인환(In Hwan Doh),최종무(Jongmoo Choi),이동희(Donghee Lee),노삼혁(Sam H. Noh)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4 No.2

        비휘발성 속성을 가지면서 램의 특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비휘발성 램의 효과적인 활용을 목적으로, 모든 메타데이타를 비휘발성 램에서 관리하고 파일데이타만 낸드플래시에서 관리하는 MiNV(Metadata in NVram) 파일시스템이 이미 제안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MiNV 파일시스템에서 가비지 컬렉션 수행에 대한 효율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고, 가비지 컬렉션의 효율성이 전체 파일시스템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본다. MiNV 파일시스템은 동일한 가비지 컬렉션 기법을 적용하더라도 YAFFS보다 더 효율적으로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한다. 성능 평가 결과에서 MiNV 파일시스템은 전체 낸드플래시에서 가용한 블록의 개수가 부족할 때 발생하는 공격적인 가비지 컬렉션의 발생 빈도를 줄임과 동시에 공격적인 가비지 컬렉션 수행 시점을 늦춤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실험 결과는 이러한 가비지 컬렉션에 대한 효율성이 파일시스템의 성능향상에 기여함을 보여준다. Non-volatile RAM (NVRAM) has both characteristics of nonvolatility and byte addressability. In order to efficiently exploit this NVRAM in the file system layer, we proposed the MiNV (Metadata in NVram) file system in our previous research. MiNV file system maintains all the metadata in NVRAM while storing file data in NAND Flash memory. In this paper, we experimentally analyze the efficiency for the execution of garbage collection in the MiNV file system. Also, we quantify the file system performance gains obtained from efficient garbage collec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garbage collection on the MiNV file system executes more efficiently that on YAFFS even though these file systems adopt exactly the same garbage collection policy. Specifically, the MiNV file system invokes the aggressive garbage collection mechanism less frequently than YAFFS. Additionally, the MiNV file system postpones the first execution of the aggressive garbage collection mechanism in our experiments. From the experiments, we verify that the efficiency of garbage collection leads to performance improvements of the MiNV file system.

      • KCI등재

        화폐와 신용의 관점에서 본『헨리 4세』

        도인환(In-Hwan Doh)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4 셰익스피어 비평 Vol.50 No.3

        Numismatic languages and credit relations in the Henry IV plays have been generally disregarded by the mainstream scholarships of the plays. However, the Henry IV plays are presumably richer than any other Shakespeare’s play in financial references, alluding to the economic crisis of late-sixteenth-century England. This essa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rket economy on the political discourse of Lancastrian power by analysing numismatic languages and credit relations. Frequently, the plays make a metaphoric linkage between the identity of characters and the gold content of coins. Falstaff equates the truthfulness of Hal to the creditability of coins. In Shrewsbury, particularly, Henry IV’s military camouflage is compared to a numismatic counterfeit. On the other hand, the plays propose credit relations as an indispensible agent for the Lancastrian acquisition of sovereign power. Henry IV ascends to the throne by striking credit transactions with the Percies, and Hal accumulates political assets by extending credit networks with Falstaff. However, economic intercourses have a limited utility in their contribution to royal power. The political discourse of the Tudor myth presupposes subjects’ absolute allegiance to their king, but economic transactions are motivated by self-interest. That is why the Lancastrian kings repudiate the credit dealings ultimately when they seize the crown. The conclusion of the plays marks Lancastrian glamourization of political power by dismantling credit economy and exchange value. It returns to the traditional hierarchy of sovereign and subject and re-mystifies royal power into divine kingship. However, the plays do not present the return as an ultimate conclusion. The Epilogue of the plays re-institutes credit relations by aligning the playwright and the audience with a debtor and a creditor. By doing so, the plays suggest that political value should be realigned with economic value: i.e. both values involve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and exchange.

      • KCI등재

        벤 존슨의 『캐털라인의 역모』에 나타난 공화주의의 역설(逆說): 민중파와 원로원파의 대결 양상에서 드러난 도덕주의 정치론의 한계

        도인환(In-Hwan Doh)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21 셰익스피어 비평 Vol.57 No.3

        Ben Jonson’s Catiline His Conspiracy poses critical conundrums: why should it be regarded as a tragedy rather than as a history even though it develops a storyline in which virtuous Cicero wins vicious Catiline? If it is to be a tragedy, then, who should be the tragic protagonist? Previous scholarships have suggested that the rivalry between Catiline and Cicero should reflect two opposing political ideas such as Tacitism and Ciceronianism, but their suggestions are restricted to moralist perspectives in that they argue the Catilinian faction tries to destroy Rome whilst the Ciceronian faction saves her from collapse. This essay wishes to investigate deeper causes for political diseases which put the Roman Republic in death throes and thereby to find that the moralist binarism between virtuous Cicero and vicious Catiline is just a surface structure of the play. In doing so, it argues the deep structure of the play discloses that real causes for the Roman Republic’s collapse were the monopoly of political power and the uneven distribution of economic wealth. Facing the widening social polarization, the political topology of the late Roman Republic was made split into two opposing factions: the progressive Populares and the conservative Optimates. Despite their popularist approaches, the Populares pursued persistently to enforce their progressive agenda by which they would reform various social injustices. In our contemporary era, republicanism has the same connotation as democracy, but in the late Roman Republic, it was nothing more than a retroactive ideology which the Optimates deployed in order to preserve their corrupt privileges.

      • KCI등재

        근대초기 신문산업의 등장과 하버마스의 공론장

        도인환(In-Hwan Doh)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6 셰익스피어 비평 Vol.52 No.1

        The Staple of News is Jonson’s proactive literary response to the emerging news industry of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This essay attempts to appreciate Jonson’s critical attitude to his contemporary journalism which has resonance for our own era as well. In analyzing the play, the essay carries out a tripartite dialogue between Jonson’s dramatic text, Habermas’s philosophical proposition of the public sphere and historians’ documentary evidence. By the public sphere Habermas means a realm of private people who engage themselves in a public debate over matters of general interests. The development of these debates in a large public body makes it prerequisite for specific means to make information widely accessible to the public. Such means were provided by advancing print culture which materialized itself into the first newspaper, namely corantos, in the early 1620s. In Jonson’s play, Cymbal claims that his news-office will launch responsible journalism operating on the principles of celerity, authenticity and impartiality. These principles support the enlightenment concept that the popular press in the early modern period was part of the movement towards modern democracy by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Despite his claim for responsible journalism, however, Cymbal deludes the audience with the sensational news which capitalizes on the reading public’s idle curiosity: for example, the King of Spain’s being chosen Pope and Emperor, the discovery of an optic glass so powerful that it could set ships afire by moonlight, and so forth. These practices confirm Marx’s proposition that publicity is false consciousness promulgated for particular class interests rather than endorsing Kant’s theory that publicity allows private individuals to overcome their conflicting interests for public welfare. Jonson"s trope of the news-office as a means of interrogating the politics of commodified journalism puts forward a satirical viewpoint which is indicative not only of his early modern period but also of our modern era. Despite the unprecedented proliferation of news sources driven by the development of Internet, our modern era experiences a sense of disillusionment because these news sources are increasingly sensationalized by commercial motives and consequently detrimental to democracy.

      • KCI등재

        신경제비평의 관점에서 본 『착오』 희극

        도인환(In-Hwan Doh)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23 셰익스피어 비평 Vol.59 No.1

        This essay aims to demonstrate money fetishism spread in The Comedy of Errors by adopting new economic criticism as an analyzing tool. The surface of the play deploys a storyline in which two pairs of twin brothers seek their lost counterparts, but its deep structure develops a narrative plot in which the lost money returns to its original owners. Money in the play functions as a clue to unravel clandestine relations between characters. Identities of characters are interlocked with whereabouts of money. Keeping track of whereabouts of the money is assigned the same trajectory as tracking down identities of the characters. The narrative plot displays distinctive features of romantic comedy stuffed with various farcical episodes. Considering these fea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money movement, the structural unity between romance and farce could be also established. Cognitive confusion concerning the identity of each character is conveyed in a parallel structure with bewilderment over lost money. For instances, Egeon’s search for his ransom money is correlated with Emilia’s seeking for her lost husband, and the way for Antipholus of Ephesus to recover his acquittal money keeps parallel with the way for Antipholus of Syracus to find his lost brother. The ending of the play invites us to see how to overcome money fetishism which has dominated the entire play. The happy reunion of Egeon’s family might be supposed to suggest a utopian humanism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cover from cognitive confusion caused by money fetishism.

      • KCI등재

        Two Film Adaptations of Henry Ⅴ

        In Hwan Doh(도인환)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4 셰익스피어 비평 Vol.40 No.2

        셰익스피어는 『헨리 5세』에서 이상적인 국왕의 모습과 마키아벨리적인 국왕의 모습을 병치시킨다. 이러한 양면성으로 말미암아 비평가들은 이 극에 대하여 극단적으로 모순된 평가를 한다. 세계 2차 대전 와중에 이 극을 영화화한 올리비에는 이 극의 애국적인 어조에 초점을 맞추었던 반면, 브라나는 이 극의 풍자적인 어조에 주목한다. 이 논문은 두 감독의 영화를 비교하여, 브라나의 인간화된 국왕의 모습이 올리비에의 이상화된 국왕에 대한 반영웅으로 간주할 수 있느냐에 답하려고 한다. 특히, 브라나가 올리비에의 영화에서 삭제한 원작의 장면들을 다시 살림으로써 헨리를 인간화시키는 데는 성공하지만, 반전 영화를 만들겠다던 브라나 자신의 당초 목표에는 이르지 못했음을 논한다. 올리비에는 형식주의적인 기법과 희극적인 분위기를 동원하여 헨리의 긍정적인 모습을 부각시키는데 반하여, 브라나는 심리적 사실주의의 기법과 비극적인 분위기를 통하여 주인공의 내면세계를 실감나게 묘사한다. 올리비에는 헨리의 성격을 평면적이고 일방향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원작에 담긴 주인공의 성격의 양면성을 무시했지만, 브라나는 그것을 원형적이고 다방향적으로 담아냄으로써 원작에 담긴 헨리의 성격적 역동성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올리비에는 1막에서 주교들의 밀담 장면과 살리크 법전에 대한 해설 장면을 밝고 가벼운 소극(笑劇)으로 재현함으로써 종교 지도자들이 전쟁을 지지하는 불순한 의도를 희석시키는데 반하여, 브라나는 지하 음모 조직의 비밀회의처럼 음산하고 어둡게 묘사함으로써 노회한 정치꾼들의 탐욕을 부각시킨다. 브라나의 의도는 올리비에가 삭제한 장면들을 다시 살리는 부분에서 특히 잘 드러난다. 헨리가 스크루프, 캠브리지 등 반역자들을 처단하는 사우스햄튼 장면에서, 브라나는 첩보망에 걸려든 반역 행위를 역신에 대한 신의 응징으로 신비화하는 권력의 메커니즘을 포착해 낸다. 헨리가 하플러 성문 앞에서 연설을 행하는 3막 1장의 장면은 불리한 전투를 탁월한 웅변으로 유리하게 역전시키는 헨리의 선전ㆍ선동술을 보여주는 대목으로써, 이 극에 관한 브라나의 냉소적인 해석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준다. 바돌프 처형 장면의 경우, 브라나는 원작의 사소한 대목을 헨리의 심리적 깊이를 파헤치는 실마리로 활용함으로써 주인공의 심리적 양면성과 모순성을 드러낸다. 그러나 이러한 심리적 다원성에 대한 탐색이 반전 영화를 만들겠다던 그의 당초의 목표를 퇴조시키는 원인이 된다. 왜냐하면 브라나는 헨리의 복합적인 심리를 지나치게 감상적인 시각으로 담아냄으로써, 권력자의 냉혹한 결단을 정치 세계의 공인인 한 어쩔 없이 감내해야 하는 운명적인 업보로 그리기 때문이다. 즉, 헨리의 심리를 파헤치는 작업이 그를 인간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 장면 이후, 브라나의 비판적 어조는 현격히 약화되어 왕권 강화의 일환으로 대외 전쟁을 이용하는 국왕과 권력의 희생양으로 애꿎게 이용되는 일반 백성들 사이의 첨예한 계급적 충돌을 담아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헨리가 프랑스군의 포로를 학살하라고 명령하는 대목을 삭제하는 등, 이데올로기적 파급 효과가 큰 장면들을 포착하지 못한다. 올리비에 영화와 브라나 영화의 차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대목은 애진코트 전투 장면인데, 올리비에는 전투에 임하는 헨리를 아득히 먼 요정 세계의 백마 탄 기사처럼 묘사하는 반면, 브라나는 애진코트 전투를 유혈의 참극이 벌어지는 진흙투성이의 아수라장으로 묘사한다. 그러나 브라나의 애진코트 장면이 월남전 영화처럼 사실적이기는 하지만, 폐허의 전장에서 울려 퍼지는 거룩한 찬송가는 영국군의 승리를 신의 영광으로 돌리려는 튜더 정권의 이데올로기적 의도에 브라나도 편승하고 있지 않느냐는 비판을 초래한다. 따라서 브라나의 『헨리 5세』가 올리비에의 그것에 비하여 전쟁에 대하여 회의적인 시각을 보인다는 점에서 진일보했지만, 자기 절제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통치자의 인간적 성장을 강조하고, 전쟁으로 말미암아 일반 백성들이 겪어야 할 재앙도 주권의 수호와 자유의 획득을 위해서 어쩔 수 없이 감내해야 할 필요악으로 해석하는 등, 권력의 메커니즘과 전쟁에 관하여 다원주의적인 관점을 취하는 한계점을 지닌다. 따라서 브라나의 영화도 헨리를 영웅화시켰고 그의 프랑스 원정을 성전으로 미화시켰던 올리비에의 전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바돌프의 처형 장면 이후, 사실주의적 반전 영화를 만들겠다던 자신의 당초 목표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데 실패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브라나의 영화가 제한적인 심리적 사실주의에서 벗어나서 인간의 행위동기의 미결정성에 대한 전반부의 의문을 후반부에서도 지속할 수 있었더라면, 권력자의 담론과 권력의 기획에서 해방된 열린 시각을 확보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그가 한 인간의 행위동기에 대한 탐구라는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서서, 원작이 제기하는 문제인 한 국가의 이데올로기 탐구라는 집단적인 차원에 보다 깊게 천착할 수 있었더라면, 관객들에게 더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는 영화를 만들 수 있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