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신마취 수술 후 폐합병증 발생 예측 인자에 대한 재평가

        도윤정 ( Yun Joung Doh ),허인경 ( In Kyong Hur ),이준엽 ( Jun Yub Lee ),박정배 ( Jung Bae Park ),성낙일 ( Nak Il Sung ),이용국 ( Yong Guk Lee ),이중현 ( Joong Hyun Lee ),이영현 ( Young Hyun Lee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5

        목적: 최근 고령 환자의 수술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PPC의 위험 또한 커지고 있다. PPC를 줄이기 위해 이를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인자들에 대한 여러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합의된 지침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고령 인구로 구성된 경주지역 환자를 대상으로 PPC 발생에 관여되는 인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재분석하였다. 방법: 2004년 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전신마취 하에 흉부, 복부, 두경부, 사지 수술을 받았던 8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예측인자의 선정에 있어서는 성별, 연령, 신장, 체중, 비만도, 흡연력, 기저질환, 호흡기질환 동반여부, 악성종양의 병력, 수술 전 흉부 진찰 소견, 입원시 혈액검사소견(혈색소, 알부민, 동맥혈 가스분석) 및 폐기능검사(1초간 강제 날숨량, 강제 폐활량), 마취시간, 수술부위에 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중증 PPC는 급성호흡부전, 폐혈전증이 새로 발생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경증의 PPC는 수술 후 기침, 객담 또는 비정상 호흡음이 새로 발생한 경우, 정상 체온을 보이던 환자가 다른 부위의 발열의 원인이 없이 38℃이 상의 체온 상승을 보인 경우, 흉부 단순 촬영 소견상 술 전에 비하여 새로운 폐허탈이나 폐침윤이 발생한 경우 중 한 가지 이상 포함하고 있을 때로 정의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65.5세였다. 전신마취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PPC의 예측인자들을 분석한 결과, 기저질환의 동반 여부, 저알부민치(<3.5 g/dL), 수술부위(흉복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변수였다. 기저질환의 여부 및 수술 부위는 기존의 연구에서도 예측인자로 밝혀져 있어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나, 저알부민 수치는 기존 3.0 g/dL 이하보다 높은 기준을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향후 고령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술에서는 알부민 수치가 3.0~3.5 g/dL 사이인 경우도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어야 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FEV1.0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아, 고령인 환자에게 있어서도 PPC 예측인자로서 폐기능의 가치에 대하여는 재고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결론: PPC 발생의 예측인자는 연령에 따라 다른 기준을 적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최근 늘어나고 있는 고령의 수술 환자에 대하여, 이러한 예측인자의 차이점을 인지하고 고위험군 선별에 적용해야 한다. 고위험군 환자에 대하여는 수술 전 영양상태의 개선, 기저질환의 교정 등을 통하여 PPC 발생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Background: As our population in Korea ages, more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PPCs) have recently developed.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about the predictive factors for PPC, but any consensu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his study, we reappraised the predictive factors for PPC after general anesthesia in a population from Gyeong-ju, which was composed of elderly people.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predictive factors for PPC in 84 patients who underwent general anesthesia. We investigated gender, age, height, weight, BMI, smoking, underlying disease, underlying respiratory disease, malignancy, the laboratory findings (hemoglobin, albumin, arterial O2 saturation) and the pulmonary function tests of the patients. Results: 84 patients were initially enrolled into the study, and PPC developed in 31 (36%) patients. The mean age of the enrolled patients was 66.515.1 years old, so it shows the trend of an aging society. Three predictive factors were revealed that a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PPC: site of operation (OR, 8.3), underlying disease (OR, 9.9) and serum albumin (OR, 4.0). Conclusions: Among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predictive factors, underlying disease and operation site are well known from previous studies, but the albumin level < 3.5 g/dL is also meaningful, which is higher than the previous reference level. It implies that the patient with a albumin level 3.0~3.5 g/dL can be classified into the high risk group. Therefore, we should recognize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more strict reference levels in an aging population to reduce the incidence of PPC. (Korean J Med 72:501 510, 20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