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경험 소비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제품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도강혁,이선화,김경일 한국상품학회 2018 商品學硏究 Vol.36 No.6

        Consuming experience is one of the consumption strategies to pursue happiness. Recently, studies on experiential purchas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understand trends of experience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criticism continues that the boundaries of experiential category are ambiguou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purchasing experience through various product group and categories. But domestic experience consumption research is vulnerable to such criticism because there are many studies through representative products.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experience purchasing analysis through various product categories and class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experiential products and material products recognition through 20 products. And the difference of purchase pleasure in each product group was analyzed. Also, we examined the effect of purchase pleasure on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firmed that Korean people distinguish between material and experiential products. Second, purchase pleasure through experienc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purchase pleasure through material. Finally, the purchase pleasure of experiential produc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ception of the experience category is properly distinguished in Korea and suggest that the pleasure of purchasing experience contributes to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follow - up studies considering cultures and new products was discussed. 경험을 소비하는 것은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소비 전략 중 하나이다. 최근 경험 소비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경험재 구매(experiential purchases)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지만, 한편에서는 경험재 범주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비판이 지속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제품과 범주군을 통한 경험 구매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국내 경험 소비 연구는 대표적인 상품을 통한 연구가 많아 이러한 비판에 취약하며, 다양한 제품군과 범주 분류를 통한 경험 구매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개의 상품을 통해 경험재와 물질재 인식과 각 제품군에서의 구매 즐거움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구매 즐거움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인들은 물질재 제품과 경험재 제품을 타당하게 구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험 구매를 통한 즐거움은 물질 구매를 통한 즐거움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경험재의 구매 즐거움은 행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에서도 경험 범주에 대한 인식이 타당하게 구분된다는 것을 보여주며, 경험에 대한 구매 즐거움이 행복에 기여한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문화와 새로운 제품을 고려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인의 행복과 불행 탐색연구

        박상현(Sanghyeon Park),도강혁(Kanghyuk Do),김학영(Hakyeong Kim),박가은(Gaeun Park),윤진혁(Jinhyeok Yun),김경일(Kyungil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행복과 불행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을 위하여 온라인 뉴스 포털에서 Word2Vec과 TF-IDF 방법을 사용하여 ‘행복’ 및 ‘불행’ 키워드와 유사한 단어를 추출했다. 또한 K-LIWC 사전을 사용하여 행복 및 불행과 연관된 단어들의 감성 속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TF-IDF 분석 결과, 행복과 불행은 사회적 요인과 해당 년도의 사회적 이슈들과 각각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됐다. Word2Vec 분석에서는 ‘희망’이 6년 연속으로 행복과 유사성이 높은 단어로 나타났다. K-LIWC 분석에서 ‘돈재정적이슈’, ‘학교’, ‘의사소통’은 행복 및 불행과 모두 관련성이 높았다. 그밖에 ‘몸 상태와 증상’이 불행과 높은 관련성이 있는 범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happiness and unhappiness in Korean society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Similar words with keywords(happiness/unhappiness) from online news portal are extracted using Word2Vec and TF-IDF method. We also use the K-LIWC dictionary to perform the sentiment analysis of words associated with happiness and unhappiness. In TF-IDF analysis, happiness and unhappiness are highly related to social factors and social issues of the year. In Word2Vec analysis, Hope has been similar with happiness for six years. In K-LIWC analysis, ‘money/financial issues’, school, communication is highly related with happiness and unhappiness. In addition, physical condition and symptom is highly related to unhappines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