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절기 깔짚우사 내 착유우 분뇨 발생량 평가

        이승훈 ( Seunghun Lee ),김은종 ( Eunjong Kim ),이명성 ( Myeongseong Lee ),김대훈 ( Daehun Kim ),위지수 ( Jisoo Wi ),신진호 ( Jinho Shin ),노희철 ( Heecheol Roh ),안희권 ( Heekwon Ah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본 연구는 톱밥깔짚 우사에서 사육되는 착유우의 분뇨 발생량 평가 및 적정 깔짚(톱밥) 교체시점을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가축분뇨 자원화 표준설계도를 참고해 깔짚 두께를 10cm로 조성한 후 평균체중 약 605 kg 착유우 총 6마리를 210 ㎡ 면적 우방에서 62일간(1월~3월) 사육하였다. 일일 두당 평균 9.8 kg 배합사료와 평균 23.3 kg 조사료를 급여(DMI 30.1 kg)하였으며, 물은 자동급수장치를 통해 자율적으로 음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료는 균일성 확보를 위해 우방 내 다지점에서 골고루 섞어준 후 채취하였으며, 2주 간격으로 분뇨 Map을 작성하여 우방 내 젖소의 배설습성 또한 분석하였다. 실험 종료 후 분뇨와 깔짚 혼합물의 무게는 스키드로더와 로드셀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젖소분뇨와 톱밥 혼합물의 발생량은 두당 일일 44.0 kg 발생되었으며, 톱밥깔짚을 제외한 순수 분뇨는 일일 두당 32.3 kg 발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2008년도에 제시된 착유우 분뇨 발생원단위(76.3±6.0 kg)에 비해 약 42% 적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기존 고시된 젖소분뇨 발생원단위는 대사틀을 이용하여 분뇨가 장시간 상온과 대기에 노출됨에 따라 발생하는 수분증발과 유기물분해 같은 환경적 요인이 배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실험 14일 후, 사료조와 급수조 주변의 경우 분뇨와 깔짚 혼합물의 함수율이 70%이상 도달하였으며, 57일 경과 후에는 함수율 70% 이상인 분뇨와 톱밥 혼합물이 우방 면적의 절반을 차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