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단 응집성, 동료노력지각 및 작업조건이 사회적 태만과 사회적 보상에 미치는 영향

        노재영 ( Jae-young Nho ),석동헌 ( Dong-heon Seok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지역과 세계 Vol.42 No.1

        Karau와 Williams(1997)는 높거나 낮은 집단 응집성과 동료능력지각이 사회적 태만과 사회적 보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본 바 있다. 사회적 보상이 나타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낮은 동료능력지각 또는 낮은 동료노력지각인데, 본 연구에서는 Karau와 Williams(1997)가 연구하지 못했던 동료노력지각 변인을 조작하여, 이 변인이 집단 응집성과 함께 사회적 태만과 사회적 보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동료능력지각을 조작했던 Karau와 Williams(1997)의 연구 결과와는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162명이 2(집단 응집성: 고/저) × 2(동료노력지각: 고/저) × 2(작업조건: 개별공동수행/집합적 수행) 피험자 간 설계에 무선적으로 할당되었다. 집단 응집성이 높은 집단은 친구와 함께 집단을 이루어 과제를 수행하는데, 과제수행 전에 두 사람의 태도가 매우 유사하다는 정보를 주었고 또 이 태도유사성을 더 강화시킬 수 있는 토론 활동을 함께 하도록 하여 응집성을 높였다. 집단 응집성이 낮은 집단은 낯선 사람과 함께 집단을 이루어 과제를 수행하는데, 과제 수행 전에 두 사람의 태도가 매우 다르고 또 이 태도 비유사성을 더 강화시킬 수 있는 토론 활동을 함께 하도록 하여 낮은 응집성을 갖도록 조작하였다. 동료노력지각은 동료수행자의 노력수준을 거짓으로 알려주어 동료수행자가 과제수행에 노력을 매우 많이 들일지 아니면 전혀 노력을 들이지 않을지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하는 방식으로 조작하였다. 2인 집단은 동일한 행동을 하지만 수행 결과가 개인적으로 측정되는 개별공동수행 조건과 집단의 수행결과만 측정되는 집합적 수행 조건에 무선적으로 할당되어 7분 2회의 본시행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동료가 매우 열심히 노력하리라 지각하는 경우에는 집단 응집성이 낮은 조건과 높은 조건 모두에서 사회적 태만 효과를 보여 주었고, 동료가 전혀 열심히 노력하지 않으리라 지각하는 경우에는 집단 응집성이 낮을 때만 사회적 보상이 나타났고 집단 응집성이 높은 경우에는 유의한 수행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사회적 보상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Karau와 Williams(1997)의 결과가 비교되었고, 이번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cohesion, perception of co-worker effort and work condition on group performance using an experiment. In this experiment, group cohesion was manipulated by pairing friends or strangers as a group and also giving them information on their attitude similarity and opportunity to discuss the agreed-upon issues or dispute on a disagreed issue to persuade the other person depending on the group cohesion condition. Perception of co-worker effort manipulation was manipulated by swapping cards to indicate how hard the colleagues would perform for the following task performance. The work condition manipulation was manipulated by letting them know how the results would be evaluated(ie., coactively vs. coll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group cohesion, perception of co-worker effort and work condition was significant. When participants perceived their co-worker would work very hard, the performance of the collective condi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action condition regardless of the level of group cohesion. When participants perceived their coworker or coactor would not work hard., the performance of the collective cond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action condition. However, this performance difference was not resulted in the high group cohesion condition. Comparison between this results and the results of Karau and Williams(1997),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