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keyword network analysis)을 통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분석

        노동원 ( Roh Dong-won ),황평강 ( Hwang Pyeong-kang ),송영수 ( Song Young-soo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1 HRD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분석을 통해 조직 내 코칭 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발전적인 연구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직 내 코칭 관련 연구가 게재된 총 208편의 논문을 바탕으로 핵심어간의 구조와 관계를 탐색하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클렌징 작업을 거쳐 300종, 840개의 핵심어를 추출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조직 내 코칭 관련 연구는 84개의 학술지에 게재되었으며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가 실시되었다. 연구대상 논문에서 가장 빈도수가 높은 핵심어는 코칭리더십, 코칭프로그램,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직무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네트워크 분석 결과, 총 7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있었다. 중심성 분석 결과 코칭프로그램, 코칭리더십,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코칭효과가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추가적으로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 상위에 해당하는 코칭프로그램, 코칭리더십,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에고(ego)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고 네트워크의 구조와 중심성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직내 코칭 관련 연구동향을 제시하고 향후 학문적 연구 방향과 현장 코칭 활용에 대한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search trends about coaching variables by investigating empiric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For this study, a keyword network analysis is conduct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of the keyword in a total of 208 articles. First, the data cleansing process was conducted and extracted 300 different kinds of 840 keyword. The main keyword are identified as coaching leadership, coaching program,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The whole network consist of 7 components. Both degree and betweenness centrality of coaching program, coaching leadership,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coaching effect are the highes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go network about coaching program, coaching leadership, self-efficacy are presented by conducting the additional keyword network analysis. This research could explain research trends of coaching and suggest the practical development of further research in field of HRD.

      • KCI등재후보

        기업 코칭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근전이와 원전이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송영수 ( Young Soo Song ),노동원 ( Dong Won Roh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0 HRD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학습전이를 근전이와 원전이로 세분화하여, 기업 코칭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근전이와 원전이의 전이 수준을 파악하고, 근전이와 원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여 향후 코칭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전이 촉진을 위한 개선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조사도구를 개발하고 H 코칭센터의 코칭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지 3개월 ∼ 6개월이 경과한 학습자 24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178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로서 첫째, 기업 코칭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 수준은 원전이 보다 근전이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전이 영향요인에 대한 인식수준은 교육 프로그램 설계 요인이 개인특성 요인과 업무환경 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근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이설계, 자기효능감, 전이동기, 학습동기 그리고 상사의 지원으로 분석되었으며 원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이설계, 변화가능성, 상사지원, 근전이 그리고 자기효능감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 코칭교육 프로그램에서 근전이와 원전이의 예측 변인을 규명한 시초 연구로서 향후 코칭교육 프로그램의 근전이와 원전이를 촉진시킬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is to be improved in facilitating the transfer of learning in corporate education by dividing the transfer of learning into the mode of near transfer and far transfer, in each of which the degree of transfer is detected, and finding the elements that affects the degree of the two modes of transfer. Questionnaire was asked to 245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coaching education program by H coaching center 3 to 6 months ago. 186 questionnaire sheets were recovered (78% recovery ratio) and 8 out of 186 turned out to be useless. The primary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transfer of learning among the participants in corporate coaching education program turns out to be higher in near transfer than in far transfer. Second, the variables that affect near transfer are transfer design, perceived self-efficacy, motivation of transfer, motivation of learning, and manager support, while the variables of far transfer are transfer design, the probability of change, manager support, near transfer, and perceived self-efficacy.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hat examines the predictable variables of the near transfer and far transfer of learning in corporate coaching training education programs ; therefore, it provides various implications by which to facilitate the near transfer and far transfer of learning in corporate coaching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 오프라인 대학에서 ARCS 모델을 적용한 이러닝 코스 개발 및 교육 만족도 분석

        송영수(Song, Young-soo),노동원(Roh, Dong-won),박소연(Park, So-you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09 학습과학연구 Vol.3 No.2

        대학 이러닝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에의 ARCS 동기 모델 적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ARCS 동기 전략을 고려하여 오프라인 기반 대학의 이러닝 프로그램의 전략을 도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학습자의 만족도 측면에서 검증함으로써 차후 대학 이러닝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ARCS 동기 모델을 적용한 대학 이러닝 프로그램은 콘텐츠 및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학습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기 모형의 적용을 통해 프로그램의 설계 및 개발 아웃풋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현업 적용 가능성과 운영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학습자의 동기를 고려한 이러닝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구체적인 행동 변화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여전히 다른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pplied the ARCS motivational model to develop an e-Learning course. For this goal of study, e-Learning course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derived from ARCS model and e-Learning course was developed based on the strateg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RCS model, educational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The satisfaction rates with the contents and interface of this course were higher than the job application of the course. It indicated possibility to improve quality of e-Learning course design and development by applying ARCS motivational model. However, to raise the job application, other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