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공기술의 산업계 파급을 위한 기술마케팅 시스템 연구 - 특허정보를 중심으로

        박정,금영섭,남택일,최강모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2 지식재산연구 Vol.7 No.3

        Since 2000,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base was constructed by A Promotion Strategy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lan of the Korean government. As the early stage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 national R&D outcomes is being expended and appeared, however, in reality, R&D performance is not facilitated enough to meet the needs of company because This study suggest a methodology for public R&D outcome transfer to market, in particular, patent - industry information concordance is efficient system for industrial spill-over of the public R&D outcome. This study is on the co-concordance methodology that 1)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 Korea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2) Key word of patent description and Products of company’s database. So, we could confidence intervals estimate 30~80% range of the co-concordance methodology and construct of mass or target marketing system. 2000년 이후 정부주도로 추진된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계획을 통해 국내기술이전·사업화 기반이 조성되었고,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기술사업화의 초기단계로서 기술이전이 확대되는 등 점차 그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부문의 성과는 연구(research)적 관점에 치중되어 기업이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product) 관점에서의 기술과는 개념적인 차이가 존재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기 창출된 공공부문의 성과에 대하여 기업의 수요에 연계하여 정부의 기술이전·사업화 정책에 실효성을 기할 수 있는 기술-산업 및 기술-제품 연계(concordance)에 관한 연구로서 지재권정보, 특히 특허정보를 활용하여 산업계 중심의 정보로 변환·가공·연계함으로써 기술마케팅 수행을 위한 환경을 구축하고, 최종적으로 연구개발 성과물의 산업계 확산을 위한 시스템 도출을 통해기술이전 및 사업화에 대한 생산성과 효율성을 제고함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공기관의 우수한 특허기술을 산업계로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질 수 있는 기술마케팅 시스템, 특히 대중마케팅(mass marketing)에 관한방법론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데이터 신뢰도를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기존의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지며, 실증분석결과 공공기관의 대표적 기술을 선정하여 분류체계 및 색인어 추출에 의한 두 가지 형태의 연계방법론을 통해 잠재수요기업을 도출한 결과 기존 선행연구 방법을 단독 활용했을 시 대비 평균 30%~80%의 신뢰구간을 확보할 수 있었고, 이에 대한 대중마케팅(mass marketing) 및 표적지향형 마케팅을 수행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론을 구축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