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

        최수길(Su-Gil Choi),진세영(Jin-Se Young),박상민(Sang-Min Park),남영재(Yeong-Jae Nam),김시국(Si-Ku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4 No.1

        본 논문은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이다. 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연기감지기 감도시험기를 이용한 작동실험과 UL 268에서 규정하고 있는 종이화재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기감지기 감도시험기를 이용한 작동실험 및 UL 268 종이화재실험에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교차 대입한 결과 공기질 측정기(IAQ) S1의 경우 PM 10(평균값제외), HCHO(평균값 및 최대값 제외), IAQ S2의 경우 PM 1.0, PM 2.5, PM 10, 연소가스분석기(CGA)의 경우 CO(평균값 및 최대값 제외)가 모든 실험 조건에서 연기발생에 따른 측정값의 변화를 통해 경향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실험 조건에서 측정되는 인자들 중 적응성이 가장 우수한 PM 10 및 CO는 화재감지 인자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is a basic research on potential application of fire detection by measuring fire detection tendency of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factors. In this study, operation experiment using smoke detector sensitivity tester and paper fire experiment specified in UL 268 standard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ire detection tendency of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factors. Based on the cross-substitution of values measured in the paper fire experiment, PM10 (excluding average) and HCHO (excluding average and maximum) for the indoor air quality meter (IAQ); PM1.0, PM2.5, and PM10 for IAQ S2; and CO (excluding the average and maximum) for combustion gas analyzers showed consistent tendency despite changes in the measured values for smoke generation unde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In particular, PM10 and CO are considered the most applicable fire detection factors among the factors measured in the experiment.

      • KCI등재

        UL 268 폴리우레탄폼 실화재실험을 통한 화재감지인자 도출에 관한 연구

        최유정(Yoo-Jeong Choi),최수길(Su-Gil Choi),남영재(Yeong-Jae Nam),김시국(Si-Ku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5 No.1

        본 논문은 폴리우레탄폼 화재 시 발생하는 흑색연기로 인한 화재감지 적응성을 확인하고 연소생성물의 변화량을비교·분석하여 화재감지인자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UL 268 폴리우레탄폼 실화재 시험기준을 활용하여 화재감지인자 도출을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미세먼지센서(PMS), 연소가스분석기(CGA) 및 가스분석기(GA)를 이용하여 연소생성물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흑색연기 발생 시 기존 화재감지기의 적응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연소생성물 측정값을 통해 화재감지인자를 도출할 수 있었다. 특히, 측정되는 인자들 중 적응성이 가장 뛰어난연소생성물은 PM 2.5, PM 10, NO 및 CO로 기존 화재감지기와 병행측정을 통해 화재감지인자로 활용 시 신뢰성이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focused on fire detection factors by confirming the adaptation level of fire detection due to black smokegenerated in the case of polyurethane foam fire, and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nge in combustion products. An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rive fire detection factors using the UL 268 polyurethane foam real fire test standard. Combustion products were measured using a particulate matter sensor (PMS), combustion gas analyzer (CGA), and gasanalyzer (GA).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adaptability of the existing fire detector deterioratedwhen black smoke was generated. The fire detection factor was derived using the measured values of combustion products. In particular, among the measured factors, the most adaptable combustion products were found to be PM 2.5, PM 10, NO,and CO. They were considered to improve reliability when used as fire detection factors, as compared to existing firedetectors.

      • KCI등재

        UL 268 비화재보실험에 따른 화재감지기 및 실내 공기질 측정 인자의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최유정(Yoo-Jeong Choi),최수길(Su-Gil Choi),남영재(Yeong-Jae Nam),유재현(Jae-Hyeon Yu),황의홍(Euy-Hong Hwang),이성은(Sung-Eun Lee),김시국(Si-Ku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5 No.1

        본 논문은 UL 268 비화재보실험에 따른 화재감지기 및 실내 공기질 측정 인자의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2020년에 새롭게 도입된 미국 UL 268 Cooking nuisance test를 통해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시험 내 연기농도는 최대 7.8 %/m로 나타났다. 연기감지기의 부작동(5 %/m) 및 1종 작동(7.5 %/m), 시험시간 내 측정된 연기 최대농도(7.8 %/m)에 매칭된 실내 공기질 측정 인자들의 응답특성을 분석하여 비화재보방지에 적용 가능한 인자를 도출하였다. 미세먼지센서(PMS)의 PM 1.0, PM 2.5, PM 10, 연소가스분석기(CGA)의 NO, SO2, 가스분석기(GA)의 CO,CO2, HCHO에서 변화량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실험에서 측정된 가장 적응성이 우수한 인자로는 PM 2.5 및 PM 10으로 비화재보 방지 인자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fire detectors and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factors were studied according to theUL 268 cooking nuisance test.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fire detector were confirmed through the U.S. UL 268cooking nuisance test, newly introduced in 2020; the smoke concentration in the test was found to be a maximum of 7.8 %/m.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factors matched to the smoke detector s concentrationin the nonoperation test (5 %/m), type 1 smoke detector s concentration in the operation test (7.5 %/m), and maximumsmoke concentration (7.8 %/m) measured in the test were analyzed to derive factors applicable to avoiding unwanted firealarms. In this test, the variation was confirmed at PM 1.0, PM 2.5, and PM 10 of the fine dust sensor, for NO and SO2for the combustion gas analyzer, and for CO, CO2, and HCHO for the gas analyzer. In particular, the most-adaptable factorsmeasured in this experiment were PM 2.5 and PM 10, which can be utilized as unwanted-alarm factors.

      • KCI등재

        UL 268 목재 유염화재 및 훈소화재시험 시 발생되는 연소생성물을 통한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실험

        최수길(Su-Gil Choi),최유정(Yoo-Jeong Choi),남영재(Yeong-Jae Nam),김시국(Si-Ku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5 No.1

        본 논문은 UL 268 목재 유염화재 및 훈소화재시험 시 발생되는 연소생성물을 통한 화재감지 경향성을 분석한 실험적 연구이다. 화재감지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미세먼지센서(PMS), 연소가스분석기(CGA), 가스분석기(GA)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기감지기에서 측정되는 연기 감광율 5 %/m(부작동), 10 %/m, 15 %/m에서 연소생성물을 매칭하여 분석한 결과 목재 유염화재의 경우 PMS PM 10, CGA CO, SO2, GA HCHO, TVOC가 연기발생에 따른측정값의 지속적인 상승에 의해 경향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훈소화재의 경우 PM 10, CO, HCHO가 적응성이 나타나최종적으로 유염 및 무염화재를 동반한 목재화재의 경우 PM 10, CO, HCHO가 모두 적응성을 보이면서 화재감지 인자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experiment analyzes the tendency of fire detection through combustion products generated during UL 268 woodflame fires and smoldering tests. Fire detection tendency was measured using a particle matter sencor (PMS), combustiongas analyzer (CGA), and gas analyzer (GA). The combustion products were matched and analyzed at 5 %/m(non-operation), 10 %/m, and 15 %/m of the smoke sensitivity measured by the smoke detector. In the case of woodflaming fire, PMS PM 10, CGA CO, SO2, GA HCHO, and TVOC, the trend was observed because of the continuousincrease in the measured value according to the smoke generation. In the case of smoldering, PM 10, CO, and HCHO wereadaptable to the tendency to be observed. Finally, in the case of wood fire accompanied by flame fire and smoldering toPM 10, CO and HCHO were considered to be the optimal fire detection factors.

      • 습도실험 및 UL 268 화재시험 시 발생되는 습도변화에 따른 연기감지기 감도특성에 관한 연구

        최수길(Su Gil Choi),최유정(Yoo Jeong Choi),남영재(Yeong Jae Nam),최문석(Moon Seok Choi),김시국(Si Ku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비화재보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요인은 습도 및 수증기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요인은 여름철 국내 장마 기간에 높은 습도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기감지기에 비화재보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또한 커피포트에 의한 수증기, 샤워 후 발생되는 스팀 현상에 의해서도 비화재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비화재보 원인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기초연구가 진행되어야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습도에 의한 비화재보의 실증실험과 연기농도 특성분석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SO 9705 표준룸을 이용한 습도실험과 UL 268 화재시험을 통해 발생되는 습도변화에 연기감지기의 농도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습도실험은 ISO 9705 표준룸 규격에 다양한 습도발생장치(가습기, 커피포트 등)로 습도를 발생시켜 습도농도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연기농도특성을 분석하였고, 또한 UL 268 화재시험을 통해 다양한 화원에서 화재발생 시 나타나는 습도농도를 분석하여 습도와 연기농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서, 습도실험 결과 사람눈에 보이지 않는 습도 조건일 경우 상대습도 80% 이상 시 연기감지 농도특성이 상대습도 50%일 경우보다 2~3%/m 높게 나타났으며, 사람눈에 보이는 스팀현상이 발생됐을 경우 아날로그 연기감지기 연기농도의 최대농도인 20 %/m 까지 상승하여 연기감지기가 작동되었다. UL 268 화재시험에서는 가연물에 따라 백색연기 및 흑색연기로 분류되는데 이러한 연기들이 화원에 의해 발생될 경우 습도가 하락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최종 비화재보를 방지할 수 있는 기초데이를 제공하고 추가적으로 UL 268 Cooking Nuisance Test를 진행하여 음식물 조리로 인한 연기 및 습도 특성을 분석하여 비화재보를 개선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