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교육과정 분석 현상 탐구

        유성열(Yoo Sung-yeol),이찬희(Lee Chan-hee),남승종(Nam Seung-jong),김상헌(Kim Sang-heon),정광순(Jung Gwang-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교사가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현상을 드러내기 위해 2020년 10월 12일 부터 2020년 12월 20일까지 12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델파이 연구를 통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1차 델파이에서는 ‘교육과정을 분석할 때, 무엇을 어떻게 분석하는가’를 개방형으로 설문하여, 총 127문항(무엇을 69개, 어떻게 58개) 을 얻었다. 둘째, 2차 델파이는 1차의 결과를 3개의 영역으로 범주화하여, 총 62개의 문항을 얻었다. 셋째, 3차 델파이는 내용타당도(CVR)를 통해서 45개, 다시 합의도를 고려해서 최종 28개 문항을 확정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가 교육과정을 분석 하는 현상을 세 가지로 논의하였다. 첫째, 교사가 분석하는 대상은 다양했다. 즉 교사는 교육과정 실행의 장에 존재하는 국가교육과정, 지역교육과정, 학교교육과정, 교실교육과정 등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있었다. 둘째, 각 교육과정에서 교사가 분석하는 것은 각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기준과 내용이었다. 셋째, 교사가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목적(이유)은 교사가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Delphi study targeting a group of 12 experts to reveal the phenomenon that teachers analyze the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first Delphi what and how to analyze when analyzing the curriculum, a total of 127 questions (69 what, 58 how) were obtained through open questionnaires. Second, in the second Delphi, the results of the first order were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and a total of 62 items were obtained. Third, in the 3rd Delphi, 45 items were determined through the content validity (CVR), and the final 28 items were confirmed by considering the degree of agreement. Based on this result, three phenomena in which teachers analyze the curriculum were discussed. First, the subjects analyzed by teachers were diverse. In other words, the teacher was analyzing the curriculum targeting the national curriculum, regional curriculum, school curriculum, and classroom curriculum that exist in the field of curriculum execution. Second, what teachers analyzed in each curriculum were the standards and contents presented in each curriculum. Third, the purpose (reason) for the teacher to analyze the curriculum was for the teacher to develop th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