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신체 증상에 미치는 효과

        남수현(Soohyun Nam),황보영(Boyoung Hw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7 스트레스硏究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로 인해 신체 증상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에게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각된 스트레스, 신체 증상, 부정적 자동적 사고, 역기능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지방 소재 1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신체 증상 설문 총점 7점 이상인 대상자를 선별하여 참여를 원하는 집단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실험군(17명)은 매주 60분 간 총 5회기에 걸친 집단 중재에 참여하였고 대조군(15명)은 참여하지 않았다. 두 군간 결과변수의 전후 변화 차이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의 지각된 스트레스, 신체 증상, 부정적 자동적 사고 점수의 중재 전후 변화량이 대조군의 변화량보다 유의하게 컸으나, 역기능적 태도 점수의 변화 양상은 실험군,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a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 on perceived stress, somatic symptoms, automatic negative thoughts and dysfunctional attitudes in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had a total score of 7 or greater on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were asked to choose one of the two groups to attend: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N=17) received 5-weekly group sessions of the intervention, each of which lasted 60 minutes. The interventions were not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N=15). Students in both groups were asked to complete a set of questionnaires at baseline and five week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and t-test, Mann-Whitney U 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performe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for perceived stress, somatic symptoms and automatic negative thoughts. Dysfunctional attitudes, on the other h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group. Conclusion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was effective for college students suffering from perceived stress and somatic symptoms. In particular, the significant decrease in automatic negative thoughts among stude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suggests that the effect of the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was mediated by the cognitive factors of somatic symptoms.

      • KCI등재

        간호사가 경험하는 수평적 폭력이 간호사의 소진과 환자에 대한 공감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남수현(Soohyun Nam),황보영(Boyoung Hw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9 스트레스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간호사가 경험하는 수평적 폭력이 간호사의 소진과 환자에 대한 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차자료분석을 활용한 횡단적 서술연구이다. 일개 대학병원에 재직 중인 직원들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20일부터 2주 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 중 직장에서 수평적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 211명의 자료를 위계적 다중회귀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는 수평적 폭력과 소진 간 관계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수평적 폭력과 환자에 대한 공감 간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수평적 폭력으로 인한 간호사의 소진을 경감시키기 위해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Background: Horizontal violence or lateral violence among nurses is a critical social issue given its global prevalence and frequenc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lateral violence on nurses’ burnout and empathy with patients by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in each relationship. Methods: This was a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including a total of 211 registered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six months at a medical institution in Seoul, South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20, 2019 and June 1, 2019 using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s.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n interaction term was added to each model. Results: Communication nega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ral violence and burno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ral violence and empathy with patients. Conclusions: From these findings, we revealed the effect of communications between lateral violence and burnout.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ability, the less the effect of lateral violence on burnout. Our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hen developing interventions to reduce burnout in the presence of lateral violence.

      • KCI등재

        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설은미(Eun-Mi Seol),남수현(Soohyun Nam) 대한스트레스학회 2021 스트레스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 경험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2020년 7월 10일부터 8월 28일까지 직장 내 폭력을 경험한 128명의 간호사들의 자료를 사용하여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 경험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나(β=−.278, p=.032), 직장 내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에서 사회적 지지가 우울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직장 내 폭력으로 인한 간호사의 우울을 경감시키기 위해 사회적 지지가 중재의 구성 요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depression in nurse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that included 128 registered nurses who had worked at medical institutions, except those who experienced depression without workplace violence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ly and August 2020 using online surveys. The mediating effect was performed using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The rate of workplace violence was 82.8% (n=106).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place violence, the rates of verbal violence, physical threat, and physical violence were 79.7%, 67.2%, and 33.6%, respectively.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depression was found (r=.30, p<.001), whereas social support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workplace violence (r=−.18, p=.045) and depression (r=−.26, p=003). This study fou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depression.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o develop strategies to improve the social support of nurses who experienced workplace violence and effectively prevent and manage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