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질토 해저지반 특성을 고려한 플루크 앵커의 관입깊이 계산

        남상욱(Nam, Sanguk),강하늘(Kang, Haneul),김정훈(Kim, Junghun),김성원(Kim, Seongweon),전인식(Chun, Insik) 한국연안방재학회 2018 한국연안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8 No.1

        선박 앵커의 주묘로 인한 해저케이블의 손상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앵커의 주묘 시 관입깊이는 해저케이블의 안정성 평가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하지만 앵커의 침투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온 점성토와 달리, 사질토의 경우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질토에서 fluke 앵커에 작용하는 힘 및 모멘트의 정역학적 평형 관계와 fluke 하면의 운동학적 거동을 고려하여 선박앵커의 주묘 궤적, 관입깊이 및 극한파주력을 구할 수 있는 수치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기존의 Vryhof 매뉴얼 상의 차트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하여 모델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관입깊이와 극한파주력 데이터 계산치가 공히 차트 데이터 대비 약 10% 이내의 오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위기이자 기회: 일본 수출 규제가 첨단산업 벤처기업의 국가 연구개발 참여에 미친 영향력

        남상욱 ( Sanguk Nam ),원청연 ( Cheongyeon Won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24 중소기업정책연구 Vol.9 No.1

        일본 수출 규제는 한국의 대표적인 주력 산업인 첨단산업(반도체·디스플레이)의 공급망 불안정성이 크게 대두된 사건이다. 한국 정부는 첨단산업의 공급망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수립 및 이행하였으며, 근본적 해결을 위한 국가 연구개발 사업 확대를 추진하였다. 국가 연구개발 사업 확대에 따라 벤처기업의 참여도 확대되었는지에 대해 이중차분법을 고려한 Tobit과 Logit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수출 규제에 따라 첨단산업분야의 초기성장단계 벤처기업은 국가 연구개발의 참여율 상승과 연구개발 규모의 확대가 나타났으며, 대기업과의 협력 확률 상승도 나타났다. 이에 비해 성숙기 벤처기업은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정부의 연구개발사업의 확대가 연구개발의 집중도가 높은 초기단계의 벤처기업에 집중되었으며, 외부적으로 알려져 있던 대기업과 중견기업 중심의 지원을 넘어 산업 생태계 전반으로 지원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Japanese export restriction on Korean high-tech industry shows the weakness of the supply chain structure of Korean semiconductor and display manufacturing. The Korean government had established and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resolve the supply chain instability of the high-tech industry. As one of main policy methodologies, the national R&D funds were expanded.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participation of venture firms had expanded with the expansion of national R&D projects using Tobit and Logit models with difference-in-difference approach. The results show that venture firms in the early stage increased their participation rate in national R&D, expanded the scale of R&D, and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cooperation with large companies. In contrast, mature ventur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t represents that the government's expansion of R&D projects has been concentrated on early-stage ventures with high R&D intensity, and that the support has been extended to the entire industrial ecosystem beyond the externally known support centered on large and medium-sized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