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의 신뢰와 보안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 맥락적 연구 기반의 사용자 조사를 통

        정승호(Chung, Seungho), (Nah, Ke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3

        본 연구는 맥락적 연구에 기반을 둔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의 향상된 신뢰, 보안의 사용자 경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맥락적 연구 방법을 이용해 사용자 8명을 대상으로 면밀한 사용자 조사를 시행하였다. 해당 사용자 경험에 대한 결과 분석을 통해 다음 과 같은 방향성을 정의하였다. 첫째, 낮은 신뢰도 극복을 위해 개인 정보 보호, 보안 등의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했다. 둘째, 비밀번호 입력에 있어 강화된 노출, 유출 방지의 노력과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셋째, 빠른 속도의 응답 대신 사용자가 프로세스를 확신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경험의 중요성을 제안하였 으며, 마지막으로 숨겨진 보안의 기술적 가치를 서비스 전반에 제공할 것을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사용자 경험의 이해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뿐 아니라 모바일 핀테크 전 영역에 사용자 경험의 가치가 반영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user experience of improved trust and security in payment process through contextual research. With the understanding backgrounds, the study of the user experience related with mobile payment service through contextual research. As a result, this study has defined 4 directions of improved trust and security experience for using mobile payment process. First, the service operators should manage the security of personal information for overcoming the low levels of trust Second, the level of security should be strengthen when users input the password. Third, some processes might be shown slowly instead of fast feedback and process for precess monitoring. Fourth, well-planned information which explain the security technology might be shown all service steps as a evidence of trust and security. This study will provide a reference to user experience approach to discovering the solution of the mobile based fintech research.

      • KCI등재후보

        디자인사고 팀 구성원의 마인드셋 평가 방향성에 관한 연구 용어정의, 용어구조와 디자인사고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류선주(Ryu, Sun Joo), (Nah, Ke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3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팀 활동이다. 팀 브라운(tim brown)은 디자인사고 팀의 티자형(t-shaped) 인재를 강조하였다. 1) 데이비드 켈리(david kelly)는 디자인 사고에서 다학제 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2) 톰 켈리(tom kelley)는 혁신은 궁극적으로 팀 스포츠라 하였다. 3) 디자인사고에서 팀 구성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음에도 팀 구성을 위한 디자인 사고 속성에 대한 연구나 속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디자인사고의 마인드셋(mindset)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첫 번째로 선행 연구 분석, 전문가 인터뷰, 대학생 설문조사를 통하여 디자인사고의 속성을 분석하고 대표적 마인드셋 다섯 가지 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공감능력(empathy), 협동심(collaboration), 실험정신(experimentation), 통합사고력 (integrative thinking), 열린 사고(open mind). 두 번째로, 도출된 마인드셋의 정의와 사고구조, 디자인사고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각각의 평가방향을 제시하였다. 공감능력 평가에서는 인지적 공감능력과 감정적 공감능력에 대한 평가도 포함되어야 하며 협동심 평가에서는 응낙(conformation), 팀워크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함께 평가하여야 한다. 실험정신 평가에서는 시도(try-out)의 속성과 새로운 시도시의 마음가짐(호기심, 열정, 그리고 새로운 시도를 환영할 수 있는 마음가짐)도 평가되어야 한다. 통합적 사고 평가에서는 모호성을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ability to embrace ambiguity), 종합할 수 있는 능력(ability to synthesize), 시스템 사고능력(ability to think systematically)의 평가가 포함되어야 하며 열린 사고 평가에는 적응프로세스(accommodation process) 4) 의 속성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Design Thinking is a team activity by people from diverse backgrounds. Tim Brown emphasized t-shaped talent, David kelly stressed the importance of multidisciplinary teams in design thinking, and Tom kelly noted that innovation is ultimately team sports. The importance of team composition has been emphasized but the study of design thinking attribute and method for evaluating attributes for the team composition has been insufficient.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derived 5 required mindsets for design thinking by analyzing the nature of design thinking through previous studies, expert interviews, and university student surveys. Those 5 mindsets are empathy, collaboration, experimentation, integrated thinking, and open mind in order of importance.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suggested evaluation guideline for each mindset through studying definition of each term, term structure and relationship to design thinking. Empathy assessment should include evaluating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Collaboration evaluation should include assessing attributes of conformation and teamwork. In order to evaluate spirit of the experiment, nature of the try-out and the attitudes of curiosity, enthusiasm, and welcome-mind must be evaluated. Evaluation of integrative thinking should include assessment of the ability to embrace ambiguity, the ability to synthesize, and the ability to think systematically. Open mind evaluation should include attributes of the accommodation process.

      • KCI등재후보

        공예 핵심 역량과 공예 교육 방향성에 관한 연구

        박혜영(Park, Hye Yeong), (Nah, Ke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3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공예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미래 공예 분야를 이끌 인재 양성을 위한 공예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현대 공예의 가치와 속성을 교육적 관점으로 재분류하고 최근 10년의 공예 선행 연구를 조사하여 미래 인재 핵심 역량 4C(창의성, 의사소통능력, 협업 능력, 비판적사고력)와 공예 핵심 역량의 연관성을 찾아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를 통해 공예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현대 공예의 교육적 가치를 보편성, 특수성, 전통성, 혁신성의 네 가지의 특성으로 재구성 하였다. 또한 미래 인재 핵심 역량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고, 2008~2018년까지 최근 10년 동안 연구된 공예 교육 관련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창의성, 기술, 생활 활용, 디자인사고, 문제해결 등의 주요 공예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키워드와 4C의 연관성을 살펴 본 후 대상별 미술 교과 교육 과정의 목표 및 특징을 바탕으로 공예 핵심 역량을 적응력, 확장력, 문제해결력, 사회적 공감, 상호존중, 유연성, 통합력, 지식탐구력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현 시대에 공예 교육의 주요 키워드 분석을 중심 으로 공예 교육이 나아갈 방향성을 모색하고 다양한 분야와 공존하고 있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investigate the value of crafts in rapidly changing the modern society and search the direction of craft education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who will lead craft in the future. This study reclassifies the values and attributes of modern craft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and examined the previous 10 years of researches on craft and searched for the direction of education by fin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re 4C (creativity, communication ability, collaboration abil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the key craft competencies. It also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future talented competencies and extracted craft keywords such as creativity, technology, life use, design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on craft education related to the recent 10 years from 2008 to 2018. After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tracted keywords and the 4C, the core skills of crafts were found to be adaptability, expansion, problem solving, social empathy, mutual respect, flexibility, integration, and knowledge exploration based on the goal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art curriculum. This study also found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of craft education, focusing on the analysis of keywords in craft education,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iversification of democratization in the craft sector, which coexists with various fields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