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버섯류-마늘 혼합추출물이 생리활성 및 면역 증가에 미치는 영향

        손준연 ( Jun Youn Sohn ),나행요 ( Haeng Yo Na ),손정선 ( Jeong Sun Sohn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21 산업 식품공학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인 버섯-마늘 추출물의 최적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생리활성 및 면역증가 등 그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국내에서 재배되는 버섯과 마늘을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유용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각각의 추출물을 획득하고 이를 분리정제였다. 버섯의 일반성분의 함량과 β-glucan 함량, 유리당 및 유기산에 대한 함량을 비교한 결과 일반성분에서는 수분 8.55±1.08%, 회분 6.59±1.71%, 가용성무질소물 69.46±3.80%의 함량을 가진 백목이버섯이 가장 높았고, 조단백질과 조지방에서 높은 함량을 보인 버섯으로는 동충하초로 각각 26.36±4.42%, 2.50±0.05%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조섬유의 함량은 47.18±4.35%의 영지버섯이 높았다. β-glucan 함량은 표고버섯이 36.38+2.67%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영지버섯이 22.58+4.38%의 수치를 보였다. 버섯의 유리당은 표고버섯원물인 경우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고, 영지 버섯의 원물인 경우 유리당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유기산에서 Citric acid는 시료 중 백목이버섯 원물만이 검출되었고, 전체적으로 유기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시료는 표고버섯원물로 확인되었다. 마늘은「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서 제시한 알리인 함량, 중금속 및 대장균에 대한 규격에 대해 남해마늘연구소에서 적합판정을 받았다. 그리고 각각의 추출물에서 세포 독성 테스트를 거친 경구 투여한 실험용 마우스에서 흉선과 림프절 세포를 얻어 항암효과를 탐색한 결과, Mixed-M/G 2 추출물의 모든 농도에서 흉선세포와 림프절세포의 CD4 T cell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Mixed-M/G 2 추출물이 버섯과 마늘의 혼합 시 시너지 효과를 갖는 시료라고 사료 되며 노인의 면역 증강 및 생리활성의 주요한 수단으로 개발 가능성을 기대해본다. As the world becomes an aging society, various geriatric diseases are induced, posing a tremendous social burde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y food, mushrooms and garlic, which are natural medicinal resource materials, and their mixed extracts were prepared, while the contents of general components, β-glucan, free sugar, and organic acid, were confirmed. In the case of garlic, the contents of alline and heavy metals were confirm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oxicity in each sample was checked through MTT assay in vitro, while the appropriate treatment concentration was established to confirm each extract's immune activation and anticancer effec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nticancer effect from the thymus and lymph node cells of experimental mice administered orally, each extract in vivo confirmed that the CD4 T cells of thymocytes and lymph node cells were increased at all concentrations of the mixed two extracts, and they exhibit immunity activation and anticancer properties.

      • KCI등재

        갓의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항산화 항균의 특성분석

        김의진 ( Eui Jin Kim ),김성웅 ( Sung Woong Gim ),류은혜 ( Eun Hye Ryu ),나행요 ( Haeng-yo Na ),권지웅 ( Ji-wung Kwon ),이수정 ( Su Jung Lee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24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40 No.2

        Purpose: In this study, investigated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effect of red leaf mustard and compared to Dolsan leaf mustard that local specialized food. Methods: According to the harvest times of red leaf mustard and Dolsan leaf mustard, compared composite include crude protein, crude fat, dietary fiber and ash. Also analyzed the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thocyanin each extract solvents and its antioxidant effect include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reactive oxygen species(ROS) and antibacterial effects. Results: The total polyphenol was high in the red leaf mustard more than the Dolsan leaf mustard every harvest time, and the total anthocyanin was high in the Dolsan leaf mustard more than the red leaf mustard.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generally high in the red leaf mustard. Conclusion: The abundance of polyphenols in red mustard is believed to be responsible for th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red leaf mustar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red leaf mustard has a sufficient potential to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