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이후 교육 및 고용 경로 유형과 결정요인: 한국교육고용패널 1-12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문인영(Moon in young),나승일(Na SeungIl)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2004년도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중학교 졸업 이후 생애 단계별 교육 및 고용 경로 분포를 밝히고 그 유형과 유형별 결정요인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국교육고용패널의 1차년도부터 12차년도까지의 자료를 분석했다. 중학교 이후 12년간의 생애 단계는 세 단계로 구분되고, 진학한 고교 유형에 따라 고용 비율이나 경로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이후의 교육 및 고용경로 유형은 최적일치법과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특성화고-전문대-상용직(유형1), 일반고-4년제대,미상-4년제대-상용직(유형2), 일반고-4년제대(유형3), 일반고-4년제대-상용직/대학원(유형4), 일반고-전문대-상용직(유형5), 특성화고-전문대/상용직-상용직(유형6), 특성화고-4년제대-상용직(유형7)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각 유형별로 학업성취도, 교육포부, 월평균가구소득 및 사교육비 지출, 부모학력, 부모의 자녀교육 희망수준, 부모와의 진로대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중학교 이후 교육 및 고용 경로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각 유형별 학생 특성에 따른 진로지도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ducation and employment paths after graduating from middle school in 2004, to identify pattern of the paths and the determinants for each pattern. As a result of dividing after middle school into high school, college, university and work stages, the distribution of education employment after middle school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 of high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the rate that leads to employment is high, and the rate of admission after employment is high, indicating that the original purpose was achieved. Next, by clustering of education and employment paths, vocational high school-college-regular employment (pattern 1), general high school-university & unknown-university-regular employment (pattern 2), general high school-university (pattern 3), general high school-college-regular employment/graduate school (pattern 4), general high school-college-regular employment (pattern 5), vocational highschool-college/regular employment-regular employment (pattern 6), vocational highschool-university-regular employment (pattern 7). Each pattern was classified into gender,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aspirations,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an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parents’ academic background, parents aspiration of children’s education, and communication about career paths with par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outline information on education and employment paths after middle school, and to give implications to career guid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of stud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