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하악설골근신경고랑 뼈다리의 형태

        김희진(KIM Hee-Jm),이규석(LEE Kyu-Seok LEE),이혜연(Hye-Yeon),정인혁(CHUNG In-Hyu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3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6 No.2

        한국인 하악골 마른뼈 385쪽에서 하악실골근신경고랑에 나타나는 뼈다리의 출현빈도와 형태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하악설곤근신경고랑에 나타나는 뼈다리는 385쪽의 하익근 중 39쪽(101%)에서 관찰하였고 왼쪽과 오른쪽의 출현빈도는 비슷하였다. 2.뼈다리가 있는 경우 그 형태는 하악설골근신고랑의 가장자리에 약간 돌출된 것(la형)이 692%뼈다리의 양쪽 돌줄부위가 서로 맞닿아 있는 것(lb형)이 103% 뼈다리가 고랑의 전장을 환전하세 덮어 관을 형성하는 것(Ⅱ형)이 205% 였다. 3.뼈다리는 하악설골근신경고랑의 근위 부분에 384% 고랑의 원위 부분에 있던 것이 256%였다. 4.한국인 하악설골근신경고랑의 뼈다리의 출현빈도는 낮은 편이였으며 다른 아시아인종과 비슷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 혀동맥의 형태

        김희진(KIM Hee Jin),강민규(KANG Mill Kyu),김진학(KIM Jm Hak),박재한(PARK Jae Han),이상섭(LEE Sang Heon),이상헌(LEE Sang Sup),정인혁(CHUNG In Hyuk2) 대한체질인류학회 1997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0 No.2

        연구자들은 한국인 어른 남녀 시신의 머리와 목 61 을 대상으로 깊은 층 육안해부를 시행하여 혀동맥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혀동맥이 일어나는 유형은 위갑상동맥, 혀동맥, 그리고 얼굴동맥이 바깥목동액에서 따로 가지를 내어 나뉘는 경우가 563% 호 가장 않았으며, 얼굴동맥과 혀동맥이 강은 가지에서 얼어나 나뉘는 경우 (312%), 그리고 위 강상동액과 혀동맥이 같은 가지에서 나뉘는 경우 (12 5%) 등이 있었다. 혀동맥과 혀동맥의 둘째 부분은 덮는 목뿔혀근 과의 영대학적 관계는 각각 혀동맥의 첫째 부분이 목뿔혀근 뒤에서 심하게 휘어져 깊은 층으로 들어가는 유형 (41 2 %), 그리고 혀동맥의 첫째 부분이 목뿔혀근의 뒤쪽 근육모셔리 바로 뒤흘 지나 깊은 층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661% 로 가장 많았다 목뿔혀근 깊은층에서 혀동맥의 둘째 부분이 달리는 양상은 급하게 위쪽으로 꺾역 달리다가 다시 앞쪽으로 꺾여 혀의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경우와 목뿔빼에서 혀쪽으로 완만한 굽이플 이루며 올라가는 경우가 비슷한 반도로 관찰되었다. 입안바닥에 분포하는 혀밑동맥이 혀동맥 셋째 부분에서 나오는 경우슨 전체의 590% 에서만 관창되었으며 그 외는 대부분 얼굴동맥의 턱끝 및동맥 가지가 턱옥뽕근응 옳고 입안바닥에 분포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한국인 업안바 닥에는 혀동액이 전체의 59%에서만 분포하며 그외는 영굴동액의 턱끝밑동맥 가지 , 그리고 기타 다른 동맥의 가지들이 분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국 어른 광대뼈의 계측과 광대얼굴 및 광대관자구멍의 형태

        김희진(KIM Hee Jm),백두진(P AIK Doo Jm),최병영(CHOI Byung Young),정민석(CHUNG Mm Seok),한승호(HAN Seung Ho),황영일(HWANG Young II),손현준(SOHN Hyung Jun),정락희(CHUNG Rak Hee),고기석(KOH fu Seo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0 No.2

        얼굴모양에 많은 영향을 주는 광대뼈에 대한 재정인류학적 특정을 밝히기 위해 한국인 머리뼈 192예를 대상으로 광대뼈를 계측하고 비계측적인 특성들을 조사하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 광대활사이폭 (bizygomatic breadth)은 평균 134 8mm (남자) 126 6mm (여자) 이었다. 2. 양쪽 Jugale사이폭 (bijugal breadth)은 117 3mm(남자), 110 1mm(여자) 이었으며 중간눈확폭 (mid -orbital breadth)은 53 5mm (남자), 52 2mm (여자)이었다 또한 위턱뼈사이폭(bimaxillary breadth)은 98 9mm (남자), 94 8mm (여자) 이었다. 3. 귀구멍점과 눈확바깥점 사이거리 (oder-tiefe)는 71 1mm(남자) 69 Omm (여자) 이었고 귀구멍점과 광대뼈사이거리 (ohrjochbeinlange)는 54 2mm( 남자 ),53 1mm(여자) 이었다 4. 광대뼈아래길이 (infenor zygomatic length)는 32 2mm (남자) 29 6mm(여자), 광대뼈최대길이(maxi-mum zygomatic length)는 54 5mm (남자), 50 5mm(여자) 이었다. 5. 광대뼈높이는 49 6mm (남자), 45 8mm (여자) 이었다. 6. 광대얼굴구맹과 광대관자구멍의 평균 개수는 각각 1 7 0 8개로 이 구멍들의 크기는 작은 것 (03mm_10mm)이 가장 많았다 7. 광대얼굴구멍과 광대관자구멍의 위치를 광대활의 위변과 눈확의 아래면을 이은선을 기준으로 아래부위 연경선위, 위부위(위 중간, 아래로 세분)로 나누어 본 결과, 광대얼굴구멍은 연결선아래 (몽통)에 있는 유형이 가장 많았고 광대관자구명은 연결선의 경계 부위와 이마돌기에 있던 경우가 가장 않았다.

      • KCI등재

        환추골 위관절면의 형태에 관한 연구

        이규식(LEE Kyu Seok),김희진(KIM Hee Jm),이혜연(LEE Hye Yeon),정인혁(CHUNG In Hyu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3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6 No.2

        황주골 105예를 대상으로 위관절면을 계측하고 형태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황주골 위관절면의 앞뒤길이는 평균 23 18±2 31㎜였으며 남자가 23 61㎜ 여자가 22.35㎜였다. 넓이는 평균 187 92±20 11㎜였고 남자가 190 23㎜ 여자가 183 50㎜였다. 판주글 위관절면에 크기는 남자가 컸으나 왼쪽과 오른쪽은 차이가 없엇다. 2.징중시상면과 판주골 위관절면 앞부분의 견축이 이르는 각도 그리고 관절면 앞부분의 긴축과 뒤부분의 긴축이 이루는 각도는 남자와 여자 그리고 왼쪽과 오른쪽에서 모두 차리를 보였다(p<0 05) 3.환주골 위관절면의 형태에서 남자는 1형이 가장 많았고 (38 1%) 여자는 Ⅳ형이 가장 많았다. (33 4%) 남녀 모두에서 왼쪽은 1형이 가장 많았고(37 5%) 오른쪽은 Ⅳ형이 가장 많았다.(36 9%) 4.파주골 위관절면이 두 개로 나뉘는 빈도는 30 0%였고 왼쪽이 오른쪽 보다 높았다. 관절면이 완전히 분리되는 빈도는 양쪽 관절면에서 똑같이 2 9%를 보였다. 덧관절면의 줄현빈도는 29 4%였고 여자는 오른쪽이 높았고 (30 3%) 남자에서는 왼쪽이 높았다(31 7%) 전체적으로 오른쪽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다(27 6%) 5.가로돌기둿구멍 또는 뒷고랑의 출현빈도는 39 7%였고 구멍보다는 고랑의 출현빈도가 높았고 왼쪽 보다는 오른쪽에서 출현빈도가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