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L7 표준임상문서구조를 사용한 전자퇴원요약의 생성, 저장, 관리 시스템

        김화선(Hwasun Kim),일곤(Ilkon Kim),조훈(Hune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33 No.2

        병원정보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은 다른 병원정보시스템과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므로 상호운영성(Interoperability)이 배제되어 왔다. 이 연구는 HL7 표준임상문서구조(Health Level 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와 XML 스키마의 분석과 설계를 통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병원정 보시스템을 제안한다. 퇴원요약지로부터 필수 항목을 규정하여 템플릿을 정의한 후 임상문서구조를 설계하여 자동적으로 임상문서를 생성되도록 하였다. XML 스키마는 HL7에서 정의한 참조정보모델(Reference Information Model)을 기반으로 분석하였고, 전송 프로토콜은 HL7 V2.4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첫째, 국제 표준인 HL7 표준임상문서구조를 사용하기 위한 확장과 정제과정의 연구를 했으며, 둘째, 표준임상문서구조를 사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차세대 병원정보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퇴원요약 표준임상문서구조에 대한 본 연구로 말미암아 평생전자의무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과 임상데이타저장소(Clinical Data Repository)를 포함하여 다양한 보건의료기관 간 의료정보 공유의 기반이 될 것이다. Interoperability has been deemphasized from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in general, because it is operated independently of other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This study proposes a future-oriente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design and actualization of the HL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A clinical document is generated using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by analysis and designing the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after we defined the item regulations and the templates for the release form and radiation interpretation form. The schema is analyzed based on the HL7 reference information model, and HL7 interface engine ver.2.4 was used as the transmission protocol.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an expansion and redefining process conducted, founded on the HL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and reference information model, to apply international standards to Korean contexts. Second, we propose a next-generation web base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at is based on the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In conclusion, the study of the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will include an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and a clinical data repository (CDR), and also make possible medical information-sharing among various healthcare institutions.

      • KCI등재

        청소년의 체험활동과 공동체의식 및 학교적응의 관계

        김화선 ( Hwasun Kim ),신인순 ( Insoon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체험활동과 공동체의식 및 학교적응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분석을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자료에 기반을 두고, 중학교 1학년 패널 1차 년도(2010년)부터 4차년도(2013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총 2,351명이다. 종단연구 자료의 변수들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활동과 공동체의식은 상호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체험활동시간이 공동체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공동체의식도 체험활동시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체험활동과 학교적응 간 인과관계는 모형적합도 수준이 낮아 이 관계를 도출하지 못했다. 셋째, 학교적응은 공동체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공동체의식은 학교적응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과 학교적응을 위한 방안으로 체험활동의 질적 향상을 제언하였고, 코로나19로 인해 발생된 시대변화에 맞춰 체험활동도 새로운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experience activitie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school adaptation. For analysis, based on the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data from the 1st year (2010) to the 4th year (2013) were used for the 1st grade junior high school panel, and a total of 2,351 people were analyzed.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the longitudinal study dat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xperiential activitie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had mutual influence. In other words, the youth’s experiential activity tim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 community conscious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riential activity time. Seco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chool adaptation was not able ton derive this relationship due to the low level of model fit. Third, adaptation to school has a positive effect on community consciousness, but community consciousness has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Based on this, it was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xperience activities as a plan for adolescents’community consciousness and adaptation to school. And it was said that it was necessary to find a new method for experiential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caused by Corona 19.

      • KCI등재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노인인권인식과 전문성이 사회복지실천유형에 미치는 영향

        김화선 ( Hwasun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노인인권인식과 전문성이 사회복지실천유형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노인복지시설에서 노인들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노인돌보미 등의 종사자들이다. 연구결과, 종사자들은 노인의 인권에 대해 보통 수준으로 심각하게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성은 다소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사회복지실천 유형은 중간 수준의 지시 유형을 나타냈다. 사회복지실천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문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노인인권인식은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노인의 존엄성과 가치, 능력 등을 인정하고, 노인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는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논의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human rights perception and professionalism on the social welfare practice type of the senior welfare facility practition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ocial workers, long-term care workers, caregivers who provide service directly to the older person in the senior welfare facilities. As a result, the practitioners recognized the human rights of the older person as moderate, did not perceive it as serious. And Professionalism was somewhat higher, types of the social work practice showed a middle level of directiveness mode. Professionalism was found to be a factor affecting types of the social work practice, human rights perception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Based on this, we have recognized the dignity, value and abilities of the older person and laid the foundation for discussing social work practices respecting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older person.

      • KCI등재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김화선 ( Hwasun Kim ),노인숙 ( Insuk Rho ),홍지명 ( Jimyeong H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대인관계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J도에 소재한 대학의 학생들이다. 연구결과, 스트레스에 대해 능동적 대처방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대인관계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스트레스 상황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이 높음을 의미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증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ccording to stress coping style of college students, and the effects of coping style on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llege students in J province. As a result, the group with high active coping style for stress showed higher interpersonal competence than the group with low active coping style. And the stress coping style of college students was found to affect interpersonal competence. This means that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who want to actively solve the stress situation are high, and stress coping style have proven to be important factors in improving interpersonal competence. Based on this, the change of stress coping style was suggested as a way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