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 가죽을 활용한 업사이클 패션디자인 개발

        박종한 ( Jong Han Park ),김현주(교신저자) ( Hyun Joo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폐 가죽을 활용한 업사이클 패션디자인 개발을 통해 산업폐기물의 업사이클링에 대한 가능성을 재조명하여, 패션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디자인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에 대한 고찰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고, 업사이클링 소재로서 폐 가죽의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폐 가죽을 활용한 업사이클 패션제품 총 12점을 디자인 및 제작하였다. 연구내용에 이론적 배경과 작품 제작, 그리고 그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은 기존의 환경 친화적 패션디자인의 개념들과 구분되며, 디자인을 통한 새로운 가치를 더한 제품으로 재탄생 시키는 것을 뜻 한다. 둘째, 업사이클링 소재로서 폐 가죽의 제한적 요소를 형태의 제한, 크기의 제한, 공급의 제한으로 정리 할 수 있다. 셋째, 업사이클링을 통해 폐 가죽의 제한적 요소를 극복하여, 미적, 상업적 활용성(생산성)을 높이고자 패션소재개발의 한 방법인 패치워크와 스키공법을 병행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업사이클 패션제품의 예술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상업성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궁극적으로,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버려지는 소재의 특성을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패션제품개발에 적용한다면, 업사이클 패션제품은 패션시장의 경쟁력 있는 상품이 될 수 있으며 패션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으로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후속연구를 통하여 업사이클 패션제품에 대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이 활발히 연구되어 업사이클 패션제품의 경쟁력을 강화 시킬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sit the industrial waste upcycling potential by studying the development of leather waste upcycling in fashion design. The goal is to introduce design measures in order to continuously develop a sustainable fashion industry and to popularize fashion design upcycling. Therefore, this research considered upcycled fashion design’s theoretical backgroun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leather waste as an upcycling material. Finally,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analysis, twelve pieces of upcycled fashion products using leather waste were designed and produced. This paragraph summarizes the research’s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oducts’ production, and the final outcomes. First, upcycling in fashion design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design concepts in the sense that it seeks to rechristen the product by adding new value through the design process. Second, leather waste’s limitations as an upcycling material can be identified based on its restrictions in shape and size, along with its supply limitations. Third,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with upcycled leather waste, the patchwork method, an approach to fashion material development, and skiving were simultaneously applied. This approach extends past the idea of simply recycling leather waste. These applications allowed the researchers to explore the upcycled fashion products’ commercial values and highlight their artistic values. Ultimately, if one is able to identify the disposed materials’ characteristic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upcycled fashion design and apply this knowledge effectively to fashion products’ development, upcycled fashion products can compete in the fashion market and contribute to the fashion industry’s overall continuous progress. We hope to strengthen upcycled fashion products’ competitiveness through further research of their branding and market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