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유물에 대한 보존행위의 본질과 범위 및 그 한계

        김현선 ( Hyeonseon Kim ) 연세법학회 2023 연세법학 Vol.41 No.-

        보존행위(민법 제265조 단서)의 개념에는 공유물의 멸실·훼손을 방지하고 그 현상을 유지하기 위한 사실적·법률적 행위뿐만 아니라, 긴급을 요하는 행위이어야 하며, 더 넓은 의미로 다른 공유자에게도 이익이 되는 행위 등도 포함되어 있다. 종래 판례는 보존행위에 관한 공유자들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른 공유자에게 불이익을 초래할 염려가 있거나 긴급을 요하지 아니한 행위도 이해관계가 충돌된다고 볼 수 있는데도 보존행위에 해당한다고 하여 보존행위의 범위를 지나치게 넓게 보았다. 그러나 현재 판례는 어느 공유자 1인이 보존권을 행사하는 때에 그 행사의 결과가 다른 공유자의 이해관계와 대립되거나 충돌될 때에는 다른 공유자에게 이익이 부합되지 않으므로 그 행사는 보존행위로 될 수 없다고 보아, 보존행위의 범위가 축소되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보존행위의 개념이나 범위가 명확하지 않은 현행법 체계하에서는 확대나 축소해석할 근거가 부족하고, 또한 ‘현재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도 공유물 인도청구와 방해배제청구권의 논거를 달리 정하여 판단하는 등 논리적 모순이 있어, ‘현재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다수의견으로 그 해법을 찾기에도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이다. 따라서 어떤 시각에서 보존행위의 본질을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그 범위가 달라지게 되어 거래계의 혼란이 가중되는 등 논란이 계속되고 있어 현재의 이론과 판례로는 그 한계에 이르렀다고 보인다. 특히, ‘종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법리는 오랜 세월에 걸쳐 확립된 것으로, 공유관계에서 자주 발생하는 소수지분권자의 공유물에 관한 자의적·독점적 점유로 인한 위법 상태를 다른 소수지분권자가 인도 청구 또는 방해배제청구의 방식으로 일관성 있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점에 관한 성과는 높이 살 만하다. 러한 의미에서 필자는 체계적·논리적 해석을 통해 당해 민법 제265조 단서 조항의 진정한 의미를 합리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보존행위는 행위주체에 따라 독립된 권리로서 공유에서는 공유의 본질 속에서 그 의미를 살펴야 하고, 공유의 본질보다 선행되어 무소불위 권리로 판단되어서는 안된다는 전제하에 보존행위의 본질과 범위 및 그에 대한 한계를 재설정해 보았다. 즉, 보존행위의 판단에 있어서 원칙적으로 ‘사실적 보존행위’만 인정하되 예외적으로 ‘법률적 보존행위’가 보존행위라고 하기 위해서는 보존행위에서 고려하는 이익의 개념을 『침해 받는 이익의 보호가치, 침해의 중한 정도, 위반행위로 얻는 이익의 가액, 이익의 산정 시점 등 모든 상황을 고려하여 다른 공유자들이 수긍할 정도라고 평가되는 행위』로 엄격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 In the concept of preservation act stipulated in the proviso to Article 265 of the Civil Act, it must be an act that requires urgency as well as a factual and legal act to prevent the loss or damage of public property and to maintain the status quo. In a broader sense, this includes acts that benefit other co-owners as well. Previous Supreme Court of Korea precedents have stated that “if co-owners do not agree with each other on the preservation act, there is a risk of causing a disadvantage to other co-owners, or an act that is not urgent is considered a preservation act even though it can be regarded as a conflict of interest.” Such a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recognizes the scope of conservation actions too broadly. However, the current precedent states that “when one co-owner exercises the right of preservation, if the result of the exercise conflicts or conflicts with the other co-owners, the other co-owner does not have the interests of the other co-owners, so the exercise cannot be considered an act of preservation.” Therefore, according to Court precedents, the scope of conservation activities tends to be reduced. Controversy continues, such as aggravating confusion in the trading world, as the scope of preservation activities varies depending on how one views the essence of conservation activities. Therefore, it seems that current academic theories and precedents have reached the limit of regulating transactions. In particular, the jurisprudence of the ‘previously enacted ruling of the Supreme Court’ has been establish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it is worth praising the achievement of consistently solving the illegal situation caused by the arbitrary and monopolistic occupation of common property by minority equity holders, which often occurs in joint-sharing relationships, by other minority equity holders in the form of a request for extradition or a claim for exclusion of obstruction. In that sense, I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reasonably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the proviso of Article 265 of the Civil Act through a systematic and logical interpretation. Therefore, the act of preservation is an independent right depending on the subject of the act, and in the case of joint ownership, its meaning must be looked into in the nature of joint ownership, in addition, the nature and scope of the preservation act and its limits were reset under the premise that it should not be judged as an inalienable right ahead of the nature of propertty sharing. In other words, in principle, only factual acts are recognized in judging preservation acts, but in order to say that legal acts are preservation acts as an exception, it is necessary to strictly judge the concept of profit considered in preservation acts. Therefore, considering all circumstances, such as (i) the protection value of the infringed interest, (ii) the seriousness of the infringement, (iii) the value of the profit from the violation, and (iv) the timing of the calculation of the profit, only an act that is evaluated to have a certain degree of existence should be recognized as an act of conservation.

      • KCI등재

        행정절차법상 청문주재자의 의견서 공개 여부에 관한 고찰

        김현선 ( Kim¸ Hyeon-seon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一鑑法學 Vol.- No.50

        청문주재자는 청문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의견수렴과 증거조사를 한 후에 당사자 등의 진술요지 및 증거조사 요지 등을 정리하여 청문조서를 작성하여야 한다(행정절차법 제34조 제1항). 또한, 청문조서를 바탕으로 청문주재자가 당사자등의 압력을 받지 않고 공정하고 자유롭게 처분부서의 처분의 원인이 된 사실에 대한 당사자등의 주장에 이유가 있는지 여부에 관한 종합의견인 의견서를 작성하여야 한다(행정절차법 제34조의2). 당사자등은 청문조서의 내용을 열람·확인할 수 있으며, 이의가 있을 때에는 그 정정을 요구할 수 있는 명문의 규정(행정절차법 제34조 제2항)을 두었지만 청문주재자의 의견서는 열람·확인할 수 있는 규정이 없다. 따라서 청문주재자의 의견서는 행정절차법 제37조에서 정한 문서의 열람 또는 복사를 요청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청문주재자의 의견서를 행정절차법 제37조에 의하여 열람 또는 복사 요청을 하려면 “행정청에 해당 사안의 조사 결과에 관한 문서 등”에 해당하는가? 만약 위 문서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정보공개법 제9조 제1항에 의하여 공개여부를 판단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점에 관하여 전혀 논의된 바가 없기 때문에 먼저 각 국의 청문주재자 의견서 관련 규정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행정절차법 제37조 제1항의 “행정청에 해당 사안의 조사 결과에 관한 문서 등”의 문서의 범위에 청문주재자의 의견서가 포함되는지 여부와 마지막으로 정보공개법으로 청문주재자의 의견서를 공개할 수 있는지 예상되는 학설을 설시하여 살펴본다. The person in charge of the hearing shall prepare a hearing report by arranging the summary of statements made by the parties, etc. and the summary of evidence examination after sufficiently collecting opinions and examining evidence in the course of conducting a hearing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rticle 34, Paragraph 1). In addition, based on the hearing protocol, the person in charge of the hearing shall prepare a written opinion that is a general opinion on whether there is any reason for the claim of the parties, etc. as to the facts that caused the disposition of the disposition department, etc., fairly and freely, without pressure from the parties, etc. (Article 34-2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Parties, etc. may peruse and verify the contents of the hearing protocol, and there is a stipulated provision (Article 34 (2)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that can request correction if there is an objection, but there are no rules on the opin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hearing can be viewed and verified. Therefore, the opin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hearing is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request the perusal or copying of the documents stipulated in Article 37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In order to request to read or copy the opin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hearing pursuant to Article 37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is it “a document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f the case, etc. to the administrative agency”? If it does not fall under the above documents, it will have no choice but to decide whether or not to disclose it according to Article 9 (1)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t. Since this point has not been discussed at all, let’s take a look at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hearing chairperson’s opinion in each country first. Next, it is reviewed whether or not the opin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hearing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documents under Article 37 (1)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documents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f the case to the administrative agency, etc.” Finally, I will individually criticize and examine the theories that are expected to disclose the opin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hearings through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