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웃음 유발프로그램의 효과

        강민우(Min-woo Kang),김도연(Do-youn Kim),김큰별(Keun-byul Kim),안지혁(Jee-hyuk An),오예림(Ye-rim Oh),이경언(Kyung-eon Lee),임경호(Kyoung-ho Lim),최희선(Hui-seon Choi),정현철(Hyeon-cheol Jeo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본 연구는 웃음 유발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웃음지수와 주관적 행복감 척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7년 4월 27일부터 5월 31일까지 S대학교에 재학 중인 30명을 대상으로 접수 순서에 따라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배정하여 진행하였다. 실험군에게는 웃기는 영상과 웃음유발 레크레이션으로 구성 된 웃음 유발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대조군에게는 무 미건조한 영상과 독서 등으로 구성된 안정감을 주는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21 program을 이용하였는데 웃음지수와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두 군 간의 차이는 공분산분석(ANCOVA)으 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웃음지수는 실험군(4.04±0.53점)이 대조군(2.97±0.76점)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F=39.54, p<.001). 행복감도 실험군(3.71±0.62점)이 대조군(2.81±0.81점)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31.92, p<.001). 결론적으로 웃음이 행복감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침으로 인해 삶의 행복지수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a non - equality control group pre - and post - experiment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ughter inducement program on college students laughter index and subjective well - being sca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randomly assign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order of receipt of 30 students attending S University from April 27 to May 31, 2017. For the experiment group, a laugh - inducing program consisting of funny video and laugh - inducing recreation was performed, and a control program consisted of humorous image and read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variance analysis (ANCOVA) for SPSS Ver.21 program. As a result, the Laughter Index increased significantly (F = 39.54, p <.001) in the experimental group (4.04 ± 0.53 points) than the control group (2.97 ± 0.76 points). Happines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3.71 ± 0.62) than in the control (2.81 ± 0.81) (F = 31.92, p <.001).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laughter can have an effect on happiness and can help increase happiness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