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인도와 태국 관계

        김찬완(ChanWahn KIm) 21세기정치학회 2013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3 No.2

        The relations between India and Thailand have drastically improved in recent years. This study has analyzed how far India's look-east policy, regarding the Northeast region, has contributed to the improved relations between India and Thailand and assessed the limitations of such policy about the relation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This study has found that India's look-east polic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Northeast region, has certainly contributed to the closer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Obviously, it was possible to have this kind of positive outcome because India's look-east policy has harmonized with the look-west policy of Thailand. This article has argued that the improved relations between India and Thailand focusing on the Northeast region will not be confined within the bilateral relations, but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ltilateral relations such as BIMSTEC and MGC. In this regard, one could say that India can achieve the goals of its foreign policy that will ultimately establish a closer relationship with Southeast Asia, especially with the mainl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To achieve that goal, what is most important is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India and Thailand. If India successfully creates a connection, such as the construction of a highway and railway from India to Thailand through Myanmar, according to New Delhi's plan, the look-east policy can be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foreign policies of Indi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인도는 중견(간)국 인가?: 신비동맹정책을 중심으로

        김찬완(Kim, Chanwah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21 남아시아연구 Vol.27 No.2

        인도의 전통적인 비동맹정책은 미국의 주도권을 위협할 정도로 G2로서 급부상한 중국을 대처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런 상황에서 인도가 국제정치에서 전통적으로 추구해왔던 비동맹정책을 지속하고 있는지 아니면 어떤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미·중 주도권 싸움에서 인도는 어떤 관점을 취하고 있으며 그 위치는 중견국의 모습을 보이는지 아니면 대국으로서의 위치를 찾기 위한 전략인지 논의해볼 필요가 있다. “인도는 중견(간)국인가?”라는 답을 찾기 위해 중견국을 정의하는 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접근법인 국가 속성, 행태적, 정체성과 아이디어 접근법을 적용해보았다. 분석 결과 인도는 현실주의의 국가 속성과 자유주의의 행태적 접근 측면에서 중견국이라고 주장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강대국들 사이에 끼인 지정학적 중간국도 아닌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중국을 견제하는 대국으로 성장하고자 하는 목적을 명확히 해나가면서 군사, 안보 분야에서 사안별 동맹을 맺어나가고 있는 신비동맹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인도는 정체성과 아이디어 접근법 측면에서 중견국이라고 할 수 있다. India"s traditional non-alignment policy is insufficient to deal with China, which has emerged as a G2 rapidly to the extent that it threatens the hegemony of the United States. Under this circumstance,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whether India is continuing its non-alignment policy,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pursued in international politics, or whether there are any chang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at perspective India is taking in the battle for dominan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whether its position is a middle power or a great power. In order to find out an answer to “Is India a middle power country?”, this study applied the existing three approaches to middle power based on national attributes, behavioral traits, and identity and id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unreasonable to claim that India is a middle power in terms of national attributes of realism and behavioral approaches of liberalism. It also confirmed that India is not a geopolitical middle ground state sandwiched between great powers. However, one may say India is a middle power in terms of its identity and idea approach as it has clarified its purpose of growing into a great power that holds China in check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케랄라 빤짜야뜨와 여성권한

        김찬완(Kim, Chan-Wahn),김성희(Kim, Seong-Heui)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5 남아시아연구 Vol.21 No.1

        이 글은 사회발전, 정치발전의 상징으로 대표되는 ‘케랄라 모델’을 빤짜야뜨(Panchayat)와 여성권한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특히 빤짜야뜨를 중심으로 성공적으로 구축했다고 알려진 공공 보건의료체계와 여성권한 향상의 상징으로 알려진 케랄라 간호사 집단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드레즈와 센의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통합적 관점(integrated view of development)을 분석의 기본 틀로 하고, 인간의 자유와 복지를 강화시키는데 핵심 요소인 ‘인간 행위주체(human agency)’를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징권력(symbolic power) 재생산에 대한 피에르 부르디외의 이론을 접목하여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 분석결과 케랄라 주정부는 보편적 건강복지증진을 위해 빤짜야뜨를 중심으로 공공 보건의료체계를 재편하여 인도에서 최초로 지방분권화 하는데 성공했지만 제한된 자치권,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빤짜야뜨 구성원들의 낮은 지식, 미미한 예산 배정 등으로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여성의 권한 측면에서 케랄라는 인도의 여타 주에 비해 월등히 높은 기록을 유지하고 있다. 케랄라 내 전문직 최대 집단인 간호사들은 경제적인 권한은 향상되었으나 사회적으로 상징자본을 확보하지 못해 여전히 자신들의 자유와 복지를 향상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케랄라 발전 방식은 지속가능한 모델로 인정받기 어려울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Kerala model, which represents a symbol of social and political development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anchayat and women’s empowerment in Kerala. Especially, the research focuses on the public healthcare system that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led by the Panchayat and the nurse group, which was known as a symbol of women’s empowerment in Kerala.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Dreze and Sen’s framework of integrated view of development. In order to effectively explain human agency as a core factor for strengthening human freedom and well-being, the study added the theory of Pierre Bourdieu’s reproduction of symbolic power. Our analysis shows that, for the first time, in India, the state government of Kerala successfully decentralized the public healthcare system based on Panchayat in order to promote universal healthcare and well-being of the people. The governmen is, however, facing a crisis because of the limited autonomy of the Panchayat, the Panchayat members’ lack of knowledge, and the succinct allocation of budget by the Panchayat to the health sector. Kerala has achieved the highest record in women’s empowerment than any other state in India. The nurses in Kerala, as the largest professional group in the state, have enhanced their economic empowerment, but they could not improve their own freedom and well-being because they could not acquire the symbolic capital in the society. If the public healthcare system based on the Panchayat and the empowerment of the nurses are not effectively addressed, this dual situation will make hard to view this social and political development in Kerala as sustainable.

      • KCI등재

        UPA집권 성공요인과 2009년 인도 총선거 특성연구

        김찬완(Kim, Chan-Wah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0 남아시아연구 Vol.15 No.3

        이 글은 2009년 인도 총선에서 UPA가 성공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을 분석하고 선거에서 나타난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UPA의 성공요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INC(I)의 포괄정당으로서의 재 부활을 들 수 있다. INC(I)는 UPA집권 1기 동안 지속적으로 모든 계층과 이익집단을 아우르는 범민족주의 노선을 추구한 결과 여러 지역에서 전통적 지지기반이 회복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둘째는 UPA 1기 정부의 성공적인 국정운영 실적이다. 특히, UPA 1기 정부의 경제정책과 성과는 많은 인도 유권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교육과 건강과 같은 사회분야 발전에 예산 비중을 증대시키는 등 소위 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발전을 추구하면서 연평균 8.9%의 경제성장을 이룩했다. 셋째, 선거이슈측면에서도 INC(I)가 이끄는 UPA는 BJP주도의 NDA에 비해 유리한 입장에 있었다. BJP와 NDA가 총선기간 집중 부각시킨 테러문제, 미국과의 핵협정, 람 세투 문제 등은 인도 유권자들로부터 많은 지지를 받지 못했다. 2009년 인도 총선의 주요 특징도 크게 가지로 설명되어진다. 첫째, 2009년 인도 총선은 핵심 이슈가 부재한 상태에서 주요 정당들의 지도자 브랜드 대결구도로 치러졌다. 둘째, 인도에서 세습 정치가 점차 제도화, 고착화 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제3후보의 역할이 당선자를 좌우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This paper analyses success factors of the UPA and characteristics of the 2009 Indian general elections. It was found that three major factors had played a role in the success of the Congress-led United Progressive Alliance (UPA) in the 2009 general elections in India. First, the INC(I) has somehow revived its earlier strong feature as the catch-all party. It has shown that the INC(I) could recapture its traditional support bases in some states because the party during the first term of the UPA government had pursued the pan-nationalism without concerning race, religion, cate, language, and region. Second, it is analysed that many Indians were satisfied in running state affairs of the first regime of Congress-led UPA. Especially many Indian electorates were happy with averagrst nual growth rate of 8.9% of the first regime of UPA while it increased budgetary allotment for social sectors such as education and health by pursuing so-called “human face development policies”. Thirdly, in terms of election issues, the Congress-led UPA had also an advantages over the BJP and NDA. Indian electorates did not consider some of the issues such as terrorist attacks, Indo-US nuclear deal, Ram Sethu controversy highlighted by the BJP and NDA to have much relevance to them. These factors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victory of the UPA in the 2009 Indian general elections. It is also explained that there are three major characteristics in the 2009 Indian general elections. First, the elections was conducted in the situation where the leaders’ brand of the major political parties played a key role in determining the poll outcome when there was lack of election issues which dominated the election campaigns. Secondly, It was found that hereditary politics has become institutionalized and a permanent feature in India. Third notable feature was that third candidate played a key role in deciding the winner in many constituencies.

      • KCI등재

        인도 정치의 대전환: 2019년 총선을 중심으로

        김찬완(Kim, Chanwah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9 남아시아연구 Vol.25 No.2

        2019 인도 총선 결과 기존의 예상과는 달리 인도국민당(BJP) 주도 국민민주연합(NDA)이 압승하여 재집권에 성공했다. 힌두근본주의 정당이 재집권한 것은 인도 정치사의 대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인도 정치의 대전환은 항상 총선을 기점으로 이루어져왔다. 1967년 국민회의 시스템(The Congress System)의 마감, 1977년 인도국민회의 최초로 인도 중앙 권력 획득 실패, 1996년 연합정치 풍토 조성 등과 같은 대전환이 총선 결과 나타났다. 총선을 기점으로 인도 정치의 대전환이 이루어져왔다는 것은 정당과 정치인들의 역할도 중요했지만 무엇보다 대의민주주의를 받아들인 유권자들의 힘이 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은 2019년 총선을 중심으로 인도 유권자들이 왜 그리고 어떻게 인도 정치의 대전환을 가져오게 되었는지 제인 맨스브릿지(Jane Mansbridge, 2003, 2011)의 대의민주주의 이론을 접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2019년 인도 총선에서 유권자들이 BJP를 선택한 투표 형태는 회고적 투표1)와 정체성을 중시하는 투표 행태가 복합적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디 2기 내각과 BJP는 앞으로 예측에 입각한 대의와 자이로스코프적 대의를 지향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정치과정에서 모디가 이끄는 인도국민당은 “힌두의 인도”, “성장의 인도”, “강한 인도”, “모디의 인도”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구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As a result of the 2019 general election in India, the National Democratic Alliance (NDA) led by the Bharatiya Janata Party (BJP) had a landslide victory. The second term of Modi government of the Hindu fundamentalist party can be said to be a great transition of the political history of India. The great transition of Indian politics has always been based on the general election. After general elections in India, there were great transitions such as the ending of the Congress System in 1967, failure of INC for the first time in 1977 to acquire the central power in India, and the apparence of a coalition politics in 1996. Although the role of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ians was also important in the great transition of Indian politics after the general election, but most of all, the power of the voters who embraced representative democracy was strong. Therefore, this paper will analyze why and how the Indian voters brought about the great transition of Indian politics, focusing on 2019 general election in 2019, on the basis of Jane Mansbridge"s (2003, 2011) theory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said that voters who voted for the BJP in the 2019 general election in India had a combination of retrospective voting and voting which emphasized identity. In this regard, Modi’s second term will be oriented towards anticipatory representation and gyroscopic representation. In this kind of political process, the BJP led by Modi will continuously pursue to construct “Hindu’s India”, “Growth Oriented India“, ”Strong India“, and ”Modi’s In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