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사회 전문가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요인 연구

        조경훈 ( Kyunghoon Cho ),김진명 ( Jinmyoung Kim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2

        다문화사회 전문가의 육성이 이루어진지 10년이 지나고 있는 현시점에서, 그간의 운영 현황 및 한계를 확인하고 개선을 위한 자료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서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현재 다문화사회 전문가 교육과정이 사회에서 요구하고 있는 역할을 수행하기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자격을 갖춘 전문가가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고 있는 현실에서, 교육 과정을 개편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기 위한 본 연구가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 전문가 제도의 개선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본적인 자료로서 필요한 역량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 이루어졌다. 다문화사회 전문가 및 교육생의 인식을 수집하여 필요한 역량을 탐색적으로 분석한 결과 9개의 역량요인이 도출되었다. 다문화 실천기술, 문화 다양성, 정책전문성, 한국역사 이해, 법률전문성, 현장상담 역량, 한국사회 이해, 타문화 이해, 연구역량이 도출되었다. 즉, 다문화에 대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역량과 우리나라의 생활에 필요한 각종 제도 및 지식에 대한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와 함의를 바탕으로 추후 다문화사회 전문가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ast operating conditions and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and to produce data for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iculum of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is not enough to fulfill the roles required in society. The reality that limited scope of qualified professionals is limited also makes it difficult to operate the multicultural social expert system properly.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social professionals and students, the following competence factors were derived: multicultural practice skill, understanding cultural diversity, policy expertise,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legal expertise, field counseling competence,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research capability. It is hoped that discussions on the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will be made actively using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사적연금제도의 개인의 삶에 대한 통제감 제고 역할에 대한 연구

        이경미 ( Lee Kyoungmi ),김진우 ( Kim Jinwoo ),김진명 ( Kim JinMyo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6

        사적연금은 공적연금을 보완하는 은퇴세대의 주요 소득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강성호 2011). 하지만, 아직 선진국에 비하여 사적연금 가입률은 미미하고 소비자 인식도 미흡하여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KDI 2014).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삶에 대한 통제감이 외부대상을 통해 효과적으로 보완될 수 있다는 보완적 통제 이론(Compensatory Control Theory; Kay, Gaucher, Napier, Callan, & Laurin, 2008)을 바탕으로, 은퇴 후 삶에 경제적 자족을 도와주는 사적연금 제도가 소비자들의 삶에 대한 통제감을 부여하는 심리적 기능이 있다고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실험에서는 삶에 대한 통제감을 획득하는 동기가 활성화 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사적연금에 가입하는 것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사적연금이 삶에 대한 통제감을 부여한다는 본 연구의 가설을 삶에 대한 통제감 획득이 시급한 개인들 (즉, 자아존중감이 낮은 소비자들)이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보다 사적연금 가입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조절효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적연금이 소비자들에게 의미하는 것을 심도있게 이해하고, 사적연금 가입을 효과적으로 장려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Retirement is often perceived as a turning point in a life, which limits one’s control over his or her life and environment, primarily due to biological changes in old age, coupled with changes in social connections after retirement. This perception regarding retirement seems to be fueled by recent public attention toward the emerging era of centenarians, forcing people into longer periods of retirement. In this respect, the question of whether “things are under control” over the course of life becomes particularly relevant to many people today.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retirement savings has grown in recent years (Kang 2011). However, many consumers still do not recognize this importance and have not set up their individual retirement accounts (IRA), making it a critical task for the government to encourage more people to set up their IRAs and save more for retirement. We had one main objective in this research: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savings and sense of control. Specifically, we examined whether sense of control can be a motivating factor for saving for retirement. Would motivation to maintain the overarching sense of control induce individuals to save for retirement? In other words, can retirement savings also provide substantial psychological benefits that are pertinent to today’s individuals - that is, a sense of control over people’s lives? Drawing on compensatory control theory (Kay, Gaucher, Napier, Callan, & Laurin, 2008),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retirement savings may serve as one of the external sources of control upon which people can draw in the face of chaos within their environment and personal lives.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external systems, ranging from the government to a controlling God, serve as the resource to compensate for one’s reduced state of control over the environment (Kay et al, 2008; Kay, Shepherd, Blatz, Chua, & Galinsky, 2010). By identifying the link between a desire for control and retirement savings, we can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underpinnings with respect to perceptions about retirement savings; moreover, we can further suggest that highlighting this psychological function may be an effective way to encourage people to save more for retirement. Specifically, the first study finds that people evaluate individual retirement savings more favorably when they want to restore their sense of control over life (vs. when they do not have such desires). The second study further tests the proposition that individual retirement savings enhances people’s sense of control over life by investigating self-esteem as a moderator: it demonstrates that people with greater need for sense of control over life (e.g., people with low self-esteem) evaluate saving for retirement more favorably when their desire to restore their sense of control is activated, while this effect attenuates among people with less need for sense of control over life (people with high self-esteem).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seek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what individual retirement savings means to consumers and offers novel approaches to encourage consumers to save more for retir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