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양수산업의 인력수급에 관한 연구: COVID 19 이후 고용동향을 중심으로

        김기수(Gisu Kim),최석우(Seokwoo Jake Choi),김주현(Juhyeoun Kim),김태한(Taehan K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글로벌 팬데믹의 영향이 장기화됨에 따라 국내외 다양한 산업에서 매출액 감소, 인력수급 문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불가항력적 상황에 대응하여 산업별로 구체적인 고용 현황을 파악하고 사업체들의 인력문제 해결을 위한 정량적·정성적 자료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하지만 기존의 통계자료로는 구체적인 해양수산업의 업종별 현황 및 인력수급 문제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양수산업 특수분류체계에 따라 2018년 4분기를 기준(=100)으로 2021년 2분기까지의 고용동향을 파악하고 COVID-19 이후 입·이직자, 빈 일자리 수, 신규채용계획 추세를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력문제와 관련된 현안, 인력충원 방법, 인력 지원 사업의 인지 유무 등의 인력수급 문제와 관련된 정성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결과 2020년 2분기 이후 청년층에 대한 이직자 수, 빈 일자리 수와 신규채용 계획은 늘어난 것에 비해 입직자 수는 오히려 2021년 2분기에 급감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COVID-19 이후 사업체들은 인력 문제와 관련하여 인건비 부담으로 신규채용을 유보하는 경향이 컸으며 이에 대해 파트타임 활용, 생산구조 변환 등으로 인력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게다가 정부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인력지원사업에 대한 활용도는 낮아 적절한 정책 홍보와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해양수산 세부산업별 고용 실태와 인력 문제를 파악해 정책적 제언에 기여할 수 있는 바가 큼에도 불구하고 시계열 데이터가 짧은 점, 어업인에 대한 구체적 연구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존재하여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포괄적인 작업이 요구된다. As the impact of the global pandemic is prolonged, various industri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such as decrease in sales and manpower supply and demand. In response to irresistible force circumstance, it is a vital to secur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to identify specific employment status for each industry and further solve manpower problems experienced by businesses. However, existing statistical data have limitations in identifying specific status of ocean and fisheries and also the supply and demand manpower.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employment trends by industry according to the special classification system of Ocean and Fisheries from the Q4 2018(base point, 100) to the Q2 2021 and further analyzed job seeker & turnover, number of vacancies, and new recruitment plans after COVID-19.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qualitative data pertaining to the supply and demand manpower issues such as pending issues, solutions and awareness of support projects. As a results, the number of job seekers dropped sharply in the second quarter of 2021, compar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urnover, vacant jobs, and new recruitment plans for young people since the second quarter of 2020. After COVID-19, businesses tended to withhold new recruitment due to the burden of labor costs, and they solved this by utilizing part-time and converting the production structure. Moreover, it is required that appropriate policy promotion and various content development as the utilization of manpower support project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is low. Further research need to accumulate time series data and comprehensively analyze the status of both industries and fishermen.

      • 2020 해양수산 이슈 회고(이슈 분석, 빅데이터 분석)

        김태한(Taehan Kim),최석우(Seokwoo Choi),김주현(Juhyeoun K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SNS 빅데이터 분석은 소셜미디어에서 생성되는 국민의 목소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양 수산 분야의 국민적 관심사를 파악하기 위해 25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여 SNS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번 분석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소셜 미디어(뉴스, 블로그, 트위터)에서 수집한 비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민적 관심도와 연관어, 감성지수 등의 추이를 파악하였으며, 자체 설문조사를 통해 2020년 한 해 동안 중요했거나 사회적 반향이 컸던 해양, 수산, 해운·물류, 항만 등 4개 분야를 대상으로 TOP5를 이슈를 선정하였다. 언급량이 많은 키워드는 섬, 선사, 낚시 순이었으며 양식업, 해사안전 등 국민적 관심사가 적은 키워드는 상대적으로 언급량이 미미했다. 매체별 언급량은 정부가 주도하는 분야는 뉴스 언론사에, 민간이 주도하거나 국민생활 연관성이 큰 경우는 블로그와 트위터에 많았다. 따라서 해양수산 정책 수립 시 SNS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국민적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분야를 중심으로 정책방향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SNS Big Data Analysis represents the voice of public generated through social media. In this study, SNS Big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deriving 25 keywords to figure out the national interest in marine fisheries. In the analysis, the text mining was utilized to identify trends such as national interest, related keywords, and sentiment index based on atypical data collected from social media(news, blogs, Twitter). In addition, through a survey, top 5 issues related to 4 areas of marine, fisheries, shipping and logistics, and ports were selected which were either important or socially sensational throughout 2020. Frequently mentioned keywords were island, shipping company, fishing, in an order, and keywords with low national interest such as aquaculture and maritime safety were mentioned only few times. As for the frequency of referrals by media, an area led by the government appeared on the news media, and the cases where the private sector led or had large connection to national life were displayed on blogs and Twitter. Therefore, when establishing maritime and fisheries policy, the areas where national interest is relatively high through the SNS big data analysis has to be utilized as a basic data in establishing the policy direction.

      • 국제기구의 해양수산 정책과 시사점

        김소연(Soyeon Kim),박광서(Kwangseo Park),김주현(Juhyeoun K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본 연구에서는 국제기구의 해양수산 분야와 관련된 정책의제 및 전략을 분석하였다. 주요 국제기구로는 국제연합(UN), 정부간 해양학위원회(UNESCO-IOC),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해사기구(IMO) 그리고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제기구의 해양수산 정책은 대체적으로 해양 및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개발(sustainability)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각 국제기구의 세부실행계획을 자세히 분석하고 공통의 가치 및 키워드를 선정하였다. 이에, 주요 국제기구의 해양수산 정책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해양수산 정책방향 및 계획 수립에 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policy and strategies related marine and fisheries, and maritime industry. Above all, this paper put an emphasis on the policy and its agenda of United Nations(UN), UNESCO-IOC,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an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FAO). According to the analysis, those detailed implementation plan aims to achieve sustainable use and growth of the ocean and its resources.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d its detailed implementation plan to achieve this goal and suggest the common value and keyword. This paper would proposes a policy suggestion to strengthen the field of marine and fisheries of Korea and outline the way forward.

      • 해양수산업 고용 동향 분석

        김기수(Gisu Kim),최석우(Seokwoo Jake Choi),김주현(Juhyeoun K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본 연구는 경기적, 구조적 나아가 COVID-19와 같은 불가항력적 상황과 같은 급변하는 일자리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해양수산 분야 주요 산업별 고용 현황을 파악하여 해양수산업의 일자리 정책 수립에 근간이 되는 객관적인 지표를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기존의 통계청과 고용노동부 자료는 표준산업분류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해당 분류 체계의 다양한 분야에 산재한 해양수산업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한 일자리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제한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수산업 특수분류체계를 바탕으로 해양수산부 내부자료를 활용하여 2018년 4분기를 기준시점으로 2020년 4분기의 고용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사 결과 2018년 4분기를 기준시점(=100)으로 2019년에는 소폭 감소하다 2020년 1분기 102.1로 가파른 상승 후 다시 지속적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20년 2분기 이후 지속적 감소는 COVID-19에 따른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에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게다가 해양수산업 사업체들은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른 영향 중 COVID-19 사태로 인한 매출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는 분기별 해양수산 특수분류체계에 따른 세부산업별 고용 동향을 살펴 실무적, 정책적 제언에 기여할 수 있는 바가 큼에도 불구하고 모집단의 특성상 사업체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에 어업인에 관한 구체적인 동향을 살피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사업체와 어업인들 모두 고려한 종합적인 해양수산업의 종사자 현황과 추세를 파악하고 시계열 데이터를 축적하여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해야 한다. This paper aim to provide objective indicators that are the basis for establishing employment policies in ocean and fisheries by responding to rapidly changing job environments according to economic or structural and also irresistible force situations such as COVID-19 virus. However, traditional data from the Statistics Korea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re based o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it is limi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jobs refl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ocean and fisher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mployment trends of the Q4 2018 as of Q4 2020 by utilizing data from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based on the basis of the special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number decrease slightly in 2019 from base point (=100) in the fourth quarter of 2018 and continued to decline again after a steep rise at 102.1 in the first quarter of 2020. Continuous decrease after Q2 2020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economic downturn and shrinking consumption caused by COVID-19. Although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operation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by looking at employment trends on detailed industries according to the special classification system of ocean and fisheries by quarter, there are limitations to analyze specific trends about fishermen. Further research may identify the status and trends of workers comprehensively in the ocean and fisheries industry considered by both businesses and fishermen, and accumulate time series data to draw more significant operational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