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간은 뇌인가?

        김웅래(Kim Woongrae)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9 누리와 말씀 Vol.46 No.1

        인간은 뇌일 뿐인가? 현대의 신경과학과 유물론적 철학은 인간의 정신, 마음, 영혼 등과 관련된 개념들을 완전히 없애 버리고 단지 뇌에 대해서만 이야기해도 된다는 견해들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물리주의적 관점에 의하면 세상의 모든 것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인간도 예외가 될 수 없다. 때문에 인간의 모든 이성적이고 정신적인 가치나 상태는 두뇌의 작용으로 환원된다. 본 논고에서는 인간을 뇌로 바라보는 유물론적 견해들과 그에 대한 반론들을 간략하게 제시한다. 또한 물리주의적 관점이 인간을 인격적으로, 전체적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며, 인간의 정신과 마음을 육체, 환경과 연관하여 고찰하는 통합적 인간관을 소개하고 있다. Is human being just a brain? Modern neuroscience and materialistic philosophy completely eliminate the concepts relating to human being’s spirit, mind and soul, and then spread out the opinions that we should say about the brain only. According to such a materialistic viewpoint, everything of the world is composed of material, and human being can not be the exception. Hence, all human being’s rational and physiological value and status are reverted to the work of brain. This study briefly suggests that the materialistic viewpoint that the human being is the brain and its arguments against it. This study also point out that there are limitations to see human being respectfully and on the whole in this materialistic viewpoint, introduce integrating perspective on human being’s spirit and mind relating to body and environment.

      • 스피노자의 신과 종교

        김웅래(Kim Woongrae)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6 누리와 말씀 Vol.- No.40

        본 논문은 스피노자의 사상 중에서도 주요한 종교철학을 그의 저서 『신학정치론』(Tractatus theologico-politicus)과 『에티카』(Ethica: ordine geometrico demonstrata)를 중심으로 논하고 있다. 그의 실체 사상을 통해 신이 어떻게 이해되는지, 그리고 신이 그리스도교의 신과 어떻게 다르며 그가 그리스도교의 신을 어떻게 비판하는지 고찰한다. 스피노자는 자연을 초월한 어떠한 실재도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자연을 통합적인 유일한 실체로 인정한다. 때문에 그에 의하면 모든 것이 신 안에 있고, 신은 모든 것 안에 있다. 결국 신은 자연과 같으며 필연적인 인과성에 의해 움직일 뿐이다. 이러한 사상으로 인해 그리스도교의 신 개념 즉, 자연세계와 구별되는 초월적 존재로서 어떠한 목적성에 따라 인간세계에 개입하는 인간적 신은 부정된다. 또한 스피노자는 계시종교, 특히 그리스도교의 계시와 성경을 비판한다. 그에 의하면, 신의 계시라는 것은 인식론적으로 부적합한 인간의 자의적인 해석일 뿐이다. 성경의 문자들 역시 인간에게 사실적 진리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의미만을 갖고 있다. 그는 성경에서 도덕적 의미를 발췌하여 교리에 얽매이지 않는 새로운 보편종교(religio catholica)를 제안하는데, 그것에 따르면 신에 대한 순명과 타인에 대한 사랑이 인류가 추구해야 할 최고의 가치가 된다. This study focused on Spinoza’s major religion philosophy from his book of “A Theologico-Political Treatise” and “The Ethics”. Through his substance idea, examined how God was understood, how Christian God was different from God and how he criticized Christian God Spinoza didn’t acknowledge any substance which surpassed nature; he acknowledged nature as the only integrated substance. So, according to him, everything is in God and God is in everything. After all, God is same as nature, and God only moves by inevitable causality. From this idea, new conception of Christianity, which personal God as a Supreme Being intervene in human world with certain purpose, was denied. Spinoza also criticized the revealed religion, especially Revelation and the Bible of Christianity. Spinoza thought God’s revelation is nothing but a human being’s voluntary interpretation, inadequate epistemology. The words in the Bible also did not deliver the factual truth but only had ethical meanings. He proposed new catholic religion (religio catholica) extracted moral meaning from the Bible, which didn’t bound by a catechism. According to that, the supreme value which human beings pursuit is the obedience to God and love neighbors.

      • 키에르케고어의 그리스도인 되기

        김웅래(Kim Woongrae)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8 누리와 말씀 Vol.- No.42

        덴마크의 실존철학자 쇠얀 키에르케고어(Søren Aabye Kierkegaard, 1813~1855)는 ‘우리가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는가’라는 문제를 일생을 두고 성찰한다. 비록 당시의 유럽인들은 거의 모두가 그리스도인이었지만, 그가 볼 때 참다 운 그리스도인은 찾을 수 없었다. 그가 말하는 그리스도인은 신 앞에 선 실존하는 개인(existing individual)으로서, 종교적 진리는 객관적으로 불확실한 것을 ‘정열적으로’ 자기 것으로 삼는 데 있다. 키에르케고어는 대중에 속해 있으면서 삶을 진지하게 살아내지 못하는 태도를 비판한다. 그가 볼 때 사람들은 집단적인 정체성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받아 들이면서 대중(crowd) 속에 살고 있다. 이러한 삶은 책임감이 없으며 주체적으로 사는 것을 포기하는 것을 말한다. 다수의 그리스도인들 역시 열정을 지니지 않고,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만남 없이 피상적으로 신앙생활을 한다. 그들은 종교를 문화적 관습으로, 하느님의 은총을 값싼 선물로 생각하며 신앙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하지 않는다. 키에르케고어에 의하면 자신과 세상의 모든 가치를 포기하고, 오직 신과의 관계에 투신할 때에만 인간은 비로소 실존한다. 그리스도교는 두 가지 중요한 신앙이 있는데 그것은 첫째로 하느님이 사람이 되었다는 역설, 즉 무한자가 유한자가 되었다는 역설이다. 그리고 유한자가 믿음을 통해 그 무한자와 같아진 다는 역설이다.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불완전성 앞에 절망하면서도 단호한 결단을 통해서 신에게로 도약해야 한다. 그리고 그리스도인은 하느님이 사랑 때문에 사람이 되었음을 믿고, 하느님의 가르침대로 끊임없이 이웃사랑을 실천해야 한다. Danish existentialist philosopher, Soren Aabye Kierkegaard(1813-1855), devoted his whole life to the question; How can we be a Christian? Although almost Europeans were Christians in those days, he could not find any true Christian. The Christian what he thought was the existing individual in front of God, the truth of religion was to make objectively uncertain thing to be own thing with passion . Kierkegaard belonged in crowd, but he criticized the attitude which dealt with the life not seriously. From his point of view, people were living in the crowd, to take collective individuals into The single individual . Such an attitude meant no responsibility and to give up living an independent life. Many Christians also does not have any passions; lead a superficial faith life without any personal contact with Christ. They take religion as a cultural custom, think God s grace as to a cheap gift, and do not think seriously about religion. According to Kierkegaard, man exists eventually only after devoting himself to God. Christianity has two important faiths; One is the paradox that God to be a man, who is the Supreme (infinite) Being to be the Finite Being. The other is the paradox that the Finite Being could be the Infinite Being through faith. Christians take a leap to God with firm resolution, even though despaired in front of their uncertainties. And also Christians should believe that they could be a man because of God s love, should practice to love their neighbors according to God s teaching.

      • 유물론의 네 가지 특성들에 대한 성찰

        김웅래(Kim Woongrae)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0 누리와 말씀 Vol.48 No.1

        유물론은 세계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신이나 의식 따위는 물질의 산물이라고 보는 이론이다. 이처럼 세계를 물질로 파악하는 유물론은 과학에 절대적 지위를 부여하는 과학주의, 인간의 자유가 허구적임을 주장하는 결정론, 인간의 감각만이 물질뿐인 세계를 그대로 알려준다는 감각주의, 인간 지성에 파악될 수 없는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무신론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유물론의 네 가지 특성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이 본 논고의 목적이다. 따라서 이글은 첫째로, 과학의 성과를 인정하면서도 그것의 범위와 한계를 지적하고 과학주의의 자체 모순에 관해 언급한다. 둘째로, 현대 뇌과학과 관련하여 결정론의 의미를 간단히 살피고 인간의 자유를 실존적, 윤리적 관점에서 제시한다. 셋째로, 인식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인간의 감각과, 감각이 경험하는 세계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감각의 능력과 한계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현대과학의 흐름속에서의 무신론과 유신론의 세계관의 차이를 비교한다. 이를 통해, 아무리 신이 과학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고 해서 신에 대한 무신론적 단정은 과학을 넘어선 형이상학적인 문제임을 지적한다. 유물론은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물질이 존재하고 중요하다는 기본적인 인식을 제공하지만, 원래의 철학은 인간에게 물질 너머의 것을 볼 것을 요구한다. Materialism is the theory that the world is composed of materials, and spirit and consciousness is merely the product of material. Such a materialism which understands the world as to material takes a position of scientism; gives absolute position to science, determinism; asserting the freedom of human being is fictional, sensationalism; asserting that only the human senses can inform the world which is merely material, and atheism; denying the existence of God who never be understood by human intellig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spect critically on these 4 characteristics of materialism. Firstly, this study mentioned the contradiction of scientism itself while admitting its outcomes and pointing out its scope and limitation. Secondly, this study briefly look at the meaning of determinism connectedly modern brain science, then propose the freedom of human being from the point of existence and ethics. Thirdly, this study explained the capability and the limitation of sense based on the relation with human senses which are the basis of consciousness and the world where senses are experiencing. Lastly,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 of the world view between atheism and theism in the stream of modern science. Through these,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atheistic determination is metaphysical matter beyond the science, even though God is not exposed scientifically. Materialism offers the basic consciousness that the material exists and is important in human life, but the original philosophy demands on human being to see the thing beyond the material.

      • 다윈이 살아야 교회가 산다 : 신학을 위한 진화론 성찰

        김웅래(Kim Woongrae)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1 누리와 말씀 Vol.50 No.1

        현대에 진화론은 과학적 정설로 인정받고 있다. 자연과학의 여러 분야의 연구결과들이 진화론이 합리적임을 가리키고 있다. 본 소고에서는 그간의 가톨릭교회의 진화론에 대한 인식을 소개한다. 그러면서 진화론(evolution theory)과 무신론적이고 유물론적인 이데올로기에 의해 변질된 소위 진화주의(evolutionism)를 구분할 것을 일관되게 요구한다. 이러한 구분에 따라 가톨릭교회는 과학으로서의 진화론이 합리적으로 이끌어 낸 결론을 겸허히 수용하고 그것을 신학적으로 해석해야 할 과제를 가진다. 신학과 과학은 동행해야 한다. 진화의 우연성과 창조주의 섭리를 조화롭게 설명하는 것이 그리스도교 신학의 과제이다. In modern era, the Evolution theory is recognized as to the scientific mainstream theory. The research results from various fields of natural science pointed out that the Evolution theory is rational. In this study, introduce the Catholic Church’s recognition on the Evolution theory in the meantime. And request constantly to make a division between the so-called Evolutionism, which is deteriorated cause of the ideology of atheism and materialism, and the Evolution theory. According to such division, the Catholic Church has the assignment that accepts humbly the conclusion of the Evolution theory, as a science, which is derived rationally, and then interprets it theologically. Theology ought to accompany with science. The assignment of Christianity theology is to explain harmoniously the contingency of evolution and divinity of the Cre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