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스마트팜 활성화를 위한 3차원적 결합방안에 관한 연구

        김준성 ( Kim Junsung ),김용성 ( Kim Youngsung ),이남규 ( Lee Namg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21세기 말 연평균 기온이 최대 5℃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이상기온으로 인한 자연재해의 증가와 생태계의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로 인해 연평균 기온이 5℃ 상승함에 따라 벼 수확량의 25% 감소 여름 감자 수확량 30% 이상 감소, 가을 감자 수확량 10% 이상 감소하며 배와 같은 다양한 과수의 주 재배지가 변경되는 등 농작물의 생산성 감소가 예측되어 우리의 식량안보는 지속적으로 위협을 받게될 것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스마트팜이 주목받고 있지만 모든 환경을 제어하는 스마트팜은 작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어 기존 연구에서는 단위세대에서 남향에 스마트팜을 배치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이는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인 주거공간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단순한 2차원적 결합 방법으로 주거공간의 특성과 스마트팜의 형태적 특성을 고려한 단위 세대의 3차원적 결합 방법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자한다. (연구방법) 가정에서 에너지를 적게 소비하며 소비자의 부담을 줄이며 스마트팜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며 이 제안에서의 스마트팜 구동 방식을 토대로 현재 일반 시장에서 가장 많이 보급되고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의 국민임대주택 평면 유형에 스마트팜 적용이 가능한 단위세대의 2차원적 공간을 분석한 후 3차원적 결합 방안에 대해 제안하며 스마트팜이 단위세대에 적용되었을 경우 스마트팜의 하루 평균 생산량(g) 및 일 평균 공급 인 수(명)을 계산하여 단위세대에 스마트팜이 결합 되었을 경우 실제 식량 생산량을 검증하고자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소비를 최대한 절약하며 일반 단위세대에서 스마트팜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가정용 type A, 가정용 type B 두 가지 방법으로 제안하였으며 가정용 type A, 가정용 type B 방식에서의 스마트팜 구동 방법의 특성을 토대로 한국토지주택공사의 국민 임대주택 평면 유형 36m2, 46m2, 59m2을 기준으로 스마트팜을 실 적용을 진행했으며 각 유형별로 스마트팜이 적용되었을 경우 스마트팜의 생산량 및 식량 공급 가능 인수를 계산하여 일반 단위세대에서의 스마트팜이 안정적으로 식량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 이는 기존의 단순한 2차원적인 스마트팜의 도입 방법이 아닌 주거공간이라는 단위세대의 특징과 수직적인 형태로 만들어지는 스마트팜의 형태적 특성을 고려한 방법으로 단위세대에서의 스마트팜 적용 방법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미래의 식량위기, 식량안보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중 하나로 연구적 가치를 지니며 패시브 하우스 건축기법이 함께 연구되어 활용될 경우 추후 활용성에 대한 가치는 더욱 높아질 수 있어 이는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global warming,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at the end of the 21st century is expected to rise by 5°C on the earth where we live, and it is predicted that natural disasters and changes in the ecosystem will occur due to abnormal temperature. Due to such global warming, as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rises by 5°C, the rice yield decreased by 25%, the summer potato yield decreased by 30% or more, the autumn potato yield decreased by more than 10%, and the main planting sites for various fruit trees such as pears were changed. A decline is predicted and our food security will continue to be threatened. Smart farm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this, but smart farms that control all environments consume a lot of energy in the process of growing crops. These prior studies are a simple two-dimensional combination method that does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paces, which are spaces where people liv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a study on the three-dimensional combination method of unit househol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pace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mart farms. (Method) Based on the smart farm driving method in this proposal, it proposes a three-dimensional combination plan after analyzing the two-dimensional space of the most popular unit household in the general market, and calculates the average daily production (g) and daily supply of smart farms. (Results) Therefore, in this study, two methods of household type A and household type B were proposed to save energy consumption as much as possible and use the smart farm in a unit household.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farm operation method in the household type A and household type B methods Based on this, smart farms were actually applied based on the national rental housing flat types 36m2, 46m2, and 59m2 of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smart farm for general unit households can produce food stably. (Conclusions) This is not a simple two-dimensional smart farm introduction method, but a guideline on how to apply i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unit households such as residential space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vertical smart farm. This study is valuable as one of the ways to respond to future food crises and food security. If we study and utilize passive house construction technology together, it is an area that needs research as it can further increase its future utility value.

      • KCI등재

        공간 지각법칙을 통한 도시 가로의 3차원 보이드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상업 가로 중심으로-

        김연지 ( Kim Yeonji ),송석재 ( Song Seokjae ),김용성 ( Kim Youngs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끝없이 이어지는 길의 연속은 마치 영화의 필름과 같은데, 매 순간 공간 속에 있는 인간은 그 공간을 바라 보고 인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로 보행환경을 설계함에 있어 가로변 건축물에 따른 시각적 요인과 물리적 구성요소간의 상호관계를 보행자의 지각 특성에 근거하여 건축물의 형태에서 오는 공간분석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아울러 가로경관의 구성요소인 가로 건축물에 따라 보행자의 가시율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파악한다. 삶의 활력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도시가로의 분석방법을 발전시켜 3차원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공간 지각법칙에서 보이드와 솔리드가 어떻게 보이는가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보행자가 가로를 바라볼 때의 관점과 그에 따른 풍경을 연구한다. 도시가로에 대한 구성 요소를 도출하고 그 중 건물 형태에 대한 것을 끌어와 가로 보이드를 분석할 기반을 만든다. 선별한 사이트 가로를 3차원 아이소비스트를 이용한 가시분석을 진행하여 보이드율을 파악한 다음 영향요소를 주출한다. 공간구문론을 기반으로 도시가로의 보이드 의의와 공간을 해석하여 도시가로의 다양한 보이드의 중요성과 3차원 분석에 대한 가능성을 도출한다. (결과) 분석모델은 3차원 가시분석으로 보행자의 시점을 보이드의 비율과 함께 객관적인 수치로 보여준다. 가로의 테두리를 뚜렷하게 나타내주는 단서로써 실제 보행자들이 인지하는 가로의 성격을 파악할 자료가 되고, 도로와 인도의 분리에 대한 차이점이 보행자의 시야 각도와 인지시점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보행자의 상업가로 인지시점을 방해하고, 연속적인 맞벽 건축물은 일정한 피겨의 가시율을 주지만, 인접 또다른 가로가 사라져 보이드에 대한 다양성이 없어지며 이는, 또다른 가로가 건축물의 열린 공간과 맞물려 큰 3차원 보이드를 생성하는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로경관에 대한 이미지와 장소성을 계획할 때 과정의 합리성과 객관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가로의 장면들을 인지하는 관점 또한 보행자들마다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급격하게 떨어지는 지점에서는 공간 심리에 적합한 건축 형태와 보이드를 형성하는데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공간 지각법칙과 도시가로 환경의 상호관계성을 통해 다양한 연구 방법을 강화시켜 심층적인 분석을 보완해 나간다면, 도시가로에 많은 사람들이 심리적 만족을 얻는 풍요로운 시지각 형태가 연결되어 더욱 강한 공공성을 가지는 가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endless succession of streets is like a film in a movie, and every moment, humans in space look at and perceive the space. This study systematically identifies the spatial analysis from the form of the architecture based on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in designing a street pedestrian environment and explains how the pedestrian's visibility appears according to the street architectur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street landscape. The purpose is to provid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by developing an analysis method for urban streets that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vitality of life. (Method) First, the theoretical preliminary research on how voids and solids appear in the laws of spatial perception is conducted to study the perspective of pedestrians looking across and the resulting landscape. Second, the components of urban streets are derived and building forms to create a basis for analyzing street views are drawn out. Third, the landscape of selected sites is visually analyzed using 3D Isovist to determine the void rate, and then the influencing factors are extracted. Fourth, based on the spatial syntax theory, the significance and space of voids in urban streets are analyzed to derive the importance of various voids in urban streets and the possibility of three-dimensional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model is a three-dimensional visual analysis that shows the pedestrian's point of view in objective figures along with the ratio of voids.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the separation of the road and the sidewalk affects the pedestrian's viewing angle and perception point.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commercial street interferes with the perception point of the pedestrian, and the continuous butt-wall architecture gives a certain figure visibility, but the diversity of the void is lost due to the disappearance of another adjacent stree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open space of the architecture to create a large three-dimensional void. Through this process, the rationality and objectivity of the process can be improved when planning the image and sense of place for the streetscape. (Conclusions) This also means that the perception of the landscape scene will vary from pedestrian to pedestrian. At points where there is a sharp drop, special attention is needed to form architectural forms and voids that are suitable for spatial psychology. If the interrelatedness of spatial perception laws and urban street environments is studied through various research methods to complement the in-depth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urban streets can become streets with a stronger public character by connecting rich visual perception forms that provide psychological satisfaction to many people.

      • KCI등재

        태양광 패널을 적용한 아파트 외부 형태 분석에 관한 연구

        고현우 ( Ko Hyeonwoo ),김용성 ( Kim Youngsung ),이남규 ( Lee Namg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건물 부문에서의 배출되는 탄소 배출량이 전체의 38%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면서 건축물의 탄소 절감이 필연적인 문제로 대두되며 이에 따른 해결책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분야를 활용하였고 적은 공간, 적은 비용 등을 장점으로 삼아 신재생에너지 분야 중 태양광 발전이 건물 부문에 일반적이며 대중적으로 활용되었다. 건물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47.2%로 가장 많이 배출되는 주거건물 중 63.2%를 차지하는 아파트 건물을 중심으로 태양광 패널을 활용한 추진된 정책은 에너지 생산량은 총 4만5487TOE로 이는 원전 1기의 한 해 생산량인 200만TOE의 2.3% 수준에 불과하며, 설치 건수는 32만 3909건으로 목표로 내세웠던 100만가구의 3분 1에 그치고 디자인의 획일화, 도시미관을 저해 등의 문제를 발생시켰다. 또한,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결과, 2020년 이후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것으로 예측된다. (연구방법) 전제 주택의 62.3%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아파트 건물에서 아파트 분포 유형 중 47.3%의 탑상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화된 유형을 범위로써 설정하고 국내외 태양광 패널을 적용한 사례분석을 토대로 차별화된 시스템을 파악하고 국내의 아파트의 외부형태와 사례분석을 통하여 태양광 패널이 적용 가능한 부위를 도출한다. 도출된 부위 이외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여 에너지 발전량을 계산하여 이산화탄소 절감량을 검증하고자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 태양광 패널 활용한 국내외 사례를 통하여 에너지 절감이라는 효과는 공통적인 이점이 확인되었지만 국외의 사례의 경우 국내의 사례보다 다양한 디자인적 방식을 활용하였고 국내의 사례는 지붕, 벽, 베란다에 국한되어 건축 디자인적측면을 고려하였다는 활용했다고는 보기 힘들다. 이에 제안된 태양광 디자인요소 방안은 기존 태양광 패널을 활용한 대표적인 정책인 미니태양광 발전소와 비교하였을 때 최소 5배 정도의 수치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표준 아파트 모델에 한정하여 적용하였기에 아파트의 규모에 따라 적용 가능한 면적이 증가하고 수용가능한 가구수가 증가된다면 에너지 발전량, 이산화탄소 절감, 사회적비용이 더욱 높은 결과의 수치를 보여질것으로 예상된다. (결론) 이는 기존에 활용되었던 태양광 패널을 단순 부착과 설치 방법이 아닌 우리나라의 아파트 주거공간과 외부 형태적 특징을 고려한 방법으로 탄소 배출의 절감과 에너지 발전 측면에서 아파트 건축의 획일화된 디자인과 기능적인 부분을 고려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적 가치를 지니며 패시브 건축기법을 방법을 함께 적용된 방안과 안전성을 실험한 시공방안연구와 함께 진행된다면 이번 연구는 활용될 가치는 더욱 높아질 수 있을것으로 보여진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carbon emissions from the building sector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38% of the total carbon emissions, carbon reduction in buildings has emerged as an inevitable problem. Taking advantage of small space and low cost, solar power generation among new and renewable energy fields has been commonly and popularly used in the building sector. The policy promoted the use of solar panels centered on apartment buildings, which accounted for 63.2% of residential buildings that emit 47.2% of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buildings, generated a total energy production of 45,487 TOE, which is the year of the first nuclear power plant. It is only 2.3% of the production of 2 million TOE,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s is 323,909, which is only one-third of the 1 million households set as the target, causing problems, such as uniform design and hindering the aesthetics of the city. Additionally, as a result of the forecas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building sector, it has been predicted that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building sector will continue to increase after 2020. (Method) In apartment buildings, which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62.3 %) of all housing units, the most common and universal type was set as the range, centering on 47.3% of apartment distribution types. A differentiated system was developed based on case studies applying domestic and foreign solar panels. Identify and derive areas where solar panels can be applied through an external shape and case analysis of domestic apartments. In addition to the derived areas, we proposed a new design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calculate the amount of energy generation and verify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reduction. (Results) In this study, a common advantage of energy-saving was confirm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s using solar panels, but in case of overseas cases, various design methods were used compared to domestic cases. It is difficult to say whether it was used in consideration of architectural design aspects. It confirmed that proposed PV design element method differs at least five times compared to the mini PV power plant, which is a representative policy using existing PV panels. Because this is limited to the standard apartment model, if the applicable area increas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partment and the number of accommodating households increases, energy generation, carbon dioxide reduction, and social cost are expected to show higher results. (Conclusions) This is not a simple attachment and installation method of solar panels that has been used in the past, but method that takes into account residential space and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partments. It has a research value because it proposes a new method for consideration.

      • KCI등재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위한 도시건축통합계획에 관한 연구 -3기 신도시 설계공모 당선작 분석을 중심으로-

        권민 ( Kweon Min ),김용성 ( Kim Youngsung ),이남규 ( Lee Namg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1990년대의 1기 신도시 건설이 완료되고 2000년대 초에 시작된 2기 신도시 건설도 마무리되고 있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급등하며 대량 공급을 통한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3기 신도시가 추진되었다. 3기 신도시는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공급확대라는 점에서 기존 1, 2기 신도시와 추진 목적이 유사하지만, 기존 발생했던 신도시의 문제들이 재발하지 않도록 자족성 강화, 교육환경 조성, 교통 접근성 제고, 거버넌스를 통한 개발추진 등을 핵심목표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방안과 지속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3기 신도시는 지속적으로 지역을 선정하여 추진 중이며, 남양주 왕숙1ᆞ2 등 6개의 신도시의 구상이 설정되었다. 도시건축통합계획을 적용한 3기 신도시 당선작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건축통합계획의 방향성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우선 1ᆞ2기 신도시를 바탕으로 달라진 도시설계 패러다임을 분석하여 도시설계 전제 조건을 논의하며, 3기 신도시에 대한 계획 및 목적과 당선안의 도시ᆞ건축 공간구성의 주요계획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연구 분석의 대상은 설계공모 당선작 6곳의 계획수립과정에서 도출된 특성을 분석하여 도시건축통합설계에 대한 설계 방식의 의의를 도출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건축통합계획이 기존 신도시 계획과 다른 차별점과 세부요소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당선작이 시사하는 도시건축통합계획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체적 공간계획과 복합화를 위해 세밀한 지구단위계획을 조성한 토지이용계획을 제시한다. 둘째. 기존 신도시와 다르게 지자체가 시행자로 참여하여 협력적 거버넌스가 활성화되고 미래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도시공간을 제시한다. 셋째, 도시 내 주요 공간을 입체화하여 광역교통을 통합하고 선 교통 후 개발 체계를 제시한다. 또한 자율주행 및 스마트모빌리티를 사용할 수 있는 도시공간을 구성한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도시건축통합계획은 1ᆞ2기 신도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책적, 기술적 차별성을 가지고 사회변화에 부합하는 미래형 도시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지역의 특성과 토지 현황을 세밀하게 반영하고 복합적으로 계획된 부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건축통합계획의 의의를 파악하고 법적, 제도적 내용과 가이드라인과 같은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new cities were completed in the 1990s and the 2000s, respectively. In late 2010, due to the rise in housing pric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building of a third new city was announced. It has the same goal as the existing new cities, which was to expand the supply of housing to ensure stability in the housing market. However, it differs from them through its goals to strengthen self-sufficiency,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 traffic access, and promote development through governance. Eventually, six regions were selected for the third new city, including Namyangju Wangsuk and Incheon Gyeyang. The plan and design of the third new city is based on the winning work submitted by Integrated Plan in Architecture & Urban. (Method) First, we discussed the different urban design conditions between the existing new cities and the third new city and explained the plans and purposes of the third new city.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x plans that were submitted to the design contest, including the significance of the winning design by Integrated Plan in Architecture & Urban. (Results)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isting new cities and the third new city. Three findings were identified from an analysis of the winning design by Integrated Plan in Architecture & Urban. First, a land use plan that creates a district unit plan for three-dimensional space planning and compounding was presented. Second, unlike in the past, local governance participates in cooperative governance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future environment. Third, it integrates wide-area transportation in the city and presents a post-transportation development system. It also constructs an urban space where autonomous driving and smart mobility can be used.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the design plan by Integrated Plan in Architecture & Urban revealed a futuristic city that can exercise policy and technological differentia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new cities to address social chang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land status were reflected in detail and planned in a complex manner. This study has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the design plan by Integrated Plan in Architecture & Urban and has also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such as legal and institutional contents and guidelines.

      • KCI등재

        제주도 뮤지엄 건축의 지역성 표현 연구 -비판적 지역주의를 중심으로-

        장종구 ( Jang Jonggu ),김용성 ( Kim Youngsung ),송석재 ( Song Seokja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국제주의를 기반으로 보편화와 합리성의 특성을 가진 근대건축의 양식은 전 세계에 전파되었다. 한국도 전쟁, 군사독재 등 급격한 사회변화를 거쳐 경제발전을 이뤄냈으나 근대화 과정 속 충분한 논의, 정체성 확립이 아닌 건설의 목적으로 근대건축이 이뤄졌다. 제주도는 섬이라는 특수성을 바탕으로 건축 근대화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았으며 보존된 자연환경을 통해 지역성을 보존하는 지역 중 한 곳이다. 하지만 2010년대부터 늘어나는 관광객, 난개발로 인해 제주 지역성이 희미해지기 시작했다. 그중 미술관, 박물관은 전국에서 면적대비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이지만 제주의 지역성이나 정체성을 확립하는 목적보다 상업적인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제주도가 지속 가능한 관광지가 되기 위해서는 제주도 지역만의 특성을 가져야 할 것이며 관광객이 방문하는 뮤지엄 건축에서도 지역성이 논의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지어진 제주도 뮤지엄을 비판적 지역주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제주도의 지역성 표현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추후 지어질 뮤지엄 건축의 지역성 표현 참고 자료로 역할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론적 고찰로 지역주의와 비판적 지역주의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그리고 지역주의의의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난 표현 특성과 키워드를 바탕으로 표현 요소를 도출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 제주도 뮤지엄 건축물 사례를 분석 및 평가한다. (결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지역성 표현방식은 장소성, 구축성, 감각성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사례에 적용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소성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대부분 건축물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대부분 경사지에 대한 순응, 자연환경의 유입을 통해 장소성을 표현하였다. 두 번째 점수를 받은 구축성의 경우 가장 많은 표현은 재료의 재해석이었다. 현무암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제주도 지역성을 표현하였다. 감각성의 경우 대부분 나타나지 않았으며 K.프램튼이 직접 언급한 안도 다다오의 건물 중 수공간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결론) 제주도가 지속 가능한 매력적인 관광지로 남기 위해서는 제주도 건축물의 지역성 상실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비판적 지역주의 관점으로 뮤지엄 건축을 사례 분석하였을 때 장소성이 가장 높은 비율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도출한 결과는 특정 지역의 지역성을 보여주는 방식이라 보기 어려웠고 건축가의 의도에 의한 수단적 표현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현무암의 재해석을 통해 재가공, 색, 감각을 이끌어 내는 것이 제주도의 지역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범주와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지역을 표현하는 것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 비판적 지역주의는 구축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자연환경의 유입과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는 것을 유지하고 지역 전통 구조, 기법, 재료의 재해석 범주를 넓혀 연구한다면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또한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비판적 지역주의의 관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Korea has achieve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rapid social changes such as war and military dictatorship, but modern architecture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on, not sufficient discussion and identity establishment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Jeju Island was relatively less affected by modernization of architecture based on the peculiarity of an island, and is one of the few places in Korea that has managed to preserve its local character through its preserved natural environment. However, the growing number of tourists and uncontrolled development since the 2010s have led to the loss of Jeju's regionality. Among them, art galleries and museums have the highest ratio to area in the country, but they are used only for commercial purposes rather than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Jeju's regionality or identity. In order for Jeju Island to become a sustainable tourist destination, it should have its own characteristics, and localism should also be discussed in the architecture of museums visited by touris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existing Jeju Island Museum from a critical regionalism perspective, derive the elements of Jeju Island's regionality, and serve as a reference for expressing regionality in future museum architecture. (Method) As a theoretical review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comparative analyzes regionalism and critical regionalism is conducted. In addition, based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keywords shown in previous studies on regionalism, expression elements are derived to prepare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cases of Jeju-Island museum buildings are analyzed and evaluated. (Results) Placeness scored the highest and appeared in most buildings. Most of them represented places through slope adaptation and the influx of natural environment. Tectonic received the second score, the most common expression was the reinterpretation of the material. A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basalt, highlighting Jeju's unique geological features. As far as sensitivity is concerned, it has largely been lacking, as K. Frampton directly mentioned, with Ando Tadao's architectural works. (Conclusions) When analyzing the museum's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regionalism, the concept place was emphasised. However, the results derived were not effective in demonstrating the regionality of a specific area, but rather seemed to be a form of self-expression by the architect. The reinterpretation of basalt through reprocessing, color, and sensation is an effective expression of Jeju-Island's regional identity. Critical regionalism, which has limitations in expressing regions with unclear categories and definitions, needs to focus on constructivity. If architect keep the inflow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minimize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xpand the scope of reinterpretation of local traditional structures, techniques, and materials, architect adopt a critical regionalism perspective that is both practical and eff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