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스마트 그리드 보안현황과 사이버 보안 추진방향

        곽지섭(Jisup Kwak),김완홍(Wanhong Kim),강순희(Soonhee Kang),김재성(Jaesung Kim)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최근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스마트그리드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형 스마트그리드는 영역별로 비즈니스모델의 도출이 가능하도록 전력망-소비자-운송-신재생-서비스의 5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추진하고 있고 관련 기술(전력 · 통신 · 반도체 · 디스플레이 · 가전산업 등) 또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나 원천기술 · 부품소재에 대해서는 선진국에 비해 뒤처지고 있다. 현재까지의 전력망은 폐쇄망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 보안문제가 크게 부각된 적이 없으나 스마트그리드가 전력인프라에 정보 · 통신인프라가 융합된 새로운 비즈니스 플랫폼이기때문에 기존 정보 · 통신산업에서 발생했던 보안문제가 나타날 우려가 높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는 기존의 “주요정보통신 기반시설 보호지침” 및 “전력계통 신뢰도 및 전기품질기준 유지기준”과 2010년 입법예정인 “지능형전력망 구축 및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통해 스마트그리드의 보안문제에 대처하고 있다. 현재의 폐쇄형 전력망도 침해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여서 스마트그리드는 더더욱 이에 대한 대처가 필요하다. 전기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그 손실은 산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므로 사이버 테러로 인한 비정상적 제어 또는 소프트웨어 에러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에게 지속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할 수 있도록 Failsafe 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다. 스마트그리드는 초기 설계시부터 보안 이슈를 전면에 내걸고 문제를 해결하면서 개발을 추진해야 미래의 효율적 에너지 이용과 저탄소 녹색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전력계통운영시스템(EMS)의 재생에너지 출력 실시간 추정 방안

        최형묵(HyungWook Choi),김태언(TaeEon Kim),이윤기(Yunki Lee),김완홍(WanHong Kim)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국내 재생에너지는 그린뉴딜, 재생에너지 3020 등의 정부정책 추진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전력거래소와 한전이 재생에너지 예측, 모니터링, 제어를 위해 실시간 정보공유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나, 관련 시스템 구축이 완료될 때까지는 전계통 재생에너지 출력 추정값을 계통운영에 활용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취득 중인 자료를 기반으로 재생에너지 중 풍력, 태양광 발전기의 전체 출력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실시간 EMS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 및 관리를 위한 이력데이터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장복선(Boksun Jang),김명의(Myoungui Kim),김완홍(Wanhong Kim),윤여준(Yeojun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B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방대한 양의 EMS데이터를 실시간 취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만 추출해서 원하는 포맷으로 저장하여 추후 활용할 수 있는 HDMS시스템에 대하여 소개한다. HDMS시스템은 K-EMS 과제의 일부분으로 개발되었다. 공유메모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실시간 DBMS로부터 추출된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디스크 DBMS로 입력하고, 데이터 손실에 대한 Risk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동적인 파티션 추가삭제를 통하여 자동으로 분산저장하며, 자동 백업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한다. 데이터를 장기간 보관하고 보관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여 백업과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한다. 관리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백업파일을 시스템에 자동으로 복구하여 온라인 보관주기가 경과한 데이터에 대해 조회가 가능하도록 한다 HDMS시스템은 CIM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향후 K-EMS외의 타 시스템과의 데이터 통합 및 연계가 용이하고 여러 분야에서 데이터 재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