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특집 논문 : 생태철학과 생명 ; 환경윤리에서 생명 논의의 윤리적 함축과 전망

        김완구 ( Whan Ku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09 환경철학 Vol.0 No.8

        오늘날 문명의 발달로 전례 없는 환경이나 생명 관련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그것들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 그런데 사실 이 두 문제는 별개의 문제가 아니고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에 같이 논의되어야 한다. 환경은 생명을 가진 존재들을 둘러싼 것을 지칭하는 말이고 그 환경에 둘러싸인 것이 바로 생명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생명의 정체를 밝히는 작업은 간단치가 않다. 그럼에도 이런저런 이유들로 사람들은 보통 생명이라는 현상은 그 자체 소중히 여겨야 할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이야기한다. 그러한 가치를 사람들은 흔히 본래적 가치라고 한다. 환경 윤리와 철학에서 논의되는 주요 문제들의 큰 줄기는 바로 여기에서 출발한다. 생명이 가치를 가지고 그래서 소중히 여겨져야 한다면 그것을 유지시키기 위한 조건들로서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어떤 것들도 어떻게든 소중한 것으로 여겨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환경 윤리 및 철학적 논의에서 소중히 여겨야 하는 대상의 범위는 인간 생명에서 시작해서 그 생명을 가능케 하는 존재인 다른 생물적 환경이나 무생물적 환경에까지 점점 확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존재들의 위상 및 가치에 대해서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환경 철학과 윤리의 핵심적인 주제가 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생명의 정의, 생명의 범위 그리고 생명의 가치와 관련한 여러 철학적 문제들이 등장하게 되지만, 무엇보다도 주목해보아야 할 문제 중의 하나는 그러한 것들에 가치를 부여하고 소중히 여기는 데서 발생하는 각 개체생명들 간의 갈등 또는 각각의 개체생명과 전체생명들이라고 할 수 있는 ‘온생명’이나 ‘생태계들’과 같은 전체들 간의 갈등의 문제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몇몇 철학적 논의들을 통해 검토해 볼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는 인간의 생존과 지구생존의 위기를 맞고 있는 오늘날 이러한 논의들이 가지는 윤리적 함축 및 그것의 실천가능성에 대해 간략하게 탐색하면서 이러한 문제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한 앞으로의 작업방향을 제시한다. These days, human beings face unprecedented problems occurring in the field of environment and life, with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So many peoples are much concerned about these challenges. However we must explore these together,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The term environment refers to conditions surrounding a life form, and so-called life is something surrounded by environment. But It is not so easy to define and identify life clearly. Nevertheless people say that life is valuable in itself and so we must treasure it. That is the very intrinsic value problem. The main issues in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ethics start from this point. First we confer intrinsic value to the human life and in turn to all other living things. But these individual lives on which intrinsic values are conferred can`t exist independently of other living things including non-living things. They have ne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o sustain their own life. If so, other living things and non-living things have to be conferred the same value. Therefore intrinsic value conferring objects are extended from human life to non-living things or life as a whole, that is, `global life`, `ecosystem` and the like. Several issues, such as the definition and the boundary of life, appear from this extensionism, but central to the process of extending intrinsic value to the several objects is the problem of conflict between an individual life and life as a whole. Thus in this paper I focus on these arguments some philosophers have made and examine the ethical implications of this arguments. But this work is not easy. And finally I suggest a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환경문제에 대한 철학적 및 윤리적 접근의 필요성과 중요성

        김완구 ( Kim Whan-ku ) 한국환경철학회 2021 환경철학 Vol.- No.32

        이 글에서는 먼저 오늘날 일상이 되어가고 있는 여러 환경재앙이 그 무엇보다도 심각한 문제라는 것을 밝힌다. 그리고 그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시도들에 대해서 검토한다. 그런데 사람들은 환경이 문제라고 하면 당장 겉으로 드러난 가시적 결과로서의 오염되거나 파괴되어 잘못된 환경에 집중하게 되고 주로 과학기술이 그런 문제를 해결해 주리라고 기대하는 경향이 강한 거 같다. 말하자면 많은 이들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근원을 찾아 들어가기보다는 임시방편적인 대증요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환경문제라고 하면 사실 환경이 문제가 되거나 잘못된 것이라기보다는 근원적으로 인간이 혹은 인간의 의식이 문제가 되거나 잘못된 걸로 보인다. 그래서 어쩌면 ‘환경문제’니 ‘환경오염’이니 하는 것은 ‘인간 문제’나 ‘인간 의식의 오염’ 문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환경문제를 근원적이고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마음가짐이나 태도 및 행동에 대해 깊이 있고 폭넓게 성찰하는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작업이 무엇보다도 요구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끝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접근의 필요성과 중요성 그리고 의미 및 한계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In this paper, first, I reveal that environmental disasters becoming a routine are more serious than anything else. And I review some attempts to solve such problems. but when we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we focus on visible results that are exposed to the surface, and we seem to be more inclined to solve them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In other words, many people seem to prefer temporizing symptomatic therapy rather than finding a fundamental solution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But when we say that it is an environmental problem, it seems that human or human consciousness is a problems rather than an environment. so perhaps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or ‘environmental problem’ is actually ‘contamination of human consciousness’ or ‘human problem’. If so, philosophical and ethical work that reflects deeply and widely on human mindset, attitude and behavior is more required than anything else in order to fundamentally and effectively solve environmental probles. So, ini conclusion, I critically review the necessity, importance, meaning and limitations of philosophical and ethical approach to the environmental problems.

      • KCI등재

        동물윤리의 주요 쟁점에 대한 덕 윤리학의 응용 방안에 대한 연구

        김완구 ( Kim¸ Whan-ku ) 한국환경철학회 2020 환경철학 Vol.0 No.30

        이 논문은 인간이 동물을 이용하고 대우하는 방법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통해 동물을 대우하는 올바르면서도 실천 가능한 방법이 무엇일 수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한다. 이를 위해 먼저 동물들과 관련해서 생겨나는 여러 가지 윤리적 문제들과 그 현황에 대해 간략하게 살핀다. 그리고 이런 상황에서 동물들에게도 도덕적 지위나 권리를 부여하고자 하는 싱어의 동물해방론과 리건의 동물권리론으로 대표되는 선구적인 동물윤리 관련 작업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이런 작업들이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차원에서 문제점을 갖는다는 점을 밝힌다. 나는 이런 이론들이 문제가 되는 이유가 규칙중심적이면서 개체주의적인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그래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덕 윤리적 접근방식을 응용하고 있는 허스트하우스, 제임스 그리고 오닐 등의 여러 논의들을 검토한다. 그런데 덕윤리적 접근이 규칙중심적이고 개체주의적인 윤리적 접근의 난점들을 어느 정도 해소해주기는 하나, 그렇다고 동물과 관련한 실천의 문제를 말끔하게 해결해 주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그나마 소극적인 의미에서 윤리적 실천을 가능하게 하려면, 우리는 단일한 원칙이나 기준 그리고 단일한 윤리적 접근방식에 의존하려고 할 것이 아니라, 우리의 능력을 다양한 방향으로 최대로 발휘하여 최선의 행위 대안을 찾기 위한 고민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This paper examines what is the right and practicable way to treat animals by reflecting on how humans exploit and treat animals. To do this, I first briefly look at the various ethical issues that arise in relation to animals and current situations of them. And I will review the pioneering tasks that are concerned about these problems and give moral status or rights to animals. However, these animal ethics, represented by Singer and Regan's animal liberation theory and animal rights theory, have problems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I point out that these theories are problematic because they have a rule-based, individualistic characteristic. To overcome these problems, I will review several discussions by Hursthouse, James and O'Neil, who are applying the virtue-ethical approach to them.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the virtue ethical approach will solve some of the difficulties of rule-centered and individualistic ethical approaches, but that the problem of practice related to animals is not fully solved. Therefore, finally I emphasize that we should not stop worrying about finding the best alternatives to act by utilizing ethical inference methods such as reflective equilibrium methods or practical wisdom, even if we can make ethical practice in a passive sense possible.

      • KCI등재

        ‘침묵의 살인자’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 및 기후적 재앙에 대한 책임윤리 문제

        김완구 ( Kim Whan-ku ) 한국환경철학회 2019 환경철학 Vol.0 No.28

        이 논문은 미세먼지라는 대기오염 문제에 대한 책임의 문제를 다룬다. 그러기 위해서 나는 먼저 ‘죽음의 먼지’나 ‘침묵의 살인자’라는 오명이 씌워진 미세먼지라는 것이 무엇이고 그 심각성이 어떤지에 대해 검토한다. 그러고 나서 이런 대기오염의 문제가 정치, 경제적이고 과학기술적인 문제이기도 하겠지만, 근본적으로 윤리적이고 철학적인 문제라는 것을 드러낸다. 그러면서 그 문제의 근본적인 특성이 다른 여타의 환경문제들처럼 ‘장기적인 집합적 행위의 문제’라는 점을 밝힌다. 그런데 바로 환경문제의 이런 특성은 사람들로 하여금 미세먼지 등과 같은 환경문제를 무시하거나 등한시하도록 만든다. 이것이 이른바 사소함의 문제다. 사소함의 문제라는 것은 미세먼지 문제나 지구적 기후변화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내가 기여하는 것이 사소한 것이고, 그것이 나에게 약간의 비용을 요구하거나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면, 사람들은 그런 일을 하지 않으려 든다는 것을 말한다. 더군다나 다른 사람들이 그런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할 것인지가 확실치 않은 경우라면 더욱 더 그런 일들을 하지 않으리라는 것이다. 여기에서 나는 이러한 사소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몇몇 대안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 장기적인 집합적 행위의 문제로서의 환경문제들이 지니는 이런 사소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책임윤리의 문제를 몇몇 선행 논의들을 통해 검토해 본다. 그리고 우리 현실에서 그것의 실현 가능성을 탐색해 본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s of responsibility for air pollution problems called fine dust. To do this, I first examine what is fine dust stigmatized as ‘Death Dust’ or ‘Silent Killer’ and what is the seriousness of it. Then, I reveal that the problems of air pollution is a political, economic,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In doing so, I examine that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 are ‘longitudinal collective action problems’ like other environmental problems, But these characteristics make people neglect and disregard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fine dust. this is what is called the problem of inconsequentialism. This arises when a person’s contribution is nearly inconsequential to addressing fine dust problems or global climate change problesm and may require some cost from the standpoint of the person’s own life. In this case, people will not do that. And when it is uncertain whether others will make the effort to solve that problem, they won’t do it. Here I will examine some alternatives to solve these problem. Finally,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inconsequentailsim that such environmental problems as the ‘longitudinal collective action problems’ have, I review the problem of responsibility ethics through some preceding discussions. And I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of it in our real world.

      • KCI등재

        특집논문 : 음식윤리의 주요 쟁점과 그 실천의 문제

        김완구 ( Whan Ku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14 환경철학 Vol.0 No.18

        오늘날 우리가 별다른 생각 없이 먹고 하는 행위는 많은 윤리적 쟁점들을 만들어 낸다. 특히 식량증산과 경제적 효율이라는 미명하에 도입된 산업형 영농은 풍요로운 먹을거리 생산이라는 결과를 가져왔지만 해결한 만큼의 또 다른 많은 문제들을 제기한다. 이를테면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먹을거리를 생산하고, 유통하고, 소비하고, 가공 조리하고, 폐기하는 행위는 우리자신은 물론 우리의 도덕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들에게 건강적이고, 생태적이고, 사회적인 차원에서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한 음식윤리의 몇 가지 주요 쟁점들과 그것의 실천 상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먼저 우리가 먹는 것이 왜 윤리적 문제가 되고 무엇이 윤리적 문제인지를 살핀다. 그러고 나서 음식과 관련된 윤리적 실천의 목표로서의 지속가능성과 그것의 실천의 문제를 음식윤리의 몇 가지 주요 쟁점들인 공장식 사육과 채식주의 그리고 유기농업과 같은 생산 및 소비와 관련된 쟁점들을 통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리고 끝으로는 그 실천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가능성을 환경 덕 윤리의 논의를 중심으로 모색해 본다. These days, our inconsiderate diet has generated many ethical issues. In particular, under the cloak of increasing food production or economic efficiency an industrial-type agriculture was introduced. As a result, it brought in abundant food production, but it also came with many problems while it solves some problems. For example, our actions such as producing, consuming, processing, and disposing food are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affecting other members of our moral community as well as ourselves in many dimensions- healthy, ecological and social. Therefore, in this paper, I examine some major ethical issues in their practices and consequent problems. For this purpose, firstly, I examine why and how eating morally matters. Secondly, after considering the sustainability of our ethical goal that involves eating, then I critically examine problems of its practice in relation to factory farming, vegetarianism and organic farming. Then, finally, I explore the possibility of solving the problems on its practice by looking into the discussion of environmental virtue ethics.

      • KCI등재

        환경에 대한 과학기술의 결과들과 해결책에 대한 철학적 반성의 필요성

        김완구 ( Kim Whan-ku ) 한국환경철학회 2017 환경철학 Vol.0 No.23

        21세기 환경 위기는 실제적이고 매우 심각하기에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 여러 해결책이 제시되지만 많은 사람들은 과학과 기술이 이런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과학과 기술은 우리에게 많은 편익을 가져다주지만 양면성을 지니고 있어서 그에 못지않게 많은 폐해를 동시에 가져다 준다. 여기에서 나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런 과학과 기술의 문제점에 대해 고찰하고 철학적인 반성작업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화이트의 논의를 통해 환경위기의 근원이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기독교적 태도와 이로부터 비롯된 과학과 기술이라는 점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학기술의 결과를 주로 환경문제와 관련해서 검토하고 그런 환경문제를 과학기술에 의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해결책들을 소개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적 해결책들 또한 대부분의 과학기술과 마찬가지로 양면성을 지니기에 해결하는 만큼의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래서 나는 끝으로 환경위기와 그것의 해결은 과학과 기술의 문제만도 아니고 또 본래 과학과 기술의 문제도 아니며 근본적으로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문제라는 점을 밝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립환경연구원 등에서는 과학기술에만 집중하는 편협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을 한 사례로 지적하며 논의를 마친다. The environmental crisis of the 21st century is very real and profound. Although pessimists among us despair at this reality, many others have tried to solve this problem. While many varieties of solutions have been offered, a majority of scholars insist that only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ethods can help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There is no denying that science and technology are beneficial to us, but they also have serious side effects; they have an ambilaterality. In this paper I examine the problems that may be generated by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ethods. To this aim, I first examine White`s argument that our environmental crisis is the product of our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grew out of Christian attitudes towards nature. Second, I examine the consequences of technology in relation to environment, and reflect on the technological solutions to cope with their side effects. These technological solutions have an ambilaterality; they are as much the cause of the problem as the solution of the problem. For this reason, I argue that environmental challenges are neither exclusively nor even primarily problems of science and technology, but they are fundamentally questions of ethics and philosophy. In conclusion, I argue that the most serious problem facing Korea`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s that they overly rely o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ethods.

      • KCI등재

        ‘땅의 윤리’에서 생명공동체의 선의 실현을 위한 덕 윤리적 접근

        김완구(Kim, Whan Ku)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5 생명연구 Vol.37 No.-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해 많은 윤리적 고민을 하고 그것에 대한 많은 해법을 제시한다. 그러나 그 실천과 관련하여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다. 환경윤리의 실천과 관련해서도 마찬가지다. 많은 사람들이 환경보호의 실천을 강조하지만 구체적인 실천의 상황에 이르게 되면 막상 무엇을 어떻 게 실천해야 할지 막연하여 결국 아무 것도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는 특히 실천의 문제 를 규범적 실천의 문제로 한정할 경우 더욱 심각하게 드러난다. 따라서 나는 이 글에서 우선 복잡한 환경 윤리의 문제를 단순히 규범윤리의 문제로 보는 것의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서 덕의 윤리가 왜 요구되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그러고 나서 이러한 점들을 땅이라는 생명공동체의 선을 실현하기 위한 레오폴드의 ‘땅의 윤리’에 대한 논의들을 중심으로 해서 고려해 보고자하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땅의 윤리의 전체주의적 특성에서 빚어지는 문제와 사실과 가치의 문제에서 빚어지는 문제에 집중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끝으로 다시 왜 우리가 덕 윤리를 도입해야 하고 환경과 관련해서는 어떤 덕 윤리를 발전시켜야 하는지에 대해서 쇼의 논의를 통해서 살펴본다. 쇼는 이러한 땅의 덕들로서 ‘존중(혹은 생 태학적 감수성)’, ‘신중함’ 그리고 ‘실천판단’ 이라는 세 가지를 제안한다. 그런데 이것들 각각은 전통적 인 인간 상호간의 덕을 적합하게 변형한 것이고, 땅의 덕은 이 세 가지에 한정되지도 않는다. In ethics we always reflect on the question such as how to live, and we also try to find an solution for this question. Though we try, we encounter much difficulty on our path to the solution. Th e same thing happens in the practice of environmental ethics. Many people talk about and even emphasize on protecting the environment, but in most cases they don't know exactly how to conduct to make it happen. This difficulty arises, in particular, from the problems in the ream of normative ethics. So in this paper I review these problems and then examine why the virtue ethic is required as the way to cope with such a situation. To do this task, in particular, I focus on the arguments about holism and the dichotomy of fact and value raised in land ethic of Aldo Leopold. Then, finally I investigate Shaw's arguments on why the environmental virtue ethic has to be introduced into the environmental ethics and what kind of virtues on environment we must develop. Shaw proposes three land virtues-respect(orecological sensitivity), prudence and practical judgment, but I like to point out that each of these three is just an adaptation of a traditional virtue. Moreover, land virtues are not confined to these three things.

      • KCI등재

        인간과 자연의 관계

        김완구(Kim, Whan-ku)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0 생명연구 Vol.18 No.-

        In this paper, I discuss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For this purpose, I first examine several traditional views about human, nature, and how they are related. According to some views in the western tradition, human being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natural world, and as such, we are superior to them.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many alternative views about human's relation to nature. Since such views are bound to shape our ethical systems and practices, in this time of the environmental crisis a proper understanding of human's relation to nature has become a matter of utmost importance. Here I particularly explore the topics of relational self and "self-realization", one of the ultimate norms of Deep Ecology, which is a process through which people come to understand themselves as existing in a thorough interconnectedness with the rest of nature. After this exploration, I examine multicentricism, a recent view which appeared as an attempt to overcome certain problems related to self-realization. Finally, I talk about how multicentricism can be implemented and envisioned. 이 논문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인간과 자연 그리고 그것들 간의 관계에 대한 몇몇 전통적인 견해들을 검토한다. 대부분의 지배적인 서양적인 전통 사상에서 인간은 자연과 근본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그 것보다 우월하다. 그러나 인간과 자연 그리고 그것들의 관계에 대한 견해는 다양하다. 그리고 이러한 견해들은 자연 에 대한 우리들의 윤리적인 체계나 관행들을 형성하기도 한다. 그렇기에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 는 일은 환경위기의 시대에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인간과 자연을 분리된 것으로 보지 않고 서로 관계되어 있는 것으로 보는 입장들을 주로 논의한다. 특히 인간은 자연과의 상호 관련성을 통해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과정인 심층생태학의 큰 자아실현이라는 근본적인 규범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끝으로는 그러한 규범이 가 지는 몇몇 문제점들을 어느 정도 극복해 주는 것으로 보이는 다중심주의의 입장과 그 실천 가능성 및 전망들에 대해 검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