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낭콩 키틴분해효소 유전자의 클로닝

        조유영 ( Jo Yu Yeong ),지명심 ( Ji Myeong Sim ),정우진 ( Jeong U Jin ),국주희 ( Gug Ju Hui ),박노동 ( Park No Dong ),김옥란 ( Kim Og Lan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04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9 No.1

        식물-미생물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의 하나로 병저항성 단백질인 키틴분해효소(chitinase, EC 3.2.1.14)의 유전자를 강낭콩 잎에서 cloning하였다. 강낭콩 잎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Sau3AI으로 소화시킨 후 pUC19에 삽입시키고 E. coli JM109에 형질전환시켰다. 이를 rice chitinase cDNA (1.1 kb)를 probe로 이용하여 cology hybridization과 Southern blotting을 통해 8개의 clone을 획득하였다. Chitinase의 hevein domain 가운데 10개의 아미노산의 서열을 지령하는 30 mer ologonucleotide를 둥 labelling하여 이를 probe로 사용해서 앞에서 획득한 8개의 clone 가운데 강한 signal을 띠는 4개의 clone을 선발하였다. 이 clone들을 각각 pCHTs, pCHT5, pCHT7, pCHT8 이라 명명하였으며, 이들의 insert 크기는 각각 7kb, 5.61 kb, 5.3 kb, 4.5 kb였다. Clone pCHT3, pCHT5, pCHT8를 배양하면 이들은 균체내에 chitinase를 발현하였다. 이중, pCHT3은 4개의 EcoR1 부위와 1개의 HindⅢ, 그리고 각각 2개의 BarnHI과 Kph1 부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Genomic DNA from bean (Phaseolus vulgaris L) leaves was prepared, digested with Sau3AI, ligated with the dephosphorylated pUC19, and introduced into Escherichia coli JM109. The chitinase gene-harboring transformants were confirmed by colony hybridization and Southern blot hybridization. Four positive clones were obtained and named pCHT3, pCHT5, pCHT7, and pCHT8, and their insert size was 7 kb, 5.6kb and 4.5kb, respectively. The insert DNA of pCHT3 has four EcoFI sites, one Hind III site, two BamHI site and two KpnI sites. The chitinase activities were intracellularly located in the E. coli transformants harboring the genomic chitinase DNA.

      • KCI등재

        강낭콩 잎에서 키틴분해효소 유전자의 발현 조절

        송경숙 ( Song Gyeong Sug ),지명심 ( Ji Myeong Sim ),정우진 ( Jeong U Jin ),국주희 ( Gug Ju Hui ),박노동 ( Park No Dong ),김옥란 ( Kim Og Lan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04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9 No.1

        에틸렌(Ethylene)에 의한 병저항성 유도와 관련하여 식물 키틴분해효소의 발현조절의 기구를 구명하고자, 강낭콩 잎 m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고 chitinase clone을 클로닝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chitinase mRNA의 전사조절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남콩 잎에서 total RNA를 in vitro 번역하여 키틴분해효소로 보이는 분자량 30 kDa 단백질이 스트레스 조건에서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에틸렌을 처리한 강낭콩 잎의 mRNA로부터 ds cDNA를 합성하여 λgtllvector에 삽입시켜 E. coli Y1090r-에 발현시켰다. Anti-chitinase antibody를 이용하여 chitinase clone를 검색하였으며 그 insert의 크기는 약 300 bp였다. 에틸렌의 처리시간에 따른 강낭콩 잎의 chitinase mRNA의 전사수준을 dot hybridization으로 분석한 결과 20시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었으며, 키틴분해효소는 에틸랜 처리 후 30시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유도되었다. 이는 강낭콩 잎 키틴분해효소 유전자의 발현이 에틸렌에 의하여 그 전사단계에서 조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mechanism of ethylene-regulated chitinase gene expression, its cDNA has been partially cloned, and its transcriptional and translational regulation has been studied in bean (phaseolus vulgaris L.) leaves after ethylene treatment. In in vitro translation, 30 kDa protein, a putative chitinase, was induced in stress-treated leaves, cDNA from ethylenetreated bean leaves were synthesized introduced into (?)gtll vector, and transfected into Escherichia, coli Y1090r-strain. A clone containing chitinase cDNA(300 bp) was isolated using anti-chitinase antibody. When bean plants were treated with 100ppm ethylene for 20 hours, mRNA level reached to the highest, and chitinase was induced to the highest level after 30 hours of ethylene treatment, suggesting that expression of the bean chitinase gene is controlled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