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해양상황인식체계 구축을 위한 시스템간 표준화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습(Young-Sup Kim),송재욱(Chae-Uk So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5 No.4

        해양상황인식(Maritime Domain Awareness)체계는 안보, 안전, 경제 및 환경과 관련하여 해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에 대한인지 능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제반 구성요소를 말한다. 2010년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해사안전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현재 주요 해양국가에서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해양상황인식체계의 국내 구축을 위해서는 관련 법령의 정비, 조직 신설 및 관련 시스템 간의 정보 융합 및 연계 등에 대한 운영방안이 정립되어야 한다. 향후 한국형 해양상황인식체계가 효율적으로 구축되기 위한 기술적 기반 조성을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해양상황의 인식을 위해 현재 해양경찰청에서 운영 중인 각 시스템(Radar, VHF, V-PASS 등)별 정보 현황을 분석하고 이들 시스템 간의 정보연계를 위한 데이터 및 통신 표준안과 관련 규정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Maritime Domain Awareness system is a component tha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awareness of all situations occurring at sea in relation to security, safety, economy, and the environment. To establish a marine situation recognition system that is currently being introduced in major maritime countries after approval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s Maritime Safety Committee in 2010, operational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technological foundation for the efficient construction of a Korean maritime situation recognition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each system (RADAR, VHF, and V-PASS, etc.) and proposed the application of data and communication standards.

      • 해양 조난수신 대응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상춘(Sang-Chun Park),김영습(Young-Sup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추계

        해상에서 조난신호를 발사할 수 있는 장비는 전 세계해상 조난 및 안전제도(Global Maritime Distress Safety System) 해역의 구분에 따라 A1 해역은 초단파(Very High Frequency) 그리고 레이더 트랜스 폰더(SART), A2 해역은 중 단파대(MF/HF Radio Equipment)무선통신장비, A3 해역은 INMARSAT 그리고 A4 해역은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mergency Position Indicating Radio Beacon)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조난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국은 해양경비안전본부 소속의 구난무선국, 경비함정, 상황센터, 해상교통관제센터 등으로 분산되어져 각각 운영하고 있다. 이로 인해 조난의 중복수신, 통계의 부정확, 다수의 컨트롤 타워 등의 문제점이 상존해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현재 해양경비안전본부 주관으로 전국 5개 구난무선국을 하나의 국제안전통신센터로 구축하기 위해서 추진 중에 있다. 기존 5개 구난무선국을 하나의 국제안전통신센터로 구축하는 것은 향후 국가간 정보연계 측면에서는 효율적이나 실제 해양사고 발생 시 효율적으로 대응하기에는 다소 애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실제 해양사고 발생시 가장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Equipments that can transmit maritime distress signals in accordance to Global Maritime Distress Safety System are the followings: A1 water(Very High Frequency, SART), A2 water(MF/HF Radio Equipment), A3 water(INMARSAT), A4 water(Emergency Position Indicating Radio Beacon). Institutions with the capacity to receive distress signals are Korea Coast Guard affiliated radio stations, patrol ships, Rescue Coordination centers, Vessel Traffic centers, Complex problems regarding repetitive distress alarms, inaccurate statistics, multiple control towers are existent. Consequently, effective measurement to resolve dispersed operating maritime distress signal system are in time of need. Moreover, current KCG Headquarter is considering to integrate five distress radio stations dispersed across nation into a single international safety communication center. The integration of radio stations are efficient in terms of information coordination between nations, however, it cannot support efficient response to real-time maritime incident. Therefore, in this study, a new system that can rapidly response to real-time maritime incident will b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