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위기에서의 온라인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정희정(Chung heejung),김애림(Kim Aelim),주하나(Joo Ha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코로나위기로 대학에서 진행된 온라인수업 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수업 경험에 관한 34개의 진술문을 표집하였고 온라인수업을 경험한 대학생 37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10일부터 7월 23일까지 총 13일간 Qsoring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QUANL-PC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사태에서의 대학생의 온라인수업 경험에 관한 5개의 인식유형이 도출되었다. 1유형 온라인수업 긍정적 수용형, 2유형 등록금 반환 강조형, 3유형 과제 부담형, 4유형 캠퍼스 선망형, 5유형 자기주도 학습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 19 이후 가속화되는 언택트시대에 적합한 학습자중심의 온라인수업방식과 체계구축이 마련되어 교육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how college students perceived the online class experience caused by the COVID-19 crisis through the Q methodology. Therefore, this study sampled 34 statements about online class experience, and conducted Qsoring for a total of 13 days from July 10 to July 23, 2020, targeting 37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class.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QUANL-PC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ve types of perception were derived about the online class experience in the Corona 19 incident. Type 1 online classes were positive acceptance type, type 2 tuition return emphasis type, type 3 assignment burden type, type 4 campus envy type, and type 5 self-directed learning typ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learner-centered online classes and systems suitable for the untact era that is accelerating after Corona 19 will be prepared to enhance educational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