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 농촌지역에서 수행된 노인 영양공급 프로그램의 효과

        김신월(Shin-Weol Kim),신준호(Jun-Ho Shin),손석준(Seok-Joon Sohn),허영란(Young-Ran Heo),강명근(Myung-Geun Kang)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9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4 No.1

        이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160명을 대상으로 하여 최종 참여한 148명(중재군 70명, 대조군 78명)에게 수행하였다. 중재군에는 에너지 및 부족영양소의 급원 식품을 1주 분량으로 주 1회씩 3개월 동안 제공하고 동시에 영양교육을 6회 실시하였고, 대조군에 대해서는 식품제공을 적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영양교육만 같은 내용으로 6회 실시하여 두 군을 비교 연구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영양중재결과 영양지식의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중재군에서 우울증 척도의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식습관의 변화, 자신감과 신념척도의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영양중재로 인한 혈액학적 변화로는 transferrin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중재군에서 에너지 필요추정량 대비 에너지섭취비율이 71.0%에서 87.4%로 증가하였고, 비타민A와 나이아신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양소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단기간의 개입기간에도 지역사회노인이 실제로 섭취하는 음식의 구성은 식품제공을 겸한 영양중재사업을 통해 개선될 수 있으며, 개개인의 식습관, 우울증, 자신감 등의 개선을 기할 수 있어 영양개선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영역에 대한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노인영양개선사업은 단순히 교육만으로 효과를 충분히 거두기 어려우며 영양공급을 전제로 할 때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ffects of nutrition support for the elderly in rural communities. Method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148 aged over 65 years in G district(70 intervention group and 78 control group). General characteristics, physical health status, food intake, dietary habits, knowledge of nutrition and nutrition risk factors of the subjects were examined by individual interview.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rough the first questionnaire of nutrition: nutritional intervention group(nutritional intervention and education of nutrition) and control group(education of nutrition alone). Results: Nutritional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energy intake to 87.4% from 71.0% and of most nutrients except vitamin A and niacin after intervention. After nutritional intervention program, depression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hanges of food habits, self-efficacy and conviction indic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tritional intervention serving foods for short-term intervention period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the nutritional status.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it was not enough for nutritional improvement of the elderly to provide public health education or counseling alone, therefore, for achieving its goals, it should be needed proper nutritional supply to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