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과서에 실린 예시 단어의 사용 빈도와 전형성 분석

        정지현 ( Jihyeon Jeong ),김승정 ( Seungjeong Kim ),신희성 ( Heeseong Shin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3

        이 연구에서는 2011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14종을 대상으로 하여서 단어 형성법 단원 파생어 내용을 설명하면서 실린 예시 단어의 빈도와 전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범위를 교과서 개념 이해 영역에서 다루어진 예시 단어로 국한하였다. 파생어 사용 빈도 분석 결과, 접두 파생어 중 사용 빈도가 높은 5개는 차례로 ‘치솟다(323), 맨발(221), 짓밟다(201), 한여름(195), 참기름(170)’이었고 사용 빈도가 0-2인 파생형이 ‘덧버선, 풋김치, 개철쭉’ 등 24개가 있었다.접미 파생어 중 사용 빈도가 높은 5개는 차례로 ‘손님(2500), 놀이(1613), 길이(1156), 높이(920), 날개(876)’이었고 사용 빈도가 0-2인 파생형이 ‘구두장이(2), 먹보(1), 잠보(1), 침질(1), 꾀보(0)’의 5개가 있었다. 전형성 분석 결과, 접사에서는 다른 범주와의 경계가 모호한 접두사로 ‘늦-’, ‘참-’이 있었고 다른 범주와의 경계가 모호한 접미사로 ‘-님’, ‘-기’가 있었다. 파생어에서는 공시적으로 ‘어근+접사’ 구성이 아닌 파생어 ‘풋내기’가 교과서에서 사용되었음이 밝혀졌다. 빈도와 전형성 분석 결과 빈도에 따라 예시 단어가 재검토되어야 하고 이때 접사 빈도와 파생어 빈도뿐만 아니라 어근 빈도 또한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이 논의되었고 빈도와 전형성에 있어 그 정도가 불일치하는 단어의 경우 개념 이해 단계가 아닌 탐구 단계에서 다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frequency and typicality of example words used in textbooks. We use 14 textbooks corresponding 2011 educational curriculum for analysis and the unit we examined was about word formations, especially derived word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areas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The result of analysis of derived words is summarized as follows. Top5 derived words by prefix on frequency were ‘치솟다(323), 맨발(221), 짓 밟다(201), 한여름(195), 참기름(170)’, and ‘0-2’ frequency were 24 words included ‘덧버선, 풋김치, 개철쭉’ etc. Top 5 derived words by suffix on frequency ‘손님(2500), 놀이(1613), 길이(1156), 높이(920), 날개(876)’, and ‘0-2’ frequency were ‘구두장이(2), 먹보(1), 잠보(1), 침질(1), 꾀보(0)’. The resultof analysis of typicality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prefixes which blur the boundaries were ‘늦-’, ‘참-’, and the suffixes were ‘-님’, ‘-기’. Also, There is a ‘풋내기’ which was not composed of ‘root+affix’ synchronically. We discussed about result of analysis of frequency and typicality. 1) Example words used textbook must be reexamined on results of analysis of frequency. 2) The root frequency is also concerned. 3) Words which have the discrepancy between frequency and typicality are included in areas of inquiry learning not understanding of concep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