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 이주노동자공동체 형성과정에서 다문화 실태와 불교적 대안 -미얀마, 방글라데시, 필리핀 사례를 중심으로-

        김선임 ( Sen Im K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0 No.-

        80년대 말부터 유입되기 시작하여 한국에 거주하는 국제이주자들은 노동이민의 성격을 지닌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난민, 유학생 등 다양하다. 이들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는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용적이다. 특히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한국정부의 지원정책은 매우 적극적인 편이다. 이제 한국사회는 더 이상 단일민족사회가 아니라 다종족-다문화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한국사회가 다문화주의 사회인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다문화주의는 소수집단의 문화적 차이에 대한 절대 존중, 소수문화에 집단적 차원의 권리를 부여한다는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한국사회가 과연 소수자의 정체성과 문화를 절대적으로 존중해주는 사회인가는 물음표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한국사회의 다문화 실태를 이주노동자공동체 형성과정을 통해서 파악해 보고, 다문화사회를 위해 한국불교조직은 어떠한 대안을 마련해야 하는지를 모색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종교가 서로 다른 미얀마(불교), 방글라데시(이슬람교), 필리핀(가톨릭교) 세 사례의 이주노동자공동체 형성과정을 통해 고찰했다. 그 이유는 첫째 한국에 이주한 외국인들 중 약 43%로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집단이 이주노동자 집단이기 때문이다. 둘째 한국에 이주한 이주자들은 주로 동남아시아인들이다. 그들은 대체로 특정한 종교가 일상화된 사회에서 살던 사람들이다. 반면 한국사회는 다양한 종교가 존재하는 종교 다원화 사회이나, 불교와 개신교, 그리고 가톨릭이 종교인구의 약 97%를 구성하는 사회이다. 특히 이주자들에 대한 한국의 지원센터 중 87.3%가 기독교계열인 것에 비해 이주자들은 주로 불교권과 이슬람교권 출신자들이다. 이주자들은 국가의 경계를 넘은 동시에 종교문화적 경계를 넘음으로써 새롭고 이질적인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종교가 각기 다른 이주자들이 한국사회의 조건에 어떻게 대응하며 공동체 활동을 하는지 살피는 것은 다문화사회를 준비하는데 현실적인 문제를 진단하기에 적합한 대상이기 때문이다. 셋째, 다문화사회를 준비하기 위해 우리 불교권이 모색하는 대안은 비불교권인 이슬람교와 가톨릭교권 사례를 통해 벤치마킹 할 수 있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 글은 종교가 다른 세 사례 이주노동자공동체 형성과정을 한국사회의 조건- 1) 이주노동자들의 종교와 한국사회 지원의 단체의 종교의 동질성 여부, 2) 한국사회 종교의 수용성 정도 - 에서 종교가 다른 세 이주노동자들(미얀마, 방글라데시, 필리핀) 공동체 형성의 역사를 비교 고찰했다. 띠라서 이 논문은 한국의 이주노동자들을 한국사회에 ``동화``, ``통합``이라는 적응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그들이 한국 사회를 이해하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는 과정으로 고찰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이 글에서 밝힌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의 조건에 따라 세 사례 이주노동자 공동체의 조직 및 활동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주 초기 한국사회의 도움이 절실했던 이주노동자들에게 지원단체의 종교가 무엇이었는지는 중요했다. 이주노동자들과 동일한 종교단체(가톨릭단체)의 지원을 받은 필리핀인들은 적극적으로 공동체를 조직하고 활동했다. 그러나 미얀마인과 방글라데시인들은 그들과 다른 개신교 기반의 지원단체로부터 지원을 받았고, 그것은 미얀마인들과 방글라데시인들의 공동체 형성과정에 차이를 가져왔다. 미얀마인들은 동질적인 종교를 기반한 지원단체를 찾아서 다시 공동체를 조직할 수 있었지만, 방글라데시인들은 그렇지 않았다. 그것은 미얀마인들이 종교 공동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공동체 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 수 있었던 것과 대조적으로 방글라데시인들은 확대분화 된 공동체 활동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둘째, 세 사례 모두 종교 공동체가 형성되었고, 이주노동자들은 이를 통해 이주사회에 적응하고 정체성을 유지했다. 그러나 세 사례 종교 공동체의 위상은 달랐다. 미얀마와 필리핀은 종교 공동체가 생활 센터의 종합적인 기능을 수행했지만, 방글라데시 종교 공동체는 종교적 기능만을 수행했다.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종교 공동체는 한국의 동일한 종교단체와 긴밀하게 상호작용하지 않지만, 필리핀 종교 공동체는 한국의 가톨릭과 세계적인 가톨릭조직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주자들의 삶은 이주사회의 조건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다문화사회를 준비하는 한국사회의 불교조직이 어떠한 역할과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지, 이주노동자들의 공동체 형성과정에서 일정한 해법을 찾을 수 있다. Among immigrants living in Korea who have started to immigrate since late in 1980s, there are labor immigrants, foreign women who immigrate to be married to Koreans, refugees, and foreign students, so on. Korean`s attitudes towards them seem to be more generous than in the past. In particular, Korean government supports actively immigrants who marry Korean men. It shows the fact that now Korean society heads for a multi-race, culture society, no more single race society in which only Koreans live with their history and language. However, there remains a question whether Korea is practically the multi-culture society. Multi-culture is generally based on the principles that it should absolutely respect cultural differences of minor groups and their rights, Seen from these principles, it is questionable that Korean society really follow them, This study intends to take a look at the situation of multi-culture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forming process of labor immigrants`` communities. In addition, it intends to search what alternatives Korean Buddhism should prepare for the multi-culture society. For this, it insighted into forming processes of three labor immigrants`` communities: Myanmar (Buddhism), Bangladesh (Islam), and the Philippines (Catholic). It has three reasons. First, a majority of foreigners immigrated in Korea are immigrated workers who account for about 43%. Second, most of immigrants in Korea are from south-east Asia in which each country mostly has its own particular religion, while Korean society has various religions, but Buddhism, Christianity, and Catholic make up 97% of religion population, Especially, 87.3% of korean aid centers for immigrants is made of christian communities, but those immigrants are mainly from nations of Buddhism and Islam. Immigrated people are those who live in a new and strange society by going across boundaries of nations and religions. Understanding how they adjust to Korean society by doing their community activities is significant to make preparations for the multi-culture society and to make a judge of realistic problems. Thus, religion can be a good mean for that. Last, Buddhism could learn from the cases of Islam and Catholics and prepare multi-culture society coming in Korea. With these reasons, it compared and insighted into the histories of community formation of labor immigrants, who are from Myanmar, Bangladesh, and the Philippines, in accordance with Korean society conditions: 1) whether labor immigrants`` religions and Korean assistance communities`` ones are same, 2) how is the degree of religion acceptance of Korean society. It, therefore, tried to go beyond the view point that immigrated workers in Korea are subjects who should be assimilated into Korean society. Instead it looked them as those who figure out well Korean society and lead their own lives independently. It identifies the followings from that insight. Firstly, according to Korean society conditions, some differences were showed in the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of the three labor immigrants, It was important to them, who desperately needed helps of korean society, that what kind of religions aids communities had, For example, the Philippines could do many activities energetically by organizing their communities, because Korean Catholic community which is the same with the religions of the Philippines supported them. Contrary to them, labor immigrants from Myanmar and Bangladesh who are Buddhists and Islamists were given supports from Christianity that differs from their religions. It showed some differences in shaping their communities. Myanmar immigrants looked for Buddhism aid bodies and succeeded to reorganize their community, while Bangladesh ones were not, because it seems that their community activities were not active. Secondly, the three type immigrated workers constructed their own religion communities, adapted to an immigrated society of Korea, and kept their identities. But the status of their each religion was not the same. In case of Myanmar and the Philippines, their religion bodies play general roles, but in Bangladesh their functions were only limited to religion. Also, religion communities of Myanmar and Bangladesh did not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Buddhism and Islam communities in Korea, while Philippines ones operate by cooperating with global ones as well as with Korean Catholic organizations. An immigration society is most of all critical to immigrants. Therefore, it gives some hints to Korean Buddhism making preparations for multi-culture society. From this basis, it should find its appropriate roles and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