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징점 인식 신경망을 이용한 일반화된 물체 조작

        김선인(Sunin Kim),조현준(HyunJun Jo),송재복(Jae-Bok Song)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To manipulate a variety of objects using a robot, it is important to expre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s. Therefore, generalized object manipulation can be performed by using keypoints to express the manipulation position and pose inform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object. Recently, the studies that detect the keypoints through deep learning have shown good performance. Accordingly, in this study, a keypoints detection network that enables generalized manipulation of various objects using a robot is proposed.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efficiently generating training data using a simulator and a method for applying the network trained in the simulator to the real world.

      • KCI우수등재

        한국 영재교육 연구 40년(1980-2019): 시기별.유형별.주제별 양적 분석

        박현진(Park, hyunjin),빛(Kim, vit),김선인(Kim, sunin),미숙(Kim, meesook)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6

        본 연구에서는 1980년부터 2019년까지 40년 동안의 국내 영재교육의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살피고 향후 우리나라 영재교육 관련 연구 및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980년부터 2009년까지 30년 간의 영재교육 관련 연구물 총 2,157편을 수집하여 시기별, 유형별, 주제별로 분석한 김미숙 외(2010)의 선행 연구 자료를 활용한 후속 연구로서,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최근 10년 간의 연구물 총 2,859편을 전수 조사로 추가 수집하여 최종 4,860편을 대상으로 40년 간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전 연구와 비교 분석 및 종합하고자 하였다. 시기별⋅유형별, 시기별⋅주제별, 유형별⋅주제별의 교차표 분석(Cross-Tabulation) 결과, 양적인 측면에서 2000년 영재교육진흥법의 제정 이후로 관련 연구의 수가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면서 확실한 성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물의 유형 측면에서는 1990년대 이후, 학술지 논문과 학위 논문 유형에서 연구물이 비약적으로 상승했다. 또한, 연구 주제는 시기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몇몇 주제를 중심으로 여전히 편중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영재 및 영재성에 관한 연구와 영재판별 및 선발에 관한 연구가 주로 연구된 반면 영재교육기관 평가 및 컨설팅 연구는 매우 저조하였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10년 연구들의 연구 대상은 학생(81.1%)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이 중 초등학생에 관한 연구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또 동일 기간에 연구된 영재교육 분야를 보면 인지역량 분야가 사회정서역량 분야에 비해 10배 수준으로 많았다. 인지역량 내에서는 수학 및 과학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사회정서역량 내에서는 리더십 분야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져 세부 교육 분야에서도 연구의 편중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국 영재교육 연구가 지난 40년 간 시기별, 유형별, 주제별로 어떻게 변화하여 왔고, 현재 어디에 있으며, 앞으로 어디로 가야하는지 논의하고 정책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gifted education research in Korea for 40 years from 1980 to 2019,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policies for gifted education. This is a follow-up study using the data from Kim et al. (2010) who collected a total of 2,157 studies related to gifted education for 30 years from 1980 to 2009 and analyzed them by period, type of paper and topic. A total of 2,859 additional studies from 2010 to 2019 were collected as a complete survey to analyze the final 4,860 research trends over the past 40 years and to compare and synthesize them with the previou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eries of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the number of related studi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enactment of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Law in 2010, there has been a definite growth achieved. In terms of the type of paper, since the 1990s, studies have risen dramatically in academic journals, theses, and dissertations. Also, research topics were different from time to time, but were still biased around several particular topics. While research on the gifted and giftedness and that on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gifted person were mainly studied, research on evaluation of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at on consulting were very limited. From 2010 to 2019, students (81.1%) were the most studied subject of research,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ore than half of them. In addition, regarding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studied during the same period, the number of research on cognitive skills was 10 times higher than that on social and emotional skills. Mathematics and science were the most prominent in cognitive skills, and leadership was the most studied in social and emotional skills, resulting in a bias in the provision of gifted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how gifted education research in Korea has changed by period, type of paper, and topic over the past 40 years, where it is now, and where it should go in the future suggesting the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