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의 표층 퇴적상 및 퇴적화경 변화

        김석윤(Suck Yun Kim),하정수(Jeong Su Ha)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3

        다양한 퇴적환경이 존재하는 낙동강 하구 및 주변 연안역에서 총 40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채취한 표층 퇴적물 시료에 대해 입도분석, 유기물, 탄산염, 점토광물 및 금속원소 함량 분석을 실시하여 표층 퇴적물의 특징적인 퇴적상 및 특성을 파악하고 하구둑 건설이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낙동강 하구역의 퇴적환경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지역 표층 퇴적물의 퇴적상은 퇴적물의 지역적 분포특성 및 퇴적물 특성에 따라 사질 퇴적상 분포역 (TYPE I ), 니질 퇴적상 분포역 (TYPE II), 그리고 이 두 퇴적상의 중간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사니질 흔합 퇴적상 분포역 (TYPE III)의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이러한 두 퇴적상의 경계에 위치하는 사니질 혼합 퇴적상은 퇴적물의 특성으로 보아 낙동강으로부터의 직접적인 공급뿐만 아니라 홍수나 폭풍시 진해만에서의 재부유된 부유성 세립 퇴적물의 공급에 의해 형성된 복합기원의 퇴적상으로 판단 된다. 낙동강 하구둑이 완공된 이후 연안사주를 벗어난 지역까지 계속해서 사질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하구 지역의 퇴적환경 변화는 낙동강 상류로부터의 니질 퇴적물 유입량 감소, 하구지역의 수력학적 에너지 변화, 그리고 이 지역 주변에서 실시된 인위적인 작업에 의한 영향 등의 요인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To investigate sedimentary facie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its adjacent coastal area, the grain size analysis and measurement of organic matter, calcium carbonate, clay mineral and metallic elements were carried out for forty surface sediment samples. Based on regional distribution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sediments, sedimentary faces in the study area can be divided into sand fa챠es (TYPE I), mud facies (TYPE II ) and sand-mud mixed facies (TYPE III). TYPE III is the transition of TYPE I and TYPE II in every aspects of sediment characteristics. It suggests that TYPE III may have been formed by the mixture of two different source of sediment : one derived from Nakdong River and the other resuspended fine-grained sediments from the Jinhae Bay by winnowing action during floods or storms. Among many aspects of environmental chang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Nakdong Barrage, the most significant is the increase of sand content off the sand barrier region. It could be explained by several reasons including decreased input of fine-grained sediment from river, increased hydrodynamic energy level off the sand barrier region and artificial effects such as dredging and dumping.

      • KCI등재

        곰소만 조간대 바지락 양식장 저질의 퇴적학적 및 수리역학적 특성

        조태진(Tae Chin Cho),이상배(Sang Bae Lee),김석윤(Suck Yun Kim)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3

        곰소만 조간대에서 채취한 표층퇴적물에 대하여 입도분석을 수행하여 퇴적물의 조직 특성을 분석하였다. 코어 시료를 이용하여 퇴적물의 수리-역학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도출하였으며, 퇴적물의 심도별 역학적 응력 및 과잉간극수압, 그리고 지반의 안정성을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여 바지락 양식장 퇴적물의 거동 특성을 규명하였다. 곰소만 조간대내의 표층 퇴적물은 겨울에는 5Φ의 조립 실트가 주를 이루는 단모드형을 나타내고, 여름에는 5Φ의 조립실트질 퇴적물에 4Φ의 미세사질 퇴적물이 첨가된 경향을 보여준다. 바지락 양식장의 퇴적환경은 평균 입도 4∼5Φ 범위, 모래함량 50% 미만, 니질 함량 5∼10% 범위를 나타낸다. 퇴적양상은 sandy silt이며, 분급도는 1.0∼2.0Φ를 나타내고, 왜도는 0.1∼0.5의 범위에 포함되어 퇴적물의 퇴적 작용이 방해가 될만한 높은 에너지 상태가 지속되지 않는 환경이 바지락 양식에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치해석적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바지락 양식에 양호한 저질환경은 사질과 니질이 혼합되어 절대 투수계수가 10^(-11)∼10^(-12)㎡ 범위인 경우로 사료되며, 수치해석 모델링 결과 니질 피복층의 두께가 4㎝를 초과하게되면 바지락 서식에 대한 저질환경은 크게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고찰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ydromechanic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deposits on the cultivation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surface and sub-surface core sediments were collected seasonally in Gomso tidal flat. Grain size distribution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annual variation of sediment texture. In winter unimodal distribution of grain size with the peak at 5Φ is dominant. However, during the summer sediment texture become a little bit coarser and grain size distribution shows the peaks at 4∼5Φ. Optimum sediment texture for the cultivation of manila clam, R. philippinarum was found to be sandy silt in which mean grain size was between 4 and 5Φ with the sand content less than 50% and clay content of 5∼10%. Mechanical and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deposits were also studied in the laboratory and the results were applied to the numerical simulation for the behavior of surface sediment subjected to the cyclic loading from sea-water level change.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 illustrate that the permeability of sediment had to be maintained in the range of 10^(-11)∼10^(-12)㎡ to ensure the proper sedimentological environment for the cultivation of manila clam, R. philippinarum. The deposits of virtually impermeable mud layer, with the threshold thickness of 4㎝, would be very hazardous to clam habit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