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국 창조경제의 개념 변화 및 정책 고찰

        김새미(KIM, Saemee)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4 문화와 정치 Vol.1 No.2

        예술의 창조성과 창조산업에 대한 논의는 이제 국가정책으로 추진될 만큼 중요한 요소로 자리했다. 문화예술의 창의성에 주목한 선두적인 나라로 영국을 꼽을 수 있다. 블레어 정부부터 정책적으로 장려한 창조경제는 현재 캐머런 정부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영국의 창조경제는 한국 정부와도 활발한 교류를 맺고 있으며 여러 가지 측면에서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영국정부가 집중했던 문화예술의 창조성, 창조산업의 성격과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는 점은 의미가 있으며 한국의 창조경제 성장과 발전에 좋은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영국 블레어 정부와 캐머런 정부가 논의했던 창조경제의 의미와 형태를 검토하고자 한다. 블레어 정부와 캐머런 정부의 창조경제 정책을 보면, 조직 구성과 내용에서 차별성을 보인다. 블레어 정부의 경우, 문화예술의 창의성을 경제발전의 기반으로 보고 창조정책을 지원하였다. 효율성을 중시하여 창조산업 경제적 부가가치와 고용창출, 혁신 기업 창업, 창의적 역량 보유한 인재 육성 등의 경제적 측면을 강화했다. 캐머런 정부의 경우, 주요 관심과 투자가 과학기술로 이동되었는데, 경제침체가 심화되는 가운데 창조정책의 중심을 산업자체에 대한 투자보다는 산업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관심이 이동했다고 볼 수 있다. 창조경제에 관해 개괄적으로 학계에서 논의되었으나 창조경제가 조직구성을 통해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 또한 지역경제가 미친 영향력에 대해서 언급한 연구는 부재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글에서는 영국의 창조경제가 지방분권제도와 연계해 나타난 점에 주목하여 이들이 어떻게 창조산업을 실현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A discussion on ingenuity of cultural arts and creative industries has been increasingly important for state policy. The UK is regarded as one of the leading countries that have paid attention to inventiveness of cultural arts. Creative economy, which was supported on a policy level under the Tony Blair Ministry, continues in the premiership of David Cameron. In particular, the UK’s creative economy has been carrying out a vigorous exchange with the Government of Korea and caused a strong influence in several respects. Hence understanding the features and the significance of both cultural arts’ creativity and creative industries more clearly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Korea’s creative economy.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and the forms of creative economy discussed by the Blair Ministry and the Cameron Ministry. The Blair Ministry and the Cameron Ministry are so far apart, when it comes to the organizational composition and substances. The Blair Ministry aided creative policies, considering cultural arts’ inventiveness as a foothold in economic development. Setting by efficiency and market logic, it stressed the economic aspects such as the economic value-added of creative industries, creation of jobs, start-ups of technical innovation enterprises,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possessing creative ability, etc. In contrast, the Cameron Ministry, though its neo-liberalistic tendency was strengthened, moved its concerns and investment into scientific technology. As economic depression was aggravated, public funds related to creative policies were drastically cut. Its interests shifted from investing in the industry itself to promoting the environments stimulating the industry.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point that the UK’s creative industries vigorously came into action locally. It takes note of creative economy closely connected with Decentralization and analyzes how creative industries were carried out, which can implicate for Korea as well.

      • KCI등재

        평화문제와 문화영역에서의 실천연구: 유럽연합의 ‘문화 간 대화’ 정책을 중심으로

        김새미(Kim, Saemee)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1 문화와 정치 Vol.8 No.2

        본 연구는 평화문화 담론을 확장하는 데 있어 문화가 기여하는 바를 고찰한다. 레더라크(J.P. Lederach)의 평화개념과 갈등조정기제로서 문화의 연결지점을 분석하고, 유럽에서 평화논의가 문화영역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담론과 정책사례로 살펴봄으로써 평화문화의 과제를 모색하고자 했다. 레더라크는 도덕적 상상력을 통해 갈등이 변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갈등에 대해 즉각적이고 대립적 각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잠재된 갈등 집단들의 사회적 관계를 긍정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평화세우기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유럽에서도 문화가 평화를 위한 가교역할을 실현하기 위해 평화문화를 제도화하고 있으며 새로운 관계 설정을 모색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안나린드재단(ALF)의 ‘문화 간 대화’를 기반으로 하는 토론과 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지중해 지역의 평화담론 확장 가능성을 시사했다. 불평등과 구조적 폭력에 대항하는 평화의 문화를 위해서는 비판을 넘어서는 인식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 문화 접근법은 상상력과 감정을 이입하여 특정 상황에서 합리적 판단을 유인하는 다양한 행위의 방안들로 구성되며 실제적 대안을 창의적으로 구현하고자 한다.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 간 소통은 자신과 타인의 관계를 성찰하고 공감과 비폭력의 윤리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중적 차원에서 평화의 가치를 확산하며 민주주의 토대를 구축하는 기제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 접근법을 통한 평화세우기는 위계관계에서의 일방적 소통이 아닌 모든 시민들이 주체적으로 발화할 때 평화의 지속성을 지니는 것으로 기본적인 경제적·사회적 조건들이 충족되고 시민발화의 자유가 전제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culture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discourse on the culture of peace. In doing so, this paper theoretically analyzes J. P. Lederach’s concept of peace and the points where culture acts as a mechanism for mediating conflict based on existing discourses and policies. Also,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llenges and tasks of peace culture by examining how the peace discourse is reflected in European cultural sphe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conflicts could change through moral imagination Lederach believed peace-building could be achieved by positively reconstructing the social relationships among potential conflict groups rather than voicing immediate opposition over conflict issues. In Europe, efforts are bing made to institutionalize the culture of peace and reconstruct relationships so that culture could play a bridge to peace. The European Union(EU)’s debate education and cultural art programs based on the Anna Lindh Foundation’s ‘inter-cultural dialogue’ suggest expanding the Mediterranean region’s peace discourse. Fostering a culture of peace against inequality and structural violence requires a shift in perception that goes beyond the act of criticism. This cultural approach consists of various action plans that could induce rational judgement in specific situations by engaging imagination and emotions and stimulating awareness and sentiments to creatively carry out practical alternative solution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ased on mutual respect could lead to self-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elf and others and the cultivation of ethical values such as empathy and non-violence. At the civil society level,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uld disseminate the value of peace and operate as a mechanism for building the foundation for democracy. However, peace-building through cultural approaches could only contribute to the continuity of peace when all citizens are given autonomous voices instead of unilateral communication in a hierarchical relationship. Also, it should be premised of the guarantee of primary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 KCI등재

        중견국 공공외교의 문화자원: 스웨덴 사례 연구

        김새미(Saemee KIM) 한국유럽학회 2021 유럽연구 Vol.39 No.2

        공공외교의 위상과 중요도는 국내외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 각 부처와 지방정부도 규모면에서 공공외교의 외연을 꾸준히 확장시켜 왔다. 그러나 진행되는 공공외교의 내용과 전달방식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한국 공공외교는 정책, 지식, 문화공공외교로 분류되어 실행방식은 다양하지만 단편적이며, 한국을 대표하는 가치나 상징적 자원이 연상되지 않는다. 또한 참여자들 다수가 공공외교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지 않고 중견국으로서 국제사회에 어떻게 전달해야 할지 인식도 부족하다. 보다 진화된 공공외교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현재를 넘어서는 정교한 공공외교 접근 방식이 요구된다. 문화적 접근법에 있어서도 치밀함 속에 예술성이 녹아 자연스럽게 대중들에게 스며들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스웨덴의 공공외교 사례를 통해 중견국 외교에 적합한 문화적 접근법을 도출했다. 스웨덴의 공공외교를 분석한 결과, 스웨덴의 공공외교는 가치중심・관계중심・문화 접근성으로 축약된다. 스웨덴은 자국에 적합한 정체성 구현을 중시했다. 스웨덴의 가치를 표방하기 위해 장기적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국제사회 여론을 분석했고, 이를 근거로 정책기조에 맞는 메시지를 선별했다. 전달방식에 있어서도 직접적 정보전달 보다는 문화예술을 매개로 숨은 의도를 파악하는 간접적인 형태를 취했으며, 시민들이 관련 문화자원을 쉽게 접하고 활용하도록 유인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한국의 공공외교에서도 내용과 형식면에서 외교자원을 다면적으로 분석하여 상징화시키고, 다양한 문화적 기법을 시도하고 적용해야 한다. Public diplomacy has been gaining recognition and importance over the years in South Korea and worldwide. In South Korea, ministries and local governments have been increasingly expanding their engagement in public diplomacy. However, the contents and delivery methods of public diplomacy pursued by these entities remain limited. To engage in public diplomac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ub-categorized it into three types (policy, knowledge, and cultural diplomacy), which has led to the implementation of different but fragmented methods that do not connect to the fundamental values or symbolic resources that represent the country. Also, most of the participants in public diplomacy lack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public diplomacy is and the awareness of how South Korea should communicate itself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middle-power state. There requires a more sophisticated approach to public diplomacy for South Korea to realize a more evolved public diplomacy. For instance, cultural diplomacy should engage the audience with carefully calculated artistic styles that naturally immerse them. This study suggests a suitable cultural approach for middle power diplomacy based on a case study on Swedish public diplomacy. The case study shows that Swedish public diplomacy could be summarized into three main ideas – value-oriented, relationship-oriented, and cultural accessibility. Sweden focused on realizing the Swedish identity through public diplomacy. Consistent efforts were put into analyzing the public opin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ver the long term so that appropriate messages that fit the country’s policy stance could be carefully chosen to represent Swedish values. In terms of the delivery method, rather than trying to put across information directly, the cultural arts were used as a medium so that the hidden intentions are grasped while enabling citizens to access and utilize related cultural resources efficiently. The insights from the Swedish model suggest that South Korea should analyze the content and form of its diplomatic resources from different angles to create symbolizations and attempt and implement more diversified cultural techniques.

      • KCI등재

        뉴미디어와 한류콘텐츠 지원정책 연구 :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김새미(KIM, Saemee)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1 국제학논총 Vol.33 No.-

        본 연구는 급변하는 디지털 플랫폼 시대를 맞이하여 동남아시아 시장의 잠재성에 조응하며 한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소비되고 나아가는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신(新)한류(K-Culture)’ 시대를 맞아 뉴미디어 환경에서 한류의 지원책을 상호호혜적인 측면에서 소비될 수 있도록 파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동남아시아에 진출한 영화, TV 드라마와 예능 관계자 및 전문가를 심층 인터뷰 해 본 결과, OTT(Over-the-Top)로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한류의 수요가 높아졌지만 역설적으로 동남아 국가들과의 공동협업에 대한 기대는 수익성이 없어 낮아지는 양가성을 지녔으며, OTT의 대규모 자본 투자는 수익을 보장하는 안정망의 역할도 하지만 동시에 자본에 잠식될 위험성도 잠재하고 있었다. 종합해 볼 때, 동남아시아 시장의 잠재성은 매우 높지만, 한류콘텐츠 제작 시장의 규모가 커졌기 때문에 공동의 협업보다는 IP 수출과 같은 현지화 정책 중심으로 진행되므로, 공동협업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상호수익을 모색하거나 호혜적 성격의 기반을 조성하는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OTT로 인해 한류의 시장성과 확장성은 커졌지만 글로벌 OTT에 종속되지 않기 위해서는 독창적인 콘텐츠를 제작하고 유통할 수 있는 한류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확보가 필요하다. This study seeks to ascertain the future direction for promoting the continuous consumption and development of Hallyu(K-Culture) entertainment content,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Southeast Asian market’s potential in the age of rapidly changing digital platform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measures that could support the growth of ‘new Hallyu’ in new media environments so that the consumption of Hallyu content occurs in a mutually beneficial way. In-depth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in film, TV drama, and entertainment content production for the Southeast Asian market and experts in the field revealed the demand for Hallyu has increased in the Southeast Asian market with the spread of OTT (Over-the-Top) services. However, paradoxically, expectations for pursuing joint productions with Southeast Asian countries have become lower due to their low profitability. Also, while the large-scale capital investment from OTT servicing companies acts as a safety net that guarantees profits, it comes with the risk of being eroded by giant capital. Comprehensively, it could be said that the potential of the Southeast Asian market is remarkably high. However, the policies for Hallyu content are centered on the localization of ready-made content, such as IP export, rather than supporting joint productions because the Hallyu content market has already become quite prominent in Southeast Asia. Thus, to promote joint productions, measures that could bring mutual profits or create a mutually beneficial foundation for collaboration need to be prepared. In addition, although the marketability and scalability of Hallyu have increased thanks to OTT services, it is necessary to build a virtuous cycle for producing and distributing original content in the Hallyu ecosystem to prevent becoming too dependent on global OTT platform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COVID-19), 한국과 EU 문화협력의 쟁점

        김새미(Saemee KIM)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사회 Vol.6 No.3

        본 글은 EU가 문화교류를 통해 추구하는 함의를 이해함으로써 포스트 코로나(COVID-19) 이후, 한국과 유럽연합(EU)과 효과적인 문화교류와 협력 방향을 찾고자 한다. EU 대외관계에서의 문화는 국제사회에서 우위에 있는 자산이자 소통의 수단, 경제적 효과를 유인하는 매개체로 인식된다. 2021-2027 Creative Europe에 근거하면 EU는 코로나 위기를 회복하고 사회를 재건하기 위해 초국가적 교류 확대와 디지털 문화협력에 역점을 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국이 EU와의 교류를 실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다음 이슈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예술가와 예술작품의 자유로운 이동성을 위한 제도 개선 문제이다. 최근 국제문화교류는 단순히 작품의 유통을 넘어 예술가 이동, 현지 커뮤니티와의 관계를 통한 지속성을 추진하는 경향을 보인다. 창작·제작·유통·소비와 같은 일련의 작업이 동시적으로 발생하므로 이동성의 제약을 넘어서는 다양한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동제작이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실질적 지원 확대와 시청각 영역에서 디지털 문화협력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EU의 제약과 조건이 협력의 장벽이 되기도 하나 코로나 이후 EU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예상되므로 디지털 생태계에서의 협업 프레임워크를 마련해 나가야 한다. 이렇듯, 문화협업을 위한 일련의 환경조성은 유럽과의 연대를 강화하는 효과적인 접근으로 작동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what the European Union (EU) seeks to realize through cultural exchange and suggest how Korea and the EU could effectively engage in cultural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post-coronavirus (COVID-19) era. For the EU, culture is recognized as an asset that sets Europe aside from the rest of international community,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a medium that induces economic effects. The contents of the Creative Europe 2021-2027 program suggests that the EU will focus on expanding transnational exchanges and digital cultural cooperation as ways to recover from the COVID-19 pandemic and rebuild society. Therefore, Korea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areas for its exchanges with the EU to be practical and effective. First, institutional improvements need to be made to enhance the mobility of artists and works of art. Today, global cultural exchanges are not just about distributing works of art but also aims at building continuity by promoting artist mobility and relationships with local communities. In the sense that the tasks involved in cultural exchange, such as creatio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must occur simultaneously, it is necessary to create a diverse environment that enables peop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mobil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respond proactively to digital cultural cooperation in audiovisual cultural exchanges with the EU, while expanding policy-wise support for co-production activities at the same time. Although the EU’s existing conditions place realistic restrictions that act as barriers to cooper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EU will be expanding its policies in the post-COVID era. As such, it is necessary to make preparations in advance by creating a series of environments for digital cultural cooperation, which will help to effectively strengthen solidarity with the EU.

      • KCI등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Austro-Hungarian Empire)에서 대타협안의 한계와 군악대·군대 문화현상을 통한 정체성 형성의 가능성

        김새미(Saemee Kim) 한국유럽학회 2017 유럽연구 Vol.35 No.4

        본 글에서는 1867년 성립된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의 ‘대타협(Ausgleich)’을 중심으로 제도적 특징과 문화적 공존을 위한 노력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오스트리아 헝가리제국의 타협안이 갖는 한계와 공통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되짚어 보고자 한다. 헝가리는 오랜 시간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에 대해 독립을 추구하였으나 헝가리 자유당의 추진으로 1867년 대타협이 성립되었다. 비록 이와 같은 연합체제가 국제정세에 따른 선택이었고 근대국가의 근대화 과정과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대타협은 평화를 추구했던 시도이자 성과였다. 이에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이 수평적 관계 정립을 어떻게 구현하였는지, 서로를 인정하는 정치문화는 무엇이었는지 제도적⋅문화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은 불안정한 정치구조와 제도적 결함 속에서도 헝가리는 공동사항에 있어 자국의 의견이 표명되도록 노력하였고, 군대음악을 통해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의 정체성을 대중에게 확산시키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국은 여러 불안정성을 내재했고, 국제정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에 평화를 존속시키지 못했다. 이와 같은 가능성과 한계는 남북한 통일, 동북아의 연합형태 등 서로 다른 이질적 요소들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타진한다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efforts to cultural coexistence surrounding Austria-Hungary Dual Empire"s ‘Ausgleich’ established in 1867 and attempts to discuss the probability and limitation of this coexistence. Hungary had pursued independence from Austria"s Hapsburg Empire for long; however, the grand compromise of 1867 was reached, largely led by Hungary"s Liberal Party (The Deák Party). Although this allied system is often evaluated as a mere choice based on the then international situation and as part of a modernization process of any modern countries, the compromise was an attempt and a fruit of pursuing peaceful coexistence. Accordingly, this paper takes both institutional and cultural approaches to examine the way Austria Hungary Dual Empire realized horizontal relations to maintain coexistence and any underlying political culture embracing such coexistence. The analysis discovered that Hungary made great efforts to deliver its opinion on common issues despite the unstable political structure and institutional defect of the Empire and also to spread the identity of the Dual Empire to its population through martial music. In spite of all the efforts, the Dual Empire failed to maintain the coexistence due to inherent institutional contradiction and defects that also hampered its active involvement in international situation. Austria"s focus was completely directed towards external relations whereas Hungary adhered to patriotism. This inevitably raised problems in pursuing national policy which damaged the Empire"s adaptability to change. Notwithstanding, the probablity and limitation discussed are meaningful in a way that they lay out how different elements like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and formation of alliance in Northeast Asia may rise in coexistence.

      • KCI등재

        문화예술을 매개로 한 난민에 대한 환대 가능성 : 이탈리아 사례(Teatro dell Argine의 Acting Together #WithRefugees)를 중심으로

        김새미(Saemee KIM) 통합유럽연구회 2019 통합유럽연구 Vol.10 No.1

        유럽의 난민과 이주민 문제는 사회적 갈등을 유발했다. 유럽사회에서 중시했던 다원성과 규범적 가치들은 ‘난민’에게는 관대하게 적용되지 않으며 오히려 ‘난민’을 집단화시키고 이들을 동질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는 난민의 기본적 인권보호의 문제 이외에도 난민을 매개로 야기되는 다양한 편견과 사회적 분열 양산의 요인이 된다. 낯선 존재인 사회적 소수에 대해 열린 태도로 수용하고 함께 살아갈 때, 더 많은 가능성과 성장을 잠재하며 공생을 실천하는 환대사회일 수 있다. 민주주의의 핵심 원칙인 가치의 위기를 겪는 상황에서 본 글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 속에 난민을 어떠한 바라봐야 하는지를 문화예술 체험이라는 경험을 통해 환기해 보고자 한다. 레비나스(Levinas)가 ‘얼굴(face)’ 개념을 통해 이방인과 타자를 대면(face to face)함으로써 이들을 포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듯이, 매개를 거치지 않고 그들의 시선을 껴안을 때 공생 실천 가능성이 높다. 유엔난민기구(UNHCR)가 지원한 이탈리아 문화예술단체 떼아뜨로 델라르기네(Teatro dell Argine)의 ‘난민과 함께 연극하기(Acting Together #WithRefugees)’ 프로그램을 통해 살펴본 결과, 난민의 사회적 통합은 단순히 그들에게 사회의 규칙과 규율을 일방적으로 알려주고 그들의 생존 조건을 보호해주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문화 예술 프로그램을 통해 그들의 목소리를 들어내는 동시에 편견 없이 그들을 바라볼 수 있는 과정임이 도출되었다. 즉, 문화예술을 매개로 한 대면과정은 쌍방향 소통을 증진하고, 사회적 유대감을 형상하며, 공존 및 협력의 가치가 형성하는 역할로 자리할 수 있다. Problems relating to refugees and immigrants have aroused social conflict in Europe. Multiplicity and normative values emphasized in European society were not applied to refugees and they were collectivized and homogenized as a group. Once we accept without prejudice minority groups like refugees, society becomes convivial and hospitable. This paper examines how we should view refugees through cultural experience when democratic values are threatened. Levinas stated that through notions of ‘face’, in other words confrontation aids us to embrace refugees. Only without mediation, when we view the world from their perspective, can social compatibility be reached. As can be observed from the case of the program of ‘Acting Together #WithRefugees’ by the Italian Culture&Arts group Teatro dell’ Argine, social integration of refugees will not be reached simply from teaching them about social rules and protecting their basic survival conditions but by listening to what they may have to say without bias. In effect, Culture&Arts mediating confrontation on both sides will increase bilateral communication, social bonding and will consolidate coexistence and cooperation.

      • 팬데믹 이후 중국 미술시장의 흐름 : 오프라인 경매시장을 중심으로

        김새미(Kim SaeMe) 한국미술경영학회 2022 한국미술경영학회 논문집 Vol.- No.1

        In 2020, when SARS-CoV-2 has spread around the world, China was the only major economy in the world who achieved positive growth by implementing strong measures for infection control, and its artmarket also showed the fastest recovery. The reason for the rapid increase insales can be found in a strong rebound in consumer demand as well as the revision of the VAT for auctioning artworks. In addition, several joint auctions that has held on the basis of cooperative system between auction companies created great synergy. Sales of Contemporary art have increased sharply on the continent due to a large number of new millennial collectors and greater access to art collecting. We should consider this pandemic as an unexpected variable that shifts the way of art dealing, and on this basis, we could forecast the growth in Chinese art market in a long-term historical perspective.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가 전 세계를 강타한 2020년, 중국은 초강력 방역 통제를 실시하며 세계 주요 경제국 중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을 달성했고, 미술시장 또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회복되었다. 2020년 중국의 예술품 경매시장 은 전 세계 경매 거래의 39%를 이끌었고, 오프라인 경매 거래액은 2010년 이래 최고치를 달성했다. 2021년 상반기에도 상승세는 이어졌는데, 이러한 폭발적 성장세는 부동산 및 주식 시장에 대한 불안 심리가 증가함에 따라 미술시장에 대 한 신뢰도가 높아졌음을 드러냈다. 팬데믹 이후 중국 경매시장의 급격한 매출 증가 원인은 전염병 확산이 누그러지면 서 나타난 보복 소비 현상 및 5월부터 시행된 문화재·예술품 경매 부가세 개정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국경 간 이동 이 어려워지고 온·오프라인 경매의 동시 진행이 보편화되자, 경매사 간의 협업 체제가 구축되면서 다양한 연합경매 가 개최되어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했다. 다수의 밀레니얼 세대 컬렉터의 유입과 높은 투자 성공률 및 수익률로 인해 대륙에서 컨템포러리아트의 매출이 대륙에서 크게 증가했다. 지난 20년 동안 중국 미술시장에서는 7년의 장기 주기와 3~4년의 단기 주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패턴에 따르면 향후 몇 년 동안은 완만한 하락세가 지속 될 수 있다. 포스트코로나 이후 삶의 방식은 급격히 변화했지만, 미술시장의 발전에서 팬데믹은 전환점으로 삼을 만한 특수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 KCI등재

        가치의 구현과 이익의 실현

        최진우(Jinwoo Choi),김새미(Saemee Kim)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6 국제관계연구 Vol.21 No.1

        EU는 2002년 2차 북핵 위기 이후 대북 정책에 있어 강경한 입장으로 선회하면서 미국과의 정책수렴이 이루어졌다. 이후 유럽은 북핵 실험이 있을 때마다 신속하게 강도 높은 비난성명을 발표하고 있고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으며 자체적인 추가제재 조치까지 실행에 옮기고 있다. 유럽에 대한 북한 핵의 안보위협도 크지 않고, 유럽의 외교정책적 정체성은 미국과의 차별성에 근간을 두고 있으며, 제재의 실효성에 대한 의구심 또한 가시지 않는 가운데 왜 EU는 북한에 대해 강경책으로 일관하고 있는가? 이는 유럽이 북한의 핵 문제가 ‘규범세력(normative power)’으로서의 외교적 입지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인지했으며, 한반도에 대한 발언권 강화를 계기로 동아시아 지역과의 관계를 심화,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로서의 가치가 있음에 주목했고, 나아가 대테러전쟁의 수행과정에서 소원해졌던 미국과의 관계를 복원할 수 있는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판단을 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European Union’s stance toward North Korea turned hawkish and converged with the US policy after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in 2002. Not only does EU issue statements blaming North Korea’s nuclear tests and missile launching in strongest possible words, it also imposes sanctions on North Korea in line with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nd implements its own autonomous restrictive measures extensively. While the magnitude of security threat to Europe posed by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program is not very significant, while Europe’s foreign policy identity is based on differentiation from the US, and while sanctions are known to be not very effective tool for inducing desired changes in target countries’ behavior, Europe has been consistent in its pursuit of hawkish policy toward North Korea. Why? Europe’s approach toward North Korea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Europe’s willingness and eagerness to utilize the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program as an opportunity to consolidate its credential as a ‘normative power,’ to lay the ground for a diplomatic footing in Northeast Asia, and, above all, to restore the trans-atlantic relationship that had been severely damaged in the course of the War against Terr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