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원장의 진성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김복숙(Kim, Bok Suk),정우열(Jeoung, Woo Yeoul)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19 사회융합연구 Vol.3 No.5

        본 논문은 어린이집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연구 대상은 구미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는 SPSS 23.0을 통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성리더십과 직무만족, 조직문화 간에는 비교적 높은 상관을 보였고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장의 진성리더십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문화는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함으로써 향후 진성리더십에 대한 연구의 폭을 넓혔다는 의의를 가진다.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조직문화가 진성리더십과 종속변수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조직문화 하위 구성요소 중에서 합리문화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should maintain high morality through reflection on oneself, collect opinions based on transparency and authenticit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ldcare teachers, and handle the work smoothly through reasonable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authentic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i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econd, the authentic leadership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hildcare teachers. Third, organizational culture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정책의 분화와 통합에 관한 연구: 부분적 통합기, 통합기, 다원적 분화기, 분화기, 부분적 통합기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정우열 ( Jung Woo Yeoul ),김복숙 ( Kim Bok Suk ) 한국행정사학회 2020 韓國行政史學誌 Vol.4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분화와 통합과정을 분석해 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영유아 보육정책이 시대적ㆍ사회적 상황에 따라 분화와 통합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보육정책의 발전방향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정립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은 근대에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수차례 분화와 통합과정을 거치면서 성장ㆍ발전해 오고 있다. 부분적 통합기(1910∼1945)에는 유치원과 탁아소가 형식적으로는 분리 운영되었으나,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개념상 구분이 명확하지 못하였다. 통합기(1945년~1960)에는 유치원과 탁아소가 각각 존재하였으나 법률상으로는 유치원만 교육기관으로 인정하였다. 다원적 분화기(1961~1989)에는 다양한 형태의 영유아 보육관련 기관들이 생겨나고 주관 부처도 다양화되면서 혼재된 통합 형태를 갖게 되었다. 분화기(1991년∼2013)는 1991년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되면서 유아교육과 보육이 교육부와 보건사회부로 분리되면서 법적으로 유아교육과 보육이 완전하게 분화되기 시작하였다. 부분적 통합기(2014년∼현재)는 영유아 보육에 대한 누리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통합이 가시화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보육정책의 소관부처를 일원화해야 하고, 둘째,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보육 과정이 마련되어야 하며, 셋째, 교육과 보육이 균등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넷째, 교육과 보육(돌봄)의 관계를 새롭게 재정립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process of infant and child care policy in Korea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In the partial integration period (1910-1945),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were operated separately in formal terms, but the conc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was not clear. In the Integration period (1945-1960),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existed, but in law, only kindergartens were recognized a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crater period (1991-2013), as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was enacted in 1991,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were separated in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the legal education and child care began to be completely differentiated. when the partial integration period (2014 ~ present),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became visible as the Nuri project for early childhood child care began in earnest from 2014.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inistries in charge of infant and child care policy should be unified, second, more rational and systematic child care courses should be prepared, third, education and child care should be equally implemented, and fourth, th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child care (care) should be redef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