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홍수 위험요인 도출

        김보경(Bo Kyung Kim)(金保庚),장대원(Dae Won Jang)(張大源),장남(Nam Zhang)(張楠),양동민(Dong Min Yang)(梁東民)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1 Crisisonomy Vol.7 No.1

        2001년 서울 집중호우를 계기로 게릴라성 폭우라는 용어가 등장한 후, 국지적, 단기적, 돌발적인 특성을 지닌 강우의 발생빈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특히 도시의 경우 강우에 의한 유출의 부담을 하천이 아닌 도시 배수관망이 부담함으로써 강우패턴의 변화에 따른 그 피해의 규모가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시홍수의 피해는 강우의 증가와 도시화에 따른 유출율의 변화로 규명하고 있으나 피해를 발생시키는 유발요소와 실제 발생한 피해액과의 관계에서는 상이한 점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전제하에 도시홍수 피해와 관련 있는 항목들로 사회, 경제, 인문, 시설물, 기상학적 측면을 고려하여 24개의 요소를 선정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홍수위험을 전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도시홍수 피해액과의 상관분석을 수행하고, 최종 선정된 10개 항목들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강우, 인문-사회, 경제, 홍수피해부문으로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설명력은 67.79%였다. 이를 검토한 결과 도시홍수피해 유발요인인 강우, 피해를 가중시키는 요인인 인문-사회, 경제적 측면, 그리고 피해결과에 해당하는 침수면적이 도시홍수발생의 유의한 얼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2001, one large-scale concentrated rainfall happened in Seoul. The area was hit with sudden and unexpected downpours, and since then the Extreme Flood appeared. After that, the occurrence frequency of rainfall with local, short-term and flash characteristics is increasing rapidly. Usually, the damage study on urban flood is investigated from the change of runoff rate as a result of rainfall increase and urbanization. However, the induction factor due to such damage has nothing to do with the real amount of the damage. It means when it is rainfall, flood will discharge, so it is possible to make flood damage. When we judge the damage scale, the amount of the damage always was considered. So we should select weight factors that can reduce damage. On the premise of it, items having connection with the urban flood damage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such as society, economic, cultural, facilities and meterological fields. There are 24 selected factors in this study. Urban flood risk was investigated generally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related analysis to the amount of the flood damage was fulfilled, at last 10 items were selected and their factorial analysis were made. Four factors have been extracted and the Explanation Power was 67.79%. It was classified into four parts. The first factor was rainfall, the second one was Cultural-Social field, the third one was economy and the last one was flood damage. Through this study, obtained results are the inducing factor of urban flood damage is Rainfall, the weight factors are Cultural-Social and economic aspects, and the inundated area under this damage is also should be paid attention and checked when Urban flood happen. This is the framework of the deduction of Urban Flood Risk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