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혁신역량과 혁신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해외시장진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이영득 ( Youngdeuk Lee ),강명수 ( Myungsoo Kang ),김병재 ( Byoungjai K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7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 진출한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혁신성공요인과 혁신성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영자, 조직, 종업원 차원의 요인과 관련하여 리더십, 운영시스템, 변화주도행위를 혁신역량에의 영향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혁신역량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연구를 통해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혁신역량에의 영향요인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본국과 해외진출국가 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증 분석 결과 혁신영향요인 모두 혁신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혁신역량은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영향력의 정도에 있어서는 운영시스템, 리더십, 변화주도행위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가간 차이에 있어서는 중국의 경우 운영시스템, 리더십, 변화주도행위의 순이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는 운영시스템과 리더십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종업원의 개별적 변화주도행위는 혁신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해외 진출 기업에게 있어서는 현지 특성에 맞는 혁신역량 강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과 한국의 경우 보다 고도화된 혁신역량 및 혁신성과의 창출을 위해서 종업원 개인의 변화주도행위를 이끌어 내도록 하는 추가적인 활동이 요구됨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innovation capabi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of midsize company entering overseas market.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managerial, organizational, and employee - level factors, we set leadership, operating system, and taking charge at work as variables influencing innovation capability and tri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nnovation capability on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empirical studie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factors on innovation capability and the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home country and overseas countri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all of the influence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capability and the innovation cap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The degree of influence was in the order of operating system, leadership and taking charge at work. In China,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operating system, leadership and taking charge at work. In the case of Korea, operating system and leadership have a positive effect, but the employee`s taking charge at work does not affect innovation cap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nhance innovation capability in accordance with local characteristics. In Korea, there are additional activities to induce employee`s taking charge at work is required for improved innovation capabi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