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콩 생산 기계화 기술의 괴산지역 현장접목 연구

        유승화 ( Seung-hwa Yu ),김영근 ( Young-keun Kim ),우제근 ( Jea-keun Woo ),김유호 ( Yu-ho Kim ),김미애 ( Mee-ah Kim ),최용 ( Yong 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콩과 벼의 소득을 비교하면 벼 6,671 천원/ha, 콩 5,760 천원/ha(’19, 농축산 주요통계)이며, 단위사간당 소득 또한 벼 63천원, 콩 32천원으로 벼에 비해 콩의 소득이 50% 수준에 그친다. 이와 같이 콩은 노동투하 시간이 182 시간/ha로 벼 106 시간/ha에 비해 매우 높아 경쟁력이 낮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발된 기술을 현장에 조기 보급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쌀 공급과잉 구조 개선과 쌀 적정 생산 추진 계획에 따라 논 타작물 전환 사업이 시행되어 논 이용 밭작물 재배가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콩은 밭작물 중 재배면적이 넓고 집단화·규모화된 생산단지가 조성되어 있어 디지털 기계화기술 적용이 용이하다. 논 콩 생산 전과정 기계화 기술 등 노지 디지털 농업에 적용 가능한 기술들이 단위기술은 개발되어있으므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영농현장에 적용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령화 농업의 대책으로 부상하고 있어 논콩 재배관리 농작업에 대해 최신 드론 기술을 적용하여 노동력을 절감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기 개발한 논 콩 복합파종기(’18)와 비산저감형 드론방제기(’20)를 괴산지역의 농가 포장에 적용하여 적응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현장적용은 충북 괴산군 소재 앵천영농조합법인의 논 콩 생산 포장에서 실시하였으며, 적용한 논 콩 전용 파종기(’18, 농과원)의 특징은 트랙터용 4조식, 두둑 형성, 파종, 제초제 살포까지 동시에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이 파종기는 작업성능이 0.7시간/10a로 관행 파종기와 동일하나 관행 파종기(두둑 20cm 내외)에 비해 두둑을 30㎝ 내외로 깊고 견고하게 성형하여 잦고 많은 우천에도 배수를 빠르게 하여 콩의 습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큰 장점이다. 비산저감형 드론방제기(’20, 농과원)는 드론의 항공방제에 적합하게 개발한 비산저감 AI노즐은 분무 입경 150μm의 관행 노즐보다 약 2.3배 입경이 큰 340μm의 공기방울 형태의 액적을 분사하는 노즐이다. 또한 드론 하향풍 기류의 영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분무압력 40psi, 비행속도 2~3m/s, 고도 2m 등의 기준을 확립한 최적 분무 장치를 적용하였다. 이 파종기로 논에 콩을 파종(6.15.)한 후 관행 처리구와 비교한 결과, 비 내린 후 두둑이 무너지지 않았고, 골에 물이 고이지 않고 물 빠짐도 양호하였다. 또한 멀칭하지 않고 파종과 동시에 제초제를 살포하여 잡초는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평균 입모수는 2.8개로 조사되어 콩에 적합한 기준 입모수 3개에 가까웠으며, 결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육조사 결과 배축장 2.3mm, 주경장 5.3mm, 엽수 3.3개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