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축구기술에 대한 객관적 측정자료와 주관적 평가자료의 비교

        엄한주 ( Han Joo Eom ),김목수 ( Mok Soo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2 체육과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축구 기초기술에 대한 객관적 측정자료와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축구경기의 주요 기술인 헤딩, 지그재그 드리블, 롱 킥, 드리블 슛, 슛, 센터링, 30m 드리블, 10m 왕복 드리블 등 8개의 측정항목을 선정하여 중(n=112), 고(n=133), 대학교 선수(n=114)들을 대상으로 축구기술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항목에 대한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점수와 측정자료의 관련성을 상관 및 교차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선수들의 종합경기력 평가점수와 가장 관련이 깊은 기술요인을 선별하기 위하여 객관적 측정자료와 주관적 평가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초기술 8개 측정항목의 결과에 대한 각 집단별 비교에서는 대학생이 현저하게 우수한 기록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고교생, 중학생 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측정항목에 대한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점수에서는 대학생과 고교생 집단은 뚜렷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측정항목에 대한 측정자료와 각 항목에 대한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자료의 관련성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에 의하면 두 자료의 상관계수는 매우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객관적 측정자료와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자료의 일치성은 매우 낮았다. 객관적 측정자료와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자료의 관련성이 매우 낮게 나타난 결과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여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스포츠 기술의 객관적 측정 및 평가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지도자의 종합경기력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회귀분석결과, 중학생 집단은 기술의 정확성과 기초체력에 관련된 변인, 즉 ``패스의 정확성``, ``돌파력``, 그리고 ``10m 왕복 드리블``이 가장 관련이 많았으며, 고교와 대학 집단은 전반적으로 복합적인 요인, 즉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 항목인 ``경기감각``, ``연결동작``, ``킥 및 득점력``이 종합경기력 점수와 가장 관련이 높았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s for soccer skill performances. Eight test items, such as heading, zigzag dribble, long kick, dribble shoot, shoot, centering, 30m dribble, and 10m shuttle dribble, were devised based on valid measurement procedures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basic soccer skill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359 varsity soccer players (112 junior high, 133 senior high, and 114 university athletes) and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to compare the mean performance of each skill test among the 3 groups. Correlational methods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ive measures of the tests and the subjective measures of the corresponding skills evaluated by the coaches of the participating players. From these analy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As being expected, the comparison of the mean performances among the 3 groups revealed that the university group was prominent in all 8 skill tests, followed by the senior high and junior high school players. 2. It was shown that the coach`s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players` performance on each test was not quite in agreement with the field test scores. In most test items, there was a moderate size of correlation between the test scores and the coach`s evaluation. However, although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gnitude of correlation was not large enough to grant practically meaningful interpretations. 3.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variables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the prediction of the overall playing ability consisted of mostly the subjective measures of the skills evaluated by the c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