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말여초기 銙帶의 변천과정과 그 배경에 관한 연구

        김명훈(Kim, Myunghun) 한국중세고고학회 2018 한국중세고고학 Vol.- No.4

        본고는 나말여초기의 분묘 · 생활 · 관방유적에서 출토되는 과대와 유적 · 유구의 분석을 통해 과대의 변천양상을 파악하고, 과대 변화의 원인과 배경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과대의 존속기간을 분석한 결과 전형에서 벗어난 당식(唐式)의 과대(銙帶)가 11세기 이후 소멸하고, 부속구인 교구가 그를 대체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이 같은 변화의 원인과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과대출토 유적 · 유구에 대한 검토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동시기에 해당하는 분묘군 내에서 상 · 하위묘제간 과대소유자의 계층적 우위가 확인되었고, 관방 · 생활유적은 과대를 자체적으로 제작하고 사용한 집단이 점유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즉 나말여초기의 과대는 당시 발호하던 지방세력이 정통성의 확보와 권위의 상징물로써 제작 · 유통한 것으로 정리된다. 이러한 당식과대의 소멸과 그를 대체하는 교구의 확산배경은 성종 2년(983) 향리직의 신설과 현종9년(1018) 향리직에 대한 공복제 시행으로 보았다. 이 같은 지방세력의 품대가 법제화 됨에 따라 기존의 당식과대는 신분표상의 지위를 잃게 되었으며, 실용적 성격의 교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정리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Gwadae, remains · relics excavated from tombs · living · defense outpost remains in the ate period of Namal-Ryocho and identify their transitions in addition to eorganization of the local power. Analysis of the duration of the regiment has shown that Tang-style Gwadae deviating from its normal practice has disappeared since the 11th century, and that simple buckles have replaced it. Examination on remains · relics where Gwadae was excavated was done in order to investigate causes and backgrounds of transitions of Gwadae and identify the class having its ownership. As a result, in case of tombs on the stone-chamber tombs, hierarchical superiority of a Gwadae owner was identified, showing the differential relationship a Gwadae. its degraded status was observed than that of the buried at the graveyard facilities. It was regarded that defense outpost · living remains by the local power that escaped from the central control. As shown from above, patternless Gwadae was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by castellans, generals and their followers as the symbol of the legitimacy and authority and disappeared along with their inclusion into the Hyangri class in the second year of Seongjong(성종2년 983) and administration of the official uniform system for the Hyangri position in the 9th year of Hyeonjong(현종9년 1018). Against this backdrop, the existing Gwadae has lost its status as an iIdentification, and the practicality of the belt consists mainly of its status.

      • 건설 인공지능 개발사례로 보는 전공교육 인력의 중요성

        허석재 ( Heo¸ Seokjae ),이상현 ( Lee¸ Sanghyun ),이성원 ( Lee¸ Seungwon ),김명훈 ( Kim¸ Myunghun ),정란 ( Chung¸ La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2

        The process before the model learning stage in AI R&D can be subdivided into data collection/cleansing-data purification-data labeling. After tha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evelopment, it goes through a stage of verifying the model by performing learning by using the algorithm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everal studies describe an important part of AI research as the learning stage, and try to increase the accuracy by changing the structure and layer of the AI model. However, if the refinement and labeling process of the learning data is tailored only to the model format and is not made for the purpose of development, the desired AI model cannot be obtained. The latest research reveals that most AI research failures are the failure of the learning data rather than the structure of the AI model. analy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