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초기 선종(禪宗)의 농선병중(農禪幷重) 고찰

        김명호(法志)(Kim Myungho)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5 No.-

        본고에서는 중국 선종의 특색 가운데 하나인 ‘농선(農禪)’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황매선(黃梅禪)을 중국 선종의 본격적인 출발로 삼는 것은 달마(達摩) 이후 능가사(楞伽師)들이 수립한 두타행(頭陀行)의 전통을 따르지 않고 한곳에 거주하여 공동체 생활양식을 취한 것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공동체의 생활은 승려들이 노작(勞作)을 제창하고, 노작을 통해 자급자족하였다. 이는 경제적으로 신도들의 재시(財施)로부터 독립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였으며, 이로부터 새로운 조사선풍을 수립할 수 있게 하였다. 이후 ‘노작’은 육조혜능(六祖惠能)을 거쳐 ‘일화오엽(一花五葉)’의 오가(五家)가 분등선(分燈禪)에 이르면서 선리(禪理)를 깨닫게 하는 ‘농선(農禪)’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농선’은 중국선의 특질 가운데 하나로서 칭해진다. 그에 따라 본고에서는 ‘노작’으로부터 ‘농선’으로 전개됨을 선종의 본격적인 출발이라고 할 수 있는 황매선(黃梅禪)으로부터 위앙종(潙仰宗)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고찰하였다. 초기의 선종은 독자적인 사찰을 지니지 못하여 율사(律寺)에 종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마조(馬祖)가 총림(叢林)을 세우고, 백장(百丈)이 청규(淸規)를 세워 승려들의 ‘노작’으로 자급자족을 이룸으로서 비로소 선종사찰로서 독립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노작’은 율종도량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한 방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노작’은 후대로 전해지면서 ‘농선’의 선수행으로 전개되었다고 하겠다. 이러한 ‘농선’은 단순한 노동이 아니라 그대로 선수행으로 향상일로(向上一路)하였음을 볼 수 있으며, 이는 현대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writer researched ‘Farming Chán(農禪)’,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án in this paper. Huángméi Chán(黃梅禪) is counted as a real starting point of Chinese Chán because ‘Lankavatara teachers (楞伽師)’ had not followed the tradition of ‘dhuta practice(頭陀行)’ but had settled down in one place taking a community lifestyle after Bodhidharma(達摩). In this community lifestyle, Buddhist monks proclaimed ‘work(勞作)’ and they could have been self-sufficient. It had formed the condition to stand without financial offering of Buddhists and it enabled to establish a new trend of Patriarchal Chán. After then ‘work(勞作)’ had took root as ‘Farming Chán(農禪)’ to realize the truth of Chán, going through Huineng, the sixth patriarch of Chán, and getting to ‘Fēndēng Chán(分燈禪)’ by five sects of ‘one flower with five leaves(一花五葉)’. Thus ‘Farming Chán(農禪)’ is hailed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án. Therefore the writer considered the process of development from ‘work(勞作)’ to ‘Farming Chán(農禪)’ through inquiring into the process from Huángméi Chán(黃梅禪), as a real starting point of Chán, to Wéiyǎng Zōng(潙仰宗). The early Chán had been subordinated to ‘Sila Vinaya temple(律寺)’ because they didn’t have their own temples. But Mǎzǔ(馬祖) had built the assembled monastery(叢林) and Bǎizhàng(百丈) had set up Pure Rules(淸規) so that they could have been self-sufficient. Finally they could stand alone from the temples of Chán. Thus we can say that ‘work’ is one measure to stand alone from ‘Sila Vinaya temple(律寺)’. With passing down of their ‘work’ tradition to the next generation, they could develop practice of farming Chán(農禪). This farming Chán(農禪) is not the simple work, but the revolutionary Chán practice as it is. It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se modern times as e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